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사진의 아우라 - 내셔널지오그래픽의 사진가 이홍석의 촬영 노하우
이홍석 지음 / 시공사 / 201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진에도 찍는 대상에 따라 풍경사진, 인물사진등으로 나뉘게 된다.

풍경사진은 자연의 생태에 따라 시간과 계절에 맞춰서 출사지를 정하면 되지만, 사람은 내가 찍고 싶은 방향 설정대로 찍히지 않는 어려움이 많은 존재다. 무턱대고 찍는다고 살아있는 표정의 사진을 담아낼 수 있는 것이 어려운 만큼, 살아있는 표정을 담은 사진들을 보면 먼저 감탄부터 하면서 그 사진작가는 어떻게 저리 살아있는 표정들을 담아낼 수 있었을까?에 먼저 의문을 가지게 된다. 

 

 




 

 

이 책은 살아있는 사람의 모습들을 어떻게 담아 낼 수 있는지, 어떻게 대상에게 다가가는지에 대한 방법과 사진을 찍고 난 후의 후보정작업에 대한 알짜배기들을 제공하기에 망설임없이 선택되었다.

 

사진에 담겨져 있는 순간의 찰나를 영원의 시간으로 만들 수 있는 그 큰 위대함에 이끌려 사진이라는 즐거움과 만족감을 쫓아 사진찍기를 즐거움으로 삼게 된 시간이 그리 길지는 않지만, 사진이라는 매력을 조금이나마 알아가고 있는 나의 모습을 발견하면서 인물사진보다는 풍경사진을 더 선호했던 모습이 어쩌면 사람이라는 대상에게 다가가기 힘들뿐더러 그 사람들에게서 원하는 사진의 모습들을 받아내기가 더 어려웠기때문에 풍경사진에 더 호감을 가진것은 아니었을까 스스로를 뒤돌아보게 되었던 계기가 되었던 시간이기도 했다.

 

풍경사진이라고 왜 힘들지 않겠는가. 사시사철로 바뀌는 모습, 똑 같은 모습은 어느 한 수간도 찾을 수가 없을 뿐더러, 때로는 기상악화에도 불구하고 원하는 풍경을 담아내지 못했을 때의 허탈함 등을 감수하면서 자연속에서 자연의 그 위대함을 사진으로 담아내는 그 작업이 어찌 힘들지 않겠는가마는, 그래도 자연은 있는 그대로를 담아내는 것 그 자체, 그리고 그 자연의 일정한 변화에 맞춰서 시기적절하게 담아내고자 하는 노력만 곁들인다면 다소 훌륭한 작품사진들이 나오기도 한다는 그 재미를 일찍이 깨달았기에 풍경사진을 더 선호했는지도 모를일이다.

 

어느 한 쪽 분야로 치우치지 않게 인물사진과 풍경사진에 대한 노하우 모두를 담고 있기에 더 만족도가 높지 않았을까 생각해본다.

 

"진정한 탐험이란 새로운 풍경을 찾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눈을 갖는 것이다"는 마르셀 프루스트의 의견에 전적으로 동감을 하면서 저자가 일상에서, 현장에서 건져올린 사진들과 함께 그 사진들에 대한 사진보다 더 많은 글들을 접하면서 결국은 사진을 잘 찍을 수 있는 기술보다는 좋은 사진을 만들 수 있는 태도에 관한 것을 다루었다는 것을 알게 된다.

 

당신의 사진이 충분히 만족스럽지 않다면 대상에 충분히 다가가지 않은 것이다는 피사체를 향한 촬영자의 애티튜드가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에 대해 왜 역설적으로 표현하게 되었는가를 오롯이 깨닫게 되는 시간이기도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