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없는 일이지만 알라딘 적립금을 주셔서 신나게 구경했다. 북펀드는 자주 안 하는데 샬럿 브론테의 저서 중 국내 초역인데 게다가 송은주 번역가님이라고. 와!!




갑자기 존댓말.. 요새 제가 구독하는 뉴스레터 영업합니다. 
김선형 번역가님이 발행하는 제인 오스틴의 편지함. 글만 보면 기세 좋은 물처럼 콸콸 흘러가서 신나게 읽히는데 처음 들어보는 이야기, 특히 ‘고전’과 ‘번역’, ‘고전 번역’이라는 화두에 맞는 정보까지 꽉 차 있어 재밌습니다.

“무수한 작가와 영문학자를 매혹했을 뿐 아니라 현대의 일반 독자들, 심지어 대중소설의 장르 팬덤까지 열렬하게 매료시킨, 그 엄청난 스토리텔링의 동시대성 말이지요. 지금은 조금 낯설게 읽히는 영어 표현들—이를테면 오스틴의 소설에는 ‘personality’라는 단어가 나오지 않습니다. ‘disposition’이라고 해요. 이 시대에는 ‘개인’이라는 개념이 아직 확립되지 않았거든요—의 장벽을 훌쩍 넘어, 눈앞에서 생생하게 살아 움직이는 듯한 구어체의 생동감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그렇기에 제인은 지금까지도 끝없이 대중문화의 여러 장르에서 다채롭게 변주된다는 점에서, 감히 윌리엄 셰익스피어에 견줄 수 있는 유일한 작가이기도 하지요.” 첫 레터, 젊은 제인의 초상 중에서

아래 링크는 뉴스레터 하단의 공유링크인데 저한테 초대 포인트라는(?) 게 오는, 뭔가 차후에 득이 될 수도 있는 링크 같아요. 신경 쓰이시면 구글에 번역가와 뉴스레터 제목 검색으로 구독하시면 됩니다.

👉 https://maily.so/austenletters/posts/1gz24q3wr3q?mid=10z3wpn5lrl



두번째는 LS 산전의 무가지/ 사외보 보보담입니다. 구독 신청하면 종이책이 배송(연 4회)되는데요. Pdf로도 지나간 호를 볼 수 있어요. 서재분들도 좋아하시는 김연수 작가의 짧은 소설이 근래에는 주욱 실렸던 것 같고, 그때 그때 어느 작가의 글, 누구의 인터뷰가 실리는지는 주제에 따라 달라요. 지역과 역사 문화를 테마로 하니까 여행인문잡지?같기도 하고. 저도 구독한지 오래된 건 아니라서 잡지 성격에 대해서는 더 잘 아시는 분이 계실 것 같은데 ㅎㅎ 어제 받은 이번 호는 숲과 물 사진이 그득한 평소와 다르게 서울, 그중에서도 강남사를 다뤄서 재건축이라는 명제 앞의 오래된 아파트들 사진이 실려 있어 새로웠습니다. 서울을 떠나고서야 느꼈는데 나이 많은 나무들이 베푸는 것을 꽤 누리고 살았구나, 그걸 또 몰랐구나, 생각하던 차라서요. 생각보다 공통점이 많다는 걸 알게 된 정이현 작가님의 산문도 실렸네요. 아무튼 궁금하신 분은 한번 쯤은 종이책으로도 봐보시면 좋을 거 같아요. 종이의 감촉, 향, 수록된 크기부터 압도적인 사진 도판. 넘길 때 설렘..

👉  https://www.lsnetworks.com/html/pr/bobodam.asp

구독료는 둘 다 없습니다. 그럼 이만 총총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단발머리 2025-02-10 08:1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우리 브론테 언니 책, 펀딩하고 돌아오는 길입니다. 움하하하하핫! 좋은 정보 감사해요~~
구독도 관심이 가기는 하는데 제가 구독/잡지/간행물 이쪽으로는 ㅋㅋㅋㅋㅋㅋ 사 놓고 안 읽는 쪽은 다 그 쪽이라서요. 그래도 도전해볼까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유수 2025-02-10 08:54   좋아요 1 | URL
제인 오스틴의 편지함은 이메일로 오기도 하고 내용을 좋아하실 거 같은데요ㅎㅎ 단발님 마음가는대로🎶
 

너무 사랑스러운 거 아니야 ㅜ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람, 장소, 환대 현대의 지성 159
김현경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동안 다시 읽어야지 마음만 먹고 있다가 연휴부터 야금야금 재독했다. 어쩐지 전보다 개운하게 읽어(져)서 감상도 적을 수 있을 것만 같고 오늘 뿌듯하네. 이 기세로!


