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자의 서재 - 최재천 교수와 함께 떠나는 꿈과 지식의 탐험 우리 시대 아이콘의 서재 1
최재천 지음 / 명진출판사 / 2011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행복한 과학자가 꿈인 그는 세계적 권위를 지닌 자연과학자다.
 
 


 
웃는 모습이 너무나 해맑은 최재천교수님의 서재에는 어떤 책들이 꽂혀있을까를 생각하면서 책장을 넘겼지만, 명진의 롤모델시리즈에 이어 새롭게 선보이는 '우리 시대 아이콘의 서재' 그 첫 번째 이야기로 나온 '과학자의 서재'에는 단순히 어떤 과학자가 책을 읽는 곳이나 읽어온 책들을 보관해두는 장소를 말하는 게 아니었다는 것을 알게 된다.  한 과학자의 정신과 영혼이 깃들어 자라온 '성장의 집'을 뜻했다는 것을 최재천교수님을 통해서 단순한 서재를 다루는 책이 아니었음을 깨달을 수 있었다.

 

육군 장교의 큰아들로 태어난 최재천 교수는 몸은 서울에서 자랐지만, 마음은 강릉에서 자랐다고 말한다. 교수님이 어려서부터 어떻게 살아가고, 어떻게 성장을 해갔는지에서부터 교수님이 과학자가 되기까지의 그 수 많은 여정들이 고스란히 담겨 있는 이 책에서 어쩌면 과학자의 서재에 꽂혀 있는 책들만을 습득하는 것, 그 이상의 가치를 만날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그는 꿈이 정말 많았다고 한다. 꿈이 무어냐고, 꿈이 없다고...말하는 요즘의 젊은세대들에게는 신기함 그 자체일 정도로 그의 꿈은 정말 무궁무진했다. 그가 꿈이 많았기에 방황도 많았다는 말이 당연한 결과일 수도 있겠으나, 방황하니까 청춘이다. 라는 청춘의 개념을 방황으로 치부해버릴 수도 있는 그 방황의 테두리속에서 그 방황에 모든것을 내던지는 모습이 아니었으니. 그가 방황하면서 생각의 무대가 세계로 넓어졌으며, 문학을 통해 과학을 만나고 그 스스로도 자신에게 그러한 재능이 있을줄은 몰랐다고 생각했던 미술이라는 또 다른 세계. 그에게 방황은 아니 그의 고단했던 청춘은 대학을 두번씩이나 떨어지게 만들었다. 

 

한 번도 꿈꾸지 않앗던 동물학과에 들어간 그. 그리고 방황의 늪에서 그를 건져주었던 한 권의 책. <우연과 필연>을 과학자의 서재에서 처음으로 만나게 된다. 그의 방황의 끄트머리에서 그 방황의 종결자가 되어주었던 그 책을 메모한다. 

 

 

 



"아빠가 되고 나니 책이 더 소중해졌어"

라고 고백하였던 교수님은 아기 때부터 많은 책을 읽어줬다고 한다. 그가 물려준 가장 큰 재산은 독서습관이라고 할 정도로...

 

최 교수님의 달콤쌉싸름한 독서 레시피는 이 책의 주된 내용들이라고 생각하였던 때문이었는지 무척이나 반갑게 다가온다. 희망의 밥상, 오래된 연장통, 마지막 거인, 이중나선, 찰스 다윈 평전 1,2를 통해서 그가 독서 레시피에 넣은 이유와 함께 읽는 맛으로 음식의 맛을 느끼는것마냥 표현되어 있는 글귀들을 만나면서 책이란것이, 어쩌면 평생을 먹어야 사는 밥처럼, 음식처럼 생각되어 영양가 있는 음식을 챙기는 것처럼 책도 더 영양가 있고, 더 맛있는 책으로 읽어야 하는 것임을, 평생을 밥을 음식을 먹듯이 책도 그렇게 먹어가면서 살아야함을 알아가게 해주는듯하다.

 
 
방황하는 청춘들에게 더 많이 권해주고 싶은책이며, 한참 공부라는 굴레에 빠져 방황하고 있는 우리 아이들에게 필히 권해주고픈 책이다.

 

 

 
 

 

 

(이 서평은 명진출판사로부터 무료로 제공 받아서 작성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