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 동양신화 중국편 - 신화학자 정재서 교수가 들려주는
정재서 지음 / 김영사 / 2010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네 상상력의 한계는 과연 있기나 하는것인가! 그 상상력의 실체를 우리 동양인들의 시각에서 잘 알 수 있었던 내용이었다.

 

그리스로마신화로 더 잘 알려졌던 '신화'속에서 나오는 신들의 이야기가 마냥 재밌고, 우스꽝스러워서 책을 들춰보고 또 보고 그랬었던 아이들의 모습이 생각난다. 그러한 모습들을 보면서 솔직한 마음은 우리네 동양신화도 있을터인데 왜 우리 아이들은 서양신화에 집착하고 서양신화속의 신들의 모습에 열광해야 하는걸까 하는 의문과 함께 아쉬움이 많아졌었는데 이처럼 우리 동양인들의 생활과 함께 만들어졌던 중국의 동양신화에 대한 책이 나왔다는 소식을 듣고 무척이나 많은 기대를 가지게 된다.

 

엄청난 거인 반고(般古)는 어느 날 갑자기 쓰러져서 몸 하나 하나가 세상 만물로 변화했다. 살은 흙이 되고, 뼈는 돌이 되고, 피는 강이 되고, 머리카락은 숲이 된다. 반고에 대한 신화를 접하면서 어쩌면 오늘날의 지구는 거인의 몸 그 자체이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거인의 몸이 지구였다면 인체는 무엇일까? 인체는 소우주이지 않을까... 우리가 흔히 인체를 두고서 '인체는 소우주'라는 말이 이때부터 생겨나지 않았었을까 생각하게 되는 대목이다.

 

정재서님이 철저하게 중국 고대 문헌의 원전 자료를 바탕으로 이 신화 이야기를 써내려 가면서 느꼈을 생각이 나의 생각과 비슷한 것은 서양신화에 나오는 신들이 크고 잘생기며 멋있었던 반면에 동양신화에 나온 신들을 보자면 거의가 비슷비슷하게 사람과 짐승이 합쳐진듯한 그런 모양새에 생김새도 아기자기하고 오목조목한 모습이었다는 점이다. 동양신화에 나온 신들의 성격들을 종합해보자면 우리네 사람들이 살아가는 생활과 연계되어 농사와 수렵등 살고 먹는일을 주관하고 도와주는 일을 하였으며, 비와 바람과 구름들을 자연을 관리하고 사람을 관리하며 귀신을 관리하는 그런 모습들을 보면서 우리네 생활과 밀접하게 관계하여 항상 보살펴주는 마음이 따뜻한 신으로 묘사되고 있었다. 비록 모습은 서양의 신화에 나오는 모습들과 비교하여 멋있지는 못하나, 외면보다는 내면을 중요시햇던 동양사상이 깃들어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서양의 신화에 매료되고 중독되고 그 신화의 이야기에 열광하고 있는 우리 동양의 아이들을 안타까이 생각하는 마음으로 동양신화를 더 체계적으로 더 쉽게 집필하고자 했던 정재서님의 노력이 고스란히 묻어나는 책이었다. 한가지 놀라웠던 사실은 동양신화 중국편을 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고구려의 혼이 묻어 있었으며 우리 조상들의 흔적과 사상이 드러나 있었음을 만나게 되면서 중국과 우리 조상들과의 연관성에 대해 더 궁금해하는 마음이 생겼던 것이다. 고구려의 무덤속 벽화를 보면서 우리는 중국의 신화속의 신들을 이미지로 우리에게 공개할 수 있었다는 것에 우리나라도 동양신화를 대표하는 중국의 동양신화에 일조하고 있었음에 나름의 자부심을 느낄 수 있기도 했다.

 

많은 텍스트들중에서 참으로 많은 이미지 자료 최대한 활용하였기에 어렵게만 느껴지고 어색하게만 다가오고 있는 동양신화에 대한 친근함을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하는 모습으로 짜여진 책의 구성에서 이제는 우리의 상상력의 시각에서 중국 신화의 정체성을 찾을 수 있으리라는 기대감을 가지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