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사 진검승부 - 조선왕조실록에 감춰진 500년의 진실
이한우 지음 / 해냄 / 2009년 11월
평점 :
품절


  [사람이 있는 역사]

  이한우님은 조선의 역사속에서 사람이 있는 역사를 지금의 이 시대에 보여주고 싶으셨던것이다.

과거였고,없어진 사람, 없어진 이야기가 아닌 지금도 우리의 현실에서 반복되어지고 있는 그 역사의 그 위대함에서 생명을 넣어주고 싶으셨던것이다.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조선왕조실록 』에서 역사의 진실을 찾아서 우리에게 내놓은 작품은 가히 생명력이 있는 내용이었다.

  피비린내나는 조선의 역사속에서 때로는 평화로움과 부흥의 시기도 있었지만, 그래도 위화도회군을 통하여 얻어졌던 조선의 역사앞에서 선입관의 이유였었는지는 모르지만, 긍정적인 평가보다는 부정의 눈으로 바라보게 되는게 더 많았던 건 사실이다. 그리고 그 역사는 이미 과거였으니깐 그 과거속에서 역사의 과정으로만 받아들이면 된다고 생각을 했다. 단순하게. 하지만, 결코 부인할 수 없는 것이 있으니 역사가 되풀이 된다는 그 말속에서 다시금 조선의 역사를 돌아보게 되고 그들의 정치사 그들의 삶 속에서 오늘날의 우리네의 삶의 근원과 해답을 유추해보기도 하게 되니 '이한우님의 조선사진검승부'를 만나기전에는 어쩔 수 없는 과거의 역사속에서 벗어나지를 못했지만, [사람이 있는 역사]를 접하게 되면서, 그 시대의 지금의 시대와 별반 다르지 않음을 선명하게 깨닫게 된다.

  무척이나 궁금했었던 고려의 왕족이었던 그 많은 왕씨가 어찌하여, 어떤 과정을 통하여서 귀한 성씨로 전락하게 되었는지? 등등의 다섯가지 테마로 분류된 조선의 역사속 세세한 이야기들에서 선조들의 삶의 방법을 다시금 깨닫기도 하고 권력을 향한 욕심, 부에 대한 욕심의 시대적인 방법론에 대해서도 알게 되며, 민생들의 소소한 삶의 이야기들을 들여다보면서 인생사가 그때나 지금이나 다 똑같았구나...를 새삼 느끼기도 했다.

  역사를 들여다보면서 '야사'에 대한 흥미는 누구나가 남다를것이다. '조선왕조실록'에서 흥미진진한 '야사'같은 이야기를 추출해 놓은 이한우님의 '실록'읽기 과정은 조선 시대에 대한 대한민국 사람들의 오만을 털어내는 과정이었으며 그 과정으로 말미암아 비로소 '역사에 사람을 채워주는 일' 곧 역사와 삶을 만나게 해주는 일은, 우리들에게 살아있는 역사를 선물해준것이다.

  조선사 교양으로 만나게 되는 성씨이야기들도 남의것을 훔쳐보는것마냥 흥미진진함을 느끼게 될것이다.

 

  승부, 권력, 유혹과 진실, 법도, 그리고 역사... 이 단어들 속에서 조선의 역사는 이한우님의 필체를 따라서 삶의 현장속에서 우리시대의 삶이 되고 지혜를 주고 있는 모습을 발견하게 될것이다. 이 책을 다 읽게 된다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