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31 | 32 | 33 | 34 | 35 | 36 | 37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요러분.... 경제학 입문할만한 책 추천해주세요... 혹은 경제 공부하려면 이 책만은 읽어야 한다!!! 하는 책도 괜찮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나는 소망한다 내게 금지된 것을
양귀자 지음 / 살림 / 2001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제 스스로를 신의 대리자라 믿는 27세 여자 강민주가 일반 여성들에게 ‘어딘가 괜찮은 남자가 있을 것이다’ 같은 환상을 심어준다는 죄목으로 인기 탤런트 백승하를 납치 감금한다







시종일관 오만하고 거만한 태도를 견지하는 이 기깔나는 성질머리를 가진 여성 캐릭터 (그리고 개부자임) 자체가 넘 신선하고, 중간중간 혼잣말처럼 끼어드는 남성사회 대한 신랄한 비난이 어쩜 이렇게 찰질까 싶게 통쾌한데 그래서 결말이 주는 배신감과 절망감이 배로 돌아오는 것이다.. .





귀자햄.. 왜 또 여자를 ‘사랑’에 빠지게 만들었어요 ,, ,,,,,,



강민주가 충실한 심복이라고 믿었던 황남기에게 죽임 당하는 것도 결국 (단면적인 해석이지만) 사랑-과 그에 부속품처럼 따라오는 질투-때문이니 이성애야말로 여성에겐 불구대천의 원수가 아닌가 싶은 것이다



경찰에 빌미를 제공한 것도 강민주 스토킹하던 남자, 강민주를 실제로 죽인 것도 남자, 강민주의 강인한 정신을 교란시켜버린 것(사랑이라고 말하고 싶어하지만 정신착란에 가까울 것이다)도 남자



남성주의 사회를 마음껏 비틀고 비웃고 싶어했던 여자가 결국 >사랑<에 빠져 남자한테 죽임 당하는 이야기1 이 되어버렸냄..



이런 계급지형에서 남자랑 여자는 진짜 ‘사랑’이 가능한가? 절대 아니! 라고 단언하고 싶은 마음을 떨쳐버릴 수 없지만 구건 내가 레주비언이라 할 수 있는 말이 아닌가 싶기도 해서 일단 유보한다 관련해서 파헤친 책들 많이 있을테니 일단 읽어봐야겠디





여하튼 <모순>적으로 이 작품은 여성들에게 백승하 같은 유니콘이 어디선가 숨쉬고 있을지 모른다는 환상을 견고하게 만들어 준 셈.. .

남자는 한 종이라는 대진리를 전파하다 왜 이렇게 고꾸라지셨나





그렇지만 이런 판단들과는 별개로 이미 92년도에 이러케 남성사회에 대한 ‘테러리스트’를 자처하는 여성인물이 등장한 바 있는데 <82년생 김지영> 정도로 호들갑 떠는 꼴이라니.. . 경멸을 지울 수가 업는 것이다 ㅋ ㅋ



계보를 확보하고 계속 주지시켜 나가는 건 이래서 중요하다

전혀 급진적인 논의가 아닌데도 계보가 삭제된 채 인지되니 논의가 자꾸 헛도는 것이다 자꾸 초면인거 같으니까 화들짝 기겁하는 거에서 한발짝을 못나감 따지고 뜯어보면 이렇게 몇 십년을 반복해서 말해온 것임에도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년의 뜰은 단편집이었다는 충격적인 사실 ... ..

(네 편째일 때 깨달음)



어두운 완서햄일거라 생각했는데 ,, , 전혀 아니였고(계층차이에서 유래한다고 퉁쳐본다) 읽다 자면 악몽꾸기 딱 좋고 천하의 명랑소녀도 우울에 적셔버릴 작품이로세 ...

