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역사란 무엇인가 ㅣ 까치글방 133
E.H. 카 지음, 김택현 옮김 / 까치 / 2007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역사란 무엇인가'
우리 세대는 궁극적으로 완성된 역사를 가질 수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이제는 모든 정보를 얻을 수 잇고 모든 문제를 해결 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에, 우리는 오래도록 틀에 박혀 왔던 역사를 물리칠 수 있고, 우리가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가는 길 위에서 어디에까지 다달아 있는가를 밝힐 수 있습니다.
<7-8페이지>
과거에 있었던 사실만을 추려놓은 것을 역사라고 할 것인가?
19세기는 사실을 아주 높이 떠받들던 시대였다고 한다. Gradgrind씨는 '고난의 시대(Hard Times)'에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제가 바라는 것은 사실입니다. 삶에서 필요한 것은 사실 뿐입니다."
19세기의 역사가들은 대체로 사실을 중요시 하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Barraclough교수는 이렇게 쓰고 있습니다. "우리가 읽는 역사는 비록 사실들에 바탕을 두고 있긴 하지만 엄밀하게 말하자면 결코 사실이 아니라 널리 받아들여지는 일련의 판단들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액튼의 '캠브리지 근대사'를 보자면 역사가를 짓누르는 온갖 요구들이 "그를 학자가 아니라 백과사전을 펴내는 편집자로 탈바꿈시킬 위험을 안고 있다"고 안타까워 했다. 무엇인가 잘못 되어 가고 있다고 생각했던 것이다. 이 사실에 대한 숭배는 문서에 대한 숭배로 더욱 완벽해지고 정당화되었던것이 19세기의 역사란 무엇인가를 돌아보게 하는 대목이다.
20세기 초 이탈리아의 Croce는 모든 역사는 "현대사"라고 잘라 말했으며 그는 이 말로 역사란 본질적으로 현재의 눈을 통해서 그리고 현재의 문제에 비추어서 과거를 바라보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역사가가 주로 하는 일은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평가하는 것임을 말하고자 했다. 역사가란 과거가 아니라 현재에 속해 있다. Trevor-Roper교수는 역사가가 할 일은 과거를 사랑하는 것도 또 스스로를 과거에서 해방시키는 것도 아니라, 현재를 이해하기 위한 열쇠로서 과거를 알고 이해하는 것이라고 했다. 이처럼 시대가 변하면서 역사에 대한 인식들도 점차 바뀌어갔던것을 알 수 있다.
역사란 무엇인가?에 대한 또 다른 답은 여전히 과거에도 그랬던 것처럼 앞으로도 바뀔것이다. 하지만 그 역사를 통하여서 우리가 현재와 미래를 가늠하고 준비하며 앞으로 나아가려 함에는 더욱 치열한 노력을 할 것이리라.
역사가 궁금한 이들에게 과거에는 역사에 대한 인식이 어떠했으며 어떻게 역사에 대한 인식이 바뀌어져가고 있었는지 그리고 앞으로의 역사인식은 어떻게 바뀌게 될 것인지에 대한 자세한 흐름을 들여다 볼 수 있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