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후의 서울 산책 - 오세훈의 마지막 서울 연가!
오세훈 지음, 주명규 사진, 홍시야 그림 / 미디어윌 / 2011년 9월
평점 :
절판


 

 

올 초에 오세훈 시장을 처음 만났을 때가 생각난다. 무척이나 작은것에도 미안해하고, 서울에 대한 애착이 강하다고 느껴지던 그 말투들....

 

그리고 아이들의 밥그릇에 대한 언쟁들...과 함께 그는 이제 서울의 시장이라는 자리에서 물러났다.

 

이러저러한 일들이 중요한 것은 아니고, 이 책은 단지 서울에 대한 사랑으로 만들어진, 지난 시장 재직 5년 동안 살갑게 찾아내고 다듬어온 서울의 신명소를 44가지나 발로 찾아다니면서 직접 체험을 하면서 선별해서 분류를 해놓은 장소들에 대한 이야기가 실려있다.

 

방법과, 과정의 차이는 있겠지만, 본연의 서울사랑에 대한 문제에 있어서의 문제제기가 필요하다고는 생각하지 않는 그런 생각으로 이 책을 접한다.

 

내가 살고 있는 서울이라는 도시. 내가 살고 있는 대한민국의 수도...인 서울에 대해 과연 어느만큼 알고 있으며, 서울의 명소들에 대해 어느만큼 방문을 해보았는지에 대해 따지기보다는 내가 자세히 모르는 분야를 시장이라는 일을 하면서 보다 더 자세히 알 수 있는 명소들에 대해 서울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찾아보고 보다 많은 이들에게 소개를 한다는 긍정적인 취지에서 만나보기로 한다.

 

서울에 대한 명소가 44가지만 되는것은 아니지만, 시장의 입장에서 바라본 서울의 명소를 가려뽑아서 내놓은 마흔네가지의 명소는 아무래도 난다르다 생각해야할것이다.

 

서울의 전통과 창작, 그리고 남산, 문화, 공원, 둘레길, 한강, 서울의 역사, 골목길, 생태, 캠핑, 자전거 이 모두를 분류하고 아우르는 장소들을 그의 시각으로 설명을 하고 있다. 말로 다 할 수 없고 글로 다 풀 수 없는, 한 나라의 발자취를 대변하는 것이 바로 전통이다. 뮤지컬 '명성황후'가 브로드웨이에서 기립박수를 받을 수 잇엇던 것도, '아리랑'에 몸을 맡긴 김연아의 피겨 연기가 사람들의 마음을 감동시킨 것도 우리의 전통과 호흡이 담겨 있었기 때문이며, 고유의 것이 가장 아름답고 가장 세계적인 시대가 되어가고 있는 요즘에, 한류열풍을 통해서도 알게 되듯이 우리 조상들로부터 불려받은 아름다운 전통과 문화를 우리는 어느만큼 소중하게 생각하고 있으며, 어느만큼 뿌듯해하며, 자부심을 가지고, 널리 알려야겠다는 마음을 품고 있는지를 돌아보는 계기가 되었던 전통과 현대와의 행복한 조우가 되고 있는 장소들. 북촌한옥마을과 경복궁 너머 정겨운 동네. 서촌한옥마을 그리고 광장시장과 서울풍물시장들을 돌아보면서 분명 내가 직접 돌아본 곳인데도 불구하고 몇번씩이나 방문을 했는데도 불구하고 발견하지 못했던 그 보물들이 담겨져 있다는 사실에 이 책의 중요성을 다시금 깨닫게 되기도 한다. 역시 알고 바라보는것과, 제대로 알지 못하고 겉으로만 돌아보는것하고는 역시나 많은 차이가 있음을...

 

그리하여 더욱 자세히, 서울이라는 곳에 대해 전혀 알고 있지 못한 사람처럼 책장을 넘기기 시작한다. 내가 살고 있는 서울이 아니라, 우리나라의 수도인 '서울'이라는 곳은 어떤 곳일까? 라는 의문과 궁금증을 가지고 책장을 넘기기 시작했던 것이다.

 

무척이나 많은 보물들을 발견했다. 누가 그랬었지. 어떤 사람이 무슨 돌멩이가 이렇게 많은가...하면서 집어 들었다가 다시 던지고 던지기를 반복하다가 새벽녘이 되어서 햇살에 비치는 햇빛에 유난히 반짝히는 돌을 바라보면서 그것이 보물. 다이아몬드였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했던것처럼. 알지 못하고 바라보았을 때, 제대로 알지 못하고 바라보았을 때의 그 가치를 몰랐을 때와 제대로 다시 알고서 바라보았을 때의 그 가치들을 깨달았을 때의 그 깨달음의 과정. 보물을 제대로 알아보았을 때의 그 놀람과 신비스러움이 고스란히 이 책을 접하면서 느끼는 과정이다.

 

지나가면서 자주 마주쳤던 서울의 모습을 화폭에 담긴 순간 서울의 곳곳은 또 다른 생명력을 가지고 다가온다.

 

이렇게 아름다운 곳에, 이렇게 소중한 곳에 살고 있었구나.

 

내가 살고 있는 곳에 대해 과연 어느만큼 알고 있는가? 보물만 보물이라 말하는가? 보물같지 않더라도 보물이 될 수 있지 않겠는가? 남한테 보이기 좋은 곳들만 보물이겠는가? 잔잔하게, 소소하게 우리 삶을 채우고 있는것들도 우리 서울을 대표하는 것들이 되지 않겠는가? 아니 우리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가치가 되지 않겠는가? 보여주기 편한것만 보지 말아야한다고 말할 수도 있겠지만, 보이는 것, 드러내고 싶은 것, 자랑하고 싶은 것은 그래도 당연히 우리 모두가 알아야 하고 자랑해도 되지 않겠는가? 그럴려며 우리는 더 많이 알아야 하지 않겠는가?  스스로의 물음과 스스로의 답변들 속에서 나는 또 하나의 서울을 발견한다.

 

 

  

 

 

 

 

 

 

(이 서평은 미디어윌출판사로부터 무료로 제공 받아서 작성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