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국 여성 100년사 - 렌즈에 비친
리쯔윈.천후이펀.청핑 지음, 김은희 옮김 / 어문학사 / 2011년 2월
평점 :
중국이라는 나라는 이제 우리가 어렸을적에 생각했던 그런 땅만 큰 그런 나라가 아니다. 이제는 그 나라의 힘도 땅의 크기만큼, 인구수만큼 커지고 막강해졌다. 그러한 큰 변화를 가져왔던 20세기의 중국은 과거와 미래의 한 획을 그을만큼의 변화가 있었다. 시대가 변하고 나라가 변한다고 할 때마다 가장 먼저 느끼게 되는 것은 아마도 여성들의 옷차림이었지 않았을까...
과거의 우리나라가 시대적인 변화를 따라 큰 변화의 모습을 보일때마다 보였던 모습은 여성들의 단조로운 옷차림에서의 변화가 가장 크게 변화되고 발전했었던것을 발견하게 되었듯이 중국 여성의 삶과 정신 모두 오랫동안 답답하고 정체된 상태에서 복잡하고 혼란한 변화 속에서 중국 여성은 정신뿐만 아니라 시각적인 형상에 있어서도 이미 전통적인 여성의 모습과 비교할 수도 없게 되었다.
"여성은 타고난 것이 아니며, 여성의 외재적 형상 역시 천성이 아니다"라고 말했던 시몬느 드 보봐르의 말이 아니더라도 때때로 '유행'은 마치 여성의 내부에서만 진행되는 것 같으나, 진정으로 그들을 쥐락펴락하면서 여성들을 몰려다니게 한 것은 시대의 '보이지 않는 손'이었다. 여성은 결코 자신의 형상과 변화를 스스로 결정할 수 없었다. 그녀들의 '독립'적인 형상과 '쿨'한 옷차림 뒤에는 더욱 강력하고 은폐된 시대의 상상과 요구가 있었다.
'형상의 역사'에 촬영이 중요한 역활을 했다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변천'이 형상의 '역사'화의 관건이라면, 촬영은 바로 이 모든 변천을 '집적'하고 '보존'할 수 있게 해주었다.
100년동안의 '형상의 역사'를 돌아보면서 전통에서 현대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사회.정치, 여권사상으로부터 촉진되고 고무되었던 현대 문명의 강력한 지지와 '부추김'의 결과물들을 예상하며 중국의 한 시대를 바라보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이 책은 우리들의 어머니와 할머니의 기록물이기도 하며, 형상물이기도 하다는 것에서 나라가 굳이 다르다는점을 의식하기 힘들다. 부록으로 나와있는 여성 형상과 사회변천의 중대사 기록들을 보면 중국과 중국여성들, 그리고 우리네 어머니 할머니들의 삶에 대해 보다 가깝게 느낄 수 있게 될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