댓글(3)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공쟝쟝 2025-02-09 10:5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어서 쓰란 말이다 (챠락-!)

유수 2025-02-09 22:30   좋아요 1 | URL
쟝님 물벼락이라면 써질 것만 같은 기분

공쟝쟝 2025-02-09 22:57   좋아요 1 | URL
채찍이엇는데 물벼락을 맞으시다니!! 🤣
 

이러한 ··· 결혼 없는 관계는 후대까지도 로마에 여전히 남아 있었으며 폭넓게 발전한 자유연애 체제의 토대였다. 그것은 곧 다른 종류의 매춘으로 변했다."
사실 이러한 설명에는 보충이 필요하다. 로마의 팽창주의 정책은성 노동자의 폭넓고 지속적인 공급을 보장했다. 성 노동자의 지속적인 공급이 가능했던 것이 외국 식민지 정복의 결과로 포획된 수천 명의 연이은 노예의 물결이 도시를 휩쓸었기 때문만은 아니었다. 로마건국 이후 1,000년 동안 지속되었던 팽창기를 비롯해 잇단 전쟁으로몰락한 농민들이 토지를 떠나 임노동을 찾아 도시로 유입된 것 역시성 노동자의 지속적인 공급을 가능하게 했다. 어떤 면에서 이 ‘자유빈민‘은 노예보다 훨씬 생활이 어려웠다. 노예는 최소한 그들을 재산으로 여기는 주인한테서 주거와 식량을 제공받았기 때문이다. - P74

고 있었다. 로마가 고대 세계에서 가장 거대하고 부유한 제국이 될수 있었던 것은 이전의 어떤 문명에서도 꿈꿀 수 없었던 대단위 노예노동 착취에 기반을 두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수세기 동안 권력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 역시 노예 덕분이었다. 로마의 법률가들은 완전한소유권 개념을 고안해낸 최초의 사람들이었다. 완전한 소유권 개념은노예에게도 적용되어, 노예는 법적인 대상으로서 동물, 심지어 도구와 다를 바 없었다. 노예 소유주의 권한은 초기 가부장제 사회에서가장이 지녔던 권한과 유사했으며 로마 제국의 생존이 노예에게 달려있었기 때문에 노예의 복종이 아내의 복종보다 더 효과적이었다.
고대 그리스와 달리 로마는 민주주의를 발전시킨 적이 없다. 그래서 로마의 권력층은 중간 계급의 수적 팽창을 허용하지 않았으며 소수 귀족이 전체 제국에 대한 권한을 유지했다. - P7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새 책 와서 시리즈 다른 책이랑 줄 세우기. 사두고 안 읽은 책 읽기. 저녁하러 가기…


댓글(12)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단발머리 2025-02-05 09:1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랑 텀블러 똑같아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참고로 저의 보리차 전용 텀블러입니다ㅋㅋㅋㅋ

유수 2025-02-05 09:15   좋아요 0 | URL
똑같은 거 하이파이브! 차 담기 딱 좋은 거 같아요. 나도 오늘은 보리차 끓여가야지🎵🎵

HAKUNAMATATA 2025-02-04 22:5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세종도서관이네요
6년전 놀이터 ~^^

2025-02-05 18:19   URL
비밀 댓글입니다.

공쟝쟝 2025-02-05 17:4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도 행복의 약속 새로 나온 거 사고 싶어서 드릉드릉드릉- 헤헷

유수 2025-02-05 17:45   좋아요 0 | URL
와 thanksto쟝님이다! 왜 새로 나온 건지 혹시 이유 아세요? 모르고 샀지만 궁금함은 남았고😆

공쟝쟝 2025-02-05 18:03   좋아요 1 | URL
글쎄요! 절판이었는데 표지갈이를 해서 다시 나왔도라!!! 한 번 더 읽으라는 계시 😌

유수 2025-02-05 18:21   좋아요 1 | URL
저한텐 이젠 좀 읽으라는 계시! (아 절판이었군요)

공쟝쟝 2025-02-05 18:07   좋아요 1 | URL
유수님 읽을 때 따라 읽어야지 😗

유수 2025-02-05 18:13   좋아요 0 | URL
왜 설레죠 으허허허

오후 2025-02-08 23:2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행복의 약속, 사두고 아직 손을 못 대고 있네요. 그리고 오혜진 선생님 책! 읽고 싶습니다.

유수 2025-02-09 10:16   좋아요 0 | URL
시간 나실 때 같이 읽어요😆 저도 읽는대로 조금씩 기록 남겨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