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생, 작품으로 말하다
이은식 지음 / 타오름 / 2010년 7월
평점 :
품절


태어남의 자리에 대해 몇 백번 몇 천번을 이야기한들 바뀌어지는 없었다. 세상을 살아가면서 불평하지 않을 수 있는것은 과연 얼마나 될까. 일흔 일곱먼이라도 만족할 만한 그런 태생은 또 어디 있겠는가. 모래밭에 씨가 뿌려졌다고 해도 기름진 토양에 뿌려진것 같이 삶을 꽃피울 수 있을까. 과연 그리 사는 사람은 몇이나 될까. ??? 모든 삶은 물음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적어도 지금 시대가 아닌 남여존비가 더욱 뚜렷했던 조선시대에 태어나 살아온 우리 선조들의 생각은 그리 했을것이다.

 

직업에 귀천이 어디 있으며, 삶에 천하고 귀한 구별이 어디 있겠는가...라는 말을 어디선가 들은 기억이 난다. 하지만 그 말은 다만 하나의 글자에 지나지 않을 그뿐이었다. 삶의 많은 부분들에서는 귀천이 가려져 있으며, 그에 따라 너무나 다른 삶과 행복의 수치를 지니고 살아가기도 한다. 행복의 수치라는 것이 잘살고 직업이 귀한 자들에게 더 행복하다는 법칙이 존재하지 않은것이 다만 다행스러울뿐이다. 이 책에서 이은식 박사가 알려주듯이 조선시대의 기생들의 삶을 알아보자니, 요즘에 느끼는 흔한 인식처럼 몸을 바쳐서 살아가는 그런 기생이 원래는 아니었다라는 것에 다소나마 위안을 얻기도 하지만, 어디서 어떻게 기생이 되었는지에 대해 가지각색의 삶의 우여곡절을 연상해가면서 느껴야 하는 사회의 부조리와 숨막히는 그런 인생의 모습들속에서 결국은 결국은 한 여인네의 부러워 보이지 않은 그런 삶의 모습들과 함께 기생들이 지니고 있었던 나름대로 나타내고 있었던 그 재능들이 더 고귀하게 가치있게 쓰여지는 그런 사회구조였다면 얼마나 좋았을까 하는 바램이 더욱 커지게 되는 내용을 접하게 되었을뿐이었다. 기생이라는 천하디 천한 그 신분에서도 낙담하지 아니하고 그녀들이 가지고 있는 재능을 가치있게 세상에 내보이고자 노력했던 여인네들의 모습들과 한 여자가 한 남자에게 지극한 사랑을 받기 위해 정절을 지키고 살아갔던 그 여인네의 모습과 자신들의 재능을 값으로 매길 수 없는 그 재능들을 갈고 닦기 위해 노력했던 그 인고의 세월속에서 우리 조상들의 한을 들여다 볼 수 있는 시간이 되었다.

 

참으로 많은 여인네들의 삶이 이 책에는 나와 있다. 기생들 중에서도 세 부류로 나뉘어졌다는 새로운 사실도 알게 되고, 먹고 살기 힘들어 기생의 모습으로 살게 된 모습들 역적이라는 이름으로 다시 다루어지게 되는 자녀들의 신분추락의 한 모습으로 관비가 되어야만 했던 그 모습에서 홍경래의 난을 기억하면서 홍경래의 딸 송이의 모습을 기억하며 가슴저리게 아파해야했던 그 마음을 다시금 느끼게도 된다. 조선의 시대사별로 기생의 모습도 달라지고 기생이라는 이름으로 살게 되는 여인네들의 생활사도 바뀌게 되는것을 지켜보면서 처절하게 삶의 전부를 걸어서라도 벗어나고자 했던 그 기생이라는 신분이 그녀들에게 올가미가 되었을것이라는 생각은 변함이 없다. 하지만, 신분의 변화를 위해서만 그녀들이 그런 정절을 지키고 자신들의 재능을 갈고 닦은것이 아니었다는 것은 그녀들의 진실된 사랑의 모습들을 통해서 또한 알게 되는 것이니 수 많은 남정네들중에서도 황진이와 임제의 주고 받은 모습들 속에서는 삶의 진솔함이 묻어나 있었음을 직접적으로 알 수 있었다. 매창과 함께 허균의 또 다른 역사적인 모습들을 그려보며 매창의 기생으로의 삶에서 조선의 기생의 삶이 어떠하였는지를 실감하고 그녀의 삶에 기생이라는 모습이 어느만큼 족쇄의 역활을 했을지에 대해 아픔과 아물지 못한 상처의 마음으로 느끼게 되었다. 다만 그녀들이 그들의 삶에서 결국은 행복한 결말을 원했으며 한 남정네에게 견줄 수 없는 깊은 사랑을 흠모했었다는 것에서 아주 작은 그녀들의 소망이 헛되지 않기를 바라고 바래야 했었다. 고귀한 자와 천박한 신분으로 태어남을 운명이라는 이름으로 받아들여야만 했을 그들의 삶의 질곡을 느낄 수 있음은 운명이라는 것이 행복과 불행을 거대한 힘으로 갈라놓는 듯 보이기도 하지만 시작도 끝도 모르는 길을 걷게 하다가 마지막엔 죽음이란 길을 보여주는것은 다른 신분의 모습으로 살아온 모든 다른이들과 함께 모든 생명체가 겪게 되는 타고난 불변의 운명이라는 것에 할 말을 잃어버리게 한다.

 

역사속 짧은 구절속에서 만나게 되는 그녀들의 흔적이지만, 스스로 그들을 천박하다 지칭하던 남성들도 그 유능함과 미색에 도취되어 때로는 참된 인간미를 배우기도 하고 그 지혜와 인내에 손을 놓지 못한 채 정인(精人)이라 이름하고 이 세상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연인으로 기쁨과 가슴 아픔을 함께 누리며 살다간 선인들도 허다했다는 것을 기억하길 바라며 기생이라는 이름으로 살아야 했던 조선시대 여인네들의 또 다른 삶을 그들이 토해 놓은 가락과 시맥(詩脈) 그리고 곧은 정절을 한두 줄의 흔적으로만 남기기에 너무도 안타까운 마음을 이곳에 담아놓고자 했던 이은식박사님의 구구절절한 그 조각들과 그 흔적들에서 역사속의 인물과 함께 역사의 또 다른 모습을 발견하고 현실을 살아가며 미래를 준비하는 그 모습들에서 좋은것을 더 본 받아 가야 함에 지혜를 주었다는 점에 의미가 있음을 기억해야 할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