둥글둥글 지구촌 음식이야기 함께 사는 세상 8
김선희 지음, 유남영 그림 / 풀빛 / 201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러분은 먹으려고 살아요? 아니면 살려고 먹어요?"로 시작하는 저자의 물음표에 농담삼아 많이도 했었던 물음들이라 순간  웃음이 나왔다.  먹는다는 것은 어느 누구나에게 가장 행복한 시간일것이다. 그렇기에 먹는다는 것으로 이런 물음표를 던진다는 것에 행복한 미소와 함께 우리나라는 물론이거니와 세계 여러나라의 먹거리들은 어떤 모습일것이며, 또한 그들은 먹을려고 사는지, 아니면 살려고 먹는지에 대해 궁금해지기도 한다.

세계 여러 나라의 음식 문화에 대해 알려주는 이 책에서는 음식 문화와 함께 그곳의 풍토와 관습과 함께 짧은 역사지식들까지도 나온다. 그리고 세계 전통 음식 대부분이 가장 가까운 곳에서 나는 제철 재로로 가장 전통적인 방법으로 만든 음식이란 것도 알게 된다. 슬로푸드, 로컬푸드, 시즌푸드라고 저자가 말하는 것들이다. 

아프리카,유럽, 아메리카, 오세아니아,아시아의 5대륙에 걸친 여러나라의 음식이야기가 체계적으로 구분이 되어서 나열되어있다. 이 세상 최초의 인간이 살았다고 하는 동아프리카 지역에서는 원시 시대 사람들이 식량을 구하던 모습을 먼저 만나게 된다. 날것으로 먹던 것을 어느 모자란 아이의 실수로 인해서 날것이 아닌 익혀먹는 고기로 음식문화가 바뀌게 되었던 이야기를 접할 수 있었으며, 아프리카의 산 족들에게 있어서 아프리카의 대자연은 모두 식량창고였으며 멜론은 물 대신 먹고, 땅속에서 캐낸 뿌리채소는 식량으로 삼았으며, 크고 튼튼한 타조 알은 물통으로 썼다는 것도 알게 되고. 하루에 두끼만 먹는 케냐의 마사이 족 이야기를 접하면서 아프리카 사람들의 원시적인 방법들을 만날 수 있다. 케냐의 그들에게도 동물 꼬치구이인 나마쵸마를 얻게 된 이유도 단순한 우연에서부터 출발했다는것을 알 수 이썽ㅆ다. 전 세계인의 음료로 가장 사랑받는 커피는 에티오피아의 카파라는 지역에 염소 치는 목동 칼디에게서 염소들을 보고 커피를 발견하게 되었다는 일화도 만나게 되고, 그 커피가 어떻게 우리 속으로 들어오게 되었는지에 대한 이야기도 만나게 되는 것들이 한편의 옛날 이야기인듯 하다.

유럽사람들의 식사예절에 대해 더 구체적으로 알 수 있기도 하였으며 신들의 열매라 불리우는 초콜릿의 역사에 대해서 알게 되면서 영국과 14세기의 남아메리카,  아주텍 전사들의 칠레 고추, 에스파냐의 아즈텍 족들의 이야기까지 만나게 된다. 

음식 이야기는 나라를 가르는 것이 아니라 나라를 묶어놓는 것이라고 책에 나와 있듯이, 각 나라에서 만나게 되는 음식들은 그 나라만의 것이 아니라 모든 나라의 것이 되었던 음식이라는 공통적인 부분이 존재한다는 것에 음식에 대한 이야기를 접하면서 그 음식과 함께 나라, 사람, 역사의 한 부분들에 대한 실화들, 그리고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는 음식문화의 전통성. 그러한 것들을 만나면서 나라를 모으고 있는 음식의 신통한 능력을 만나게 되는 시간이 되기도 한다. 음식을 가꾸고, 나누고, 개발하고 하는 모든 것들에 과학과 인류의 바램이 함께 발전해가고 있는 모습을 발견하는 것 또한 매력적인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