정희사마 종갓집 맏며느리였다는데 어찌 고개가 아니끄덕여질쏘냐 ,, ,,, ㅠ



김영하가 등단초에 내고 싶어한다고 느꼈던 (그러나 번번이 헛발질했던) 작풍의 정수가 실은 여기에 다 담겨있지 않은가 싶네 김영하가 내 블로그 들어와보는거 아니겠지.. . 저 님 좋다고 옛날에 포스팅도 했는데... ㅠ 봐주세요.. ㅠ..



어쨌건 와 , 잘쓴다 하면서 읽게 되는데 이 감탄은 압축적인 한 문장을 끌어내는 능력이나 마음을 건드는 서사성에서 오는게 아니라 장치를 잘 심는다는 게 눈에 보여서 그런 거 같다

묘사도 아주 좋은데 이런식의 문장력은 젊은 작가들 사이에선 거의 절멸한게 아닌가 싶다



자꾸 다른 작가들이랑 비교해서 쓰게 되는거 같지만 내 불러구인데 뭐 어쩔텐가



왜 요즘 작가들한텐 이런 경향이 안보일까 어쩌면 이것도 sns영향일지도 모르겠다 sns를 점거해버린 출판사 마케팅에 적합한 작품은 사람들이 공감할만한 한 두줄을 뽑아내 예쁜 사진에 붙여 올릴 수 있는 작품일테니. .. 물론 작가들이 그딴걸 의식하겠냐만은..



오정희 소설은 심리묘사 없이도 심리를 느끼게 한다는 점에서 시에 가깝다는 생각도 든다

착잡해지고 싶다면 읽어보세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너무나 오랜만에 쓰ㅡ는 독후감,,
짧고 얕게라도 남겨두는 습관을 들이잣....

뒤라스 작품을 접한건 <이게 다예요>가 처음이었고 그걸 읽고난 내게 뒤라스는 사랑으로 현현하는 작가가 되었다
<연인>은 제목부터 대놓고이기 때문에 비슷한 걸 기대했던 거 같다 그취만 다 읽고나니 이건 사랑얘기가 아닌 것 같은걸..
중국인 갑부청년(정확히는 갑부의 아들이지만..)과 백인소녀의 쌉사래하고 매혹적인 사랑이야긔,..S2 .. 로 읽기엔 거슬리는 부분이 심히 많은데 조런 식으로 읽어버리면 너무 낭만적인 독해지않을까
인간이 외로움과 고독의 극한까지 가버렸을때 남성이 말을 갖게 되면 카뮈식으로 가고 여성이 갖게 되면 이러케 쓰게 되는 거 같다 나는 뒤라스를 잘 모르고 내가 뒤라스도 아니지만 여기에 뒤라스가 쓴건 사랑이 아니라 좀 더 근원에 가깝고 좀 더 본질적인 . ,,..

베트남 정경이나 메콩강을 건너는 묘사가 그토록 감각적으로 느껴지는 건 역시 뒤라스(와 책의 화자)가 백인이고 통치계급에 속하는 국적을 가졌기 때문이겠지 그곳에서 -가난하게-‘살아가고’ 있더라도 헤게모니를 쥐고 태어난 이들에게 식민지란 어디까지나 여행 온 이의 시선이 한계라는 매쥑........

그런데 작품해설이랍시고 달려있는게 수준이 꼭 .. 내 레포트 수준이라 할말을 잃음 ㅋㅋ 그러한 분석은 분명 설득력 있다 고 어떤 ‘견해’를 지지하는데 논거는 제시하지 않고 대충 눙쳐버리는 것이 과제하는 나와 꼭 닮았당ㅎㅎ

작품 해설 이라는 타이틀까지 달고 썼으면 무의식과 정신분석의 개념을 확장해서 설명해달라고.. 그런 틀로 고찰하길 추천하지말고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잘돼가? 무엇이든 - <미쓰 홍당무> <비밀은 없다> 이경미 첫 번째 에세이
이경미 지음 / arte(아르테) / 2018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매력있는 인간은 뭘 찌끄려도 재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31 | 32 | 33 | 34 | 35 | 36 | 37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