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역장교입문
이준성 지음 / 책마루 / 2011년 8월
평점 :
품절


 


 

통역관이라는 말은 들어보았지만, 사실 군사통역을 하고 있는 <통역장교>에 대해서는 생소함이 어쩌면 당연한 것일 수도 있을것이다. 그만큼 우리가 군대에 대해 알고 있는 듯 하지만, 군 내부 여러 보직들에 대해서는 문외한이었으니 말이다.

 

2009년 3월 13일에 소말리아 해상에서 한국 선박들을 해적들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창설하였다는 청해부대(淸海部隊)의 소식들을 메스컴으로 들으면서 군에도 통역장교가 있으며, 어떠한 일들을 하는지에 대해 간간히 들을 수 있었다. 그들이 단순한 통역만 하는것인지, 아니면 군 생활에서 작전수행까지 어느정도 참여를 하는지까지는 명확하게 알지 못하였으나, 아뭏튼 군대라는 곳에서 몸으로 먼저 이겨내는 곳인줄만 알았던 군대라는 곳에서 왠지 멋드러진 모습으로 외국인들과 협상하고 대화하고 자국의 이익을 위해 군복을 입고서 일하고 있다는 것으로도 선망의 대상이 되기에 부족함이 없을 모습이었다.

 

저자인 이준성 전 중위는 해군에서 영어 통역장교로 근무하며 청해부대 통역장교로 해외임무를 마친 후 전역할 때까지 상당 기간 해군교육사령부에서 초임 통역장교 교육하는 임무를 맡았으며 그 당시 정리한 자료와 통역장교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사항들을 이 책에 담았다 한다.

 

통역장교로 군복무를 희망하는 자는 이 책을 바탕으로 통역장교가 알아야 할 군사용어와 배경지식을 충분히 학습할 수 있을것이다. 

 

통역의 가장 중요한 핵심인 외국어를 모국어로 얼마나 정확하게 통역하느냐가 관건일터, 하지만 군대내의 통역은 아무리 그 언어에 능통하다 할지라도 군 관련 용어와 군 분위기에 익숙하고 정통해야만 정확한 의미전달을 할 수 있다는 특수성을 요구하기도한다.

 

군사통역의 분야도 육군, 해군그리고 해병대, 공군 모두에서도 각각의 필요한 모습으로 보직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고한다.

 

군 계급체계의 이해와 함께 우리군 조직과 대한민국 육해공군 임무 그리고 조직도 그와 함께 미국의 군사조직과 함께 한미 연합연습 등에서 어떻게 통역장교의 임무를 수행하였는지. 그리고 작전통역에서 자주 쓰이는 사자성어, 일상적인 한국속담및 명언 등 한글맞춤법, 외래어표기법등 통역장교가 직접 쓴 국내 유일의 군사통역 입문서이며 지침서가 되어줄 이 책으로 군대에 들어갈 많은 청춘들이 단순한 메신저를 넘어 커뮤니케이터역활을 해낼 수 있는 통역장교라는 보직에 대한 욕심까지도 품어볼 수 있기를 바래본다.

 

 

 

 

(이 서평은 책마루에서 무료로 제공받아서 작성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