몬스터 멜랑콜리아 - 상상 동물이 전하는 열여섯 가지 사랑의 코드
권혁웅 지음 / 민음사 / 201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괴물과 우수 그리고 사랑은 무슨 관계가 있을까?

 

'몬스터 멜랑콜리아' 는 상상 동물이 전하는 열여섯가지의 사랑의 코드를 신화적 모습속에서 찾아주고 있다. 신화적인 모습속에서 만나는 사랑의 모습이지만, 우리의 내면의 세계를 가장 적나라하게 표현을 해주고 있기도 하다.

 

사실 괴물들을 통해서 사랑의 논리를 짚어 보고자 한다는 저자의 말에 너무나도 어려울 듯한 책의 내용일것이라는 선입견이 마음속에서 요동쳤지만 다소 어려울 듯한 신화속의 괴물들에 대한 이야기들을 사랑이라는 이름으로 접목을 시켜가면서 많은 긍정을 하게 되고 오래전부터 사랑의 모습들에 대해 우리 조상들이 어느만큼 깊이있게 다루고 있었는지를 알 수 있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왜 열 여섯가지로 사랑을 정의했을까? 그 열 여섯가지의 사랑의 모습은 타당한걸까? 여러가지 의문점을 가지고 책장을 넘긴다. 첫장에 다루는 '이름'은 그 사람에게 들어가는 입구다. 약속으로 결속된 사건은 영원성을 표상하며, 사랑의 영영역세 이미 죽었으나 실재의 영역에서 아직 죽지 않은 '산-죽은 자'다. '약속'이라는 모습의 사랑의 모습은 짝사랑의 모습보다 훨씬 더 비극적이고 불행한 사랑의 모습이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짝사랑이나 첫사랑의 모습들은 '사랑'의 모습에 대해 그나마 아름다움으로 기억될 수 있겠지만, '약속'이라는 편에서 다루고 있는 수 십년간의 '약속'속에서 존재하고 있다는 그 사랑의 모습이 물거품처럼 허무하게 과거속에서만 존재하다가 어느 시점을 지나 현재에도 와보지도 못하고 스스로 스러지고 마는 것임을, 그런것도 사랑이라는 이름이어야 한다는 것이 아무래도 불편할 수는 있겠으나, 오랜 사고를 통한 신화적인 모습속에서 다루고 있는 '사랑'의 모습이라는 것에 다소 충격적으로 다가온다.

'현빈'이 가수이며 연예인이었다가 해병대가 되었던 현존하는 '현빈'이 아니라 신화시대부터 이어져 내려온 대지 모신의 이름이다. 계곡은 비어 있으면서도 모든 것을 받아들이고 모든 것을 내보낸다. 저 자신은 아무런 지위를 차지하지 않으면서도 다른 모든 것을 생생지변을 가능케 하는 저 '검은 암컷'(현빈)이야말로 아토포스의 상징이 아니겠는가? 버려짐에도 두 가지의 사태가 있는데 '버려짐'이 '버림'과 짝을 이룬다는 사실이다. 망각은 이 두 사태를 지나고서야 비로소 탄생하는 사랑과 연관된 또 다른 단어이다.  나를 견인하여 다른 장소에 가져다 놓는 힘을 '유혹'이라고 신화적인 모습들에서 발견한다. 사랑하는 이를 사랑하기 위하여 고통스러운 감정과 처지를 감수하는 일인 '질투' 하나 하나의 발걸음이 우연이며, 그 발걸음들이 만들어 낸 길이 필연이었음을 그리고 보는 나와 보이는 나 사이의 간격, 이것이 자기애에 본질 구성적이었음을. 없으면서 있고, 없지만 있고, 없어짐으로써 있는 '첫사랑'의 모습. 고백, 기다림, 무관심, 소문, 외설, 외로움, 비밀. 이 모든것들이 우리가 살아가는 궁극적인 모든 모양새의 '사랑'이라는 또 다른 모습들이라는 것에 신화속 괴물들의 모습들 속에서 그리고 과거의 역사속 모습들에서 우리는 시대를 떠나서 '사랑'이라는 이름으로 모두를 아우를 수 있는 괴물의 본 모습을 만나게 된다는 것에서 다소 유식해짐의 목적이 아니라, '사랑'이라는 그 본질에 더 가깝게, 깊이있게 사고해볼 수 있는 시간이 되었음과 함께 사랑에 빠지는 순간, 우리가 왜 사랑에 눈이 멀고 (퀴클롭스) 사랑하는 사람과 한 몸이 되지만,몽쌍씨) 사랑을 잃는 순간, 우리는 반쪽이 되고(일비민) 가슴이 뻥 뚫린 듯(관흉국인) 아픔과 공허함을 느끼게 되는 것인지, 그 이유를 비로소 알 수 있게 될것이다.

 

 

 

 

 

 

해당 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