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들의 생각을 훔치다 - 박경철 김창완 최범석 용이… 생각의 멘토 18인
동아일보 파워인터뷰팀 지음 / 글담출판 / 2011년 4월
평점 :
절판
자신의 분야에서 최고의 길을 가는 이들은 어떤 생각으로 자신을 단련시키며 오늘에 이르렀을까?
성공한 이들의 노하우가 아닌, 그들의 생각에 주목하여 그들의 생각을 듣는다.
현직 정치인에서 시작해 가수, 영화배우, 상아탑 학자에 이르기까지 명사( 사물의 이름을 나타내는 품사. 특정한 사람이나 물건에 쓰이는 이름이나 일반적인 사물에 두루 쓰이는 이름이냐에 따라 고유명사와 보통 명사로, 자립적으로 쓰이느냐 그 앞에 반드시 꾸미는 말이 있어야 하느냐에 따라 자립 명사와 의존 명사로 나뉜다.-네이버백과사전) 의 범위에 제약을 두지 않고 추진되었던 '생각의 멘토'라고 이름붙이기 되었던 그들이 어떤 생각으로 삶을 대하고 일에 임했는지를 그리고 위기의 순간에 자신을 일으켜 세워준 신념은 무엇이었는지를 만날 수 있다.
시골의사 박경철님의 "習"(습)에서 그의 삶에 대한 생각은 "송곳 같은 재주를 지니지 못한 평범한 사람일 뿐이며 대가가 될 만한 특출한 재증을 타고나지 못해 여러 분야에서 두루두루 해보자, 이런 생각을 한 거지요."라고 답변하는 것을 만난다. 이러한 삶의 생각으로 그는 텍스트 재해석이라는 하나의 습관을 만들었을것이다. "저는 그리운 사람이 되고 싶습니다."라는 그의 말에서 참으로 소박하면서도 크고 야무진 삶의 목표를 가지고 있음에 다소 생소하게 생각할 수 있다.
"김창완은 가수입니다"라고 자신있게 말하는 그는 소박하면서도 털털한 모습이 욕심이라고는 털끝만큼도 없어보인다. 그런 그의 모습의 그 이면에는 우리네들이 생각할 수 있는 욕심의 크기가 아닌 그의 삶의 생각의 크기가 무척이나 야무지고 특이하다는 것에 잠시 황당함을 느껴야했다. "죽을 힘을 다해 배반할 것" 도대체 무얼 배반하라는 것인가? 도대체 그의 삶에서 배반이란 말이 나올법이나 하다는 것인가? 많은 의문을 순간 가지게 되었지만, 이내 그의 생각들을 읽어내려가면서 그의 배반이라는 것은 익숙해진 삶에서의 배반을 의미하는 것이었음을 알게 되었고, 그가 그렇게 익숙해진 삶에 대해 죽을 힘을 다해 배반하고 그 삶의 모습을 넘어서기 위해, 또 다른 삶의 노력의 모습을 만나기 위해 정착하지 않았음을 새삼 그의 연기자의 변신과 작곡과 글을 쓰는 이로의 변신이 당연스러운 그의 삶의 열매들이었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70년대의 '산울림' 때부터 발가락 만지작 거리면서 TV에서 만화책을 보며 낄낄거리던 그의 모습들이 어색하지 않게 그의 본래의 모습인양 다가왔던 것이 순전한 연기자로의 변신이 아니라, 그가 죽을 때까지 자기 자신을 채찍질하기 위하여 선택한 '죽을힘을 다해 배반하는 것'에 대한 그의 생각은 자기가 싸우는 적은 자기 자신이었다는 것을 , 지금의 그가 존재하는 것은 남이 아닌 어제의 나와 경쟁하기 때문이었다는 것을 알게 된다.
패션디자이너 최범석님의 '자학(自虐)은 자학(自學)이다'. 수학자 김정한의 '미친듯한 사랑과 신념', 배우 안성기님의 지칠줄 모르는 '한결같이!'에 대한 생각을 들으면서 그가 지금껏 배우 안성기에서 그냥 머무르고 그것만을 부여잡기 위해 아둥바둥 살아온 것이 단순한 아둥바둥이 아니었음을, 그가 수 많은 정치입문의 손짓에도 기꺼이 거절하며 자신의 삶을 바로 세우기 위해, 있는 그 자리에서 사시사철 새로운 모습으로 성장해나가는 큰 나무가 되기 위해 그의 삶의 가장 큰 목표인 '한결같은'그 삶의 모습에서 한결같을 수 있기 위해서는 어느만큼 최선을 다해야하는지를 새삼 느꼈다.
180억 공무원 김가성님의 '목숨걸고 미쳐라' CF 감독 용이님의 미친듯한 기록의 습관으로 '메모광'이라는 모습으로 자신만의 성장비결이라 당당히 말할 수 있는 모습. 디자이너 오준식님의 반짝거리는 아이디어를 넘어선 논리의 생각. 만화가 김수정님의 '대상을 깊이 있고 정확하게 총체적으로 바라보는 관찰의 능력', 아나운서 정연주님의 '흔들리지 않는 삶이 어디 있으랴'를 만나면서 절대적으로 공감할 수 있었던 것은 그들의 삶이나 우리네의 삶의 모습들은 큰 틀에서 자연을 거스르지 않고 사는 한, 비슷하기때문일것이다.
동아일보 파워인터뷰팀이 만난 성공한 이들18인의 생각들을 엮으면서 그들을 '생각의 멘토'라고 정의할 수 있었던 것은 그들이 자신의 현재의 삶에서 만족하지 않고, 다른 사람을 넘어서기 위함이 아닌, 자신들의 생각을 바로잡고, 자신들의 삶을 바로 세우기 위한 그 모습이 현재 진행중이기때문이라고 생각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