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을 위한 철학수업 - 자유를 위한 작은 용기 문학동네 우리 시대의 명강의 5
이진경 지음 / 문학동네 / 201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힐링이나 어설픈 위로가 아니라 현실을 직시하도록 눈을 뜨게 해주는 책이다.
뼈아픈 현실을 딛고 일어서도록 격려해주는 책이다.

 "이해할수 없어!"는 내 지성의 무능력을 표현하는 말이다. 그것은 자신의 지성이 전제하고 있는 것만으로 판단하려는 태도를 무심결에 토로하는무지의 표출이다.
 그 무능력한 자신만의 지성에 머물러 있는 한, 지성의 노예를 면할수 없다. "이해할 수 없어!"는 그 노예의 언사고, 거기 동반되는 분노는 노예의 감정이다. 대개는 내 마음을 상하게 하고 심하면 누구처럼죽음에 이르게까지 하는 그런 감정이다. 뒤집어 생각해보면, 무언가 이해할 수 없는 일은, 그게 어떤 종류의 일이든 내 지성의 한계가 드러나는 사태다. 따라서 그것은 내 지성이 자명하다고 가정하는 전제에 대해 다시 생각할 기회, 그럼으로써 내 지성의 한계를 확장할 기회를 뜻한다. "이해할 수 없어" 라는단어를"대체왜그랬을까?"라는 질문을 바꾸는 순간, 그리고 그 의문에 답하기 위해 저 이해 할 수 없는 이의 입장에 서는 순간, 비로소 나는 내가 생각하지 못한 것을 향해 한 걸음 내딛게 된다.
p187

자존심은 약한 자들이 자신의 약함을 가리기 위한 방어기제고, 자긍심은 강한 자들이 스스로 갖고 있는 힘에 대한 긍정이다. 전자는 남을 향한 것이라면, 후자는 자기를 향한 것이다. 그렇기에 자존심은 남얘기에 귀를 쫑긋 세우지만, 남의 비판에는 귀가 닫혀 있고, 자긍심은남 얘기에 귀를 세우지 않지만 남의 비판에는 열려 있다. 자존심은 항상 남들에게 자신을 설명하고 변명하려 하지만, 자긍심은 그럴 필요를 느끼지 못한다. 약한 자, 스스로를 믿지 못하는 자는 한 번의 큰 흔들림이나 의심만으로도 붕괴할 수 있지만, 강한 자, 스스로를 확신하는 자는 어떤 흔들림이나 의심에도 흔들리지 않기 때문이다. 남들 앞 에 자신을 세우려는 자는 작은 비판도 받아치고 반박해야 하지만, 스 스로를 확신하는 자는 근본적인 비판이나 의심조차 진지하게 검토하고 받아들 수 있다. p23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의 사촌 레이첼
대프니 듀 모리에 지음, 변용란 옮김 / 현대문학 / 201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의 골칫덩이 레이첼이 마침내 내게 일을 저질렀다˝

아버지와 같은 나의 보호자인 사촌형에게 이런 편지를 받게 된다면 어떤 기분일까?

필립은 요양차 이탈리아로 떠난 사촌형에게서 갑작스런 결혼소식과 그후 얼마 뒤 불길한 편지들을 받고 이탈리아에 도착하지만 이미 사촌형은 죽은 뒤였다.
미망인 레이첼은 떠난 뒤였고 사촌형의 죽음은 의문만 남긴다.

레이첼이 필립의 저택으로 찾아오면서 어리고 순진한 필립이 어떻게 레이첼에게 미혹되는지, 어떻게 끌려가는지 읽는 내내 답답했다.

하지만 마지막 책장을 덮으면서 드는 생각은 왜 ˝레베카˝도 레베카의 말을 들을 수 없고 이 책도 레이첼의 말을 들을 수 없는가이다.
그냥 이렇게 끝나버리면 레이첼은 정말 악녀로 남게 되는가.
알 수 없는 레이첼의 마음이 궁금하다.
역시 대프니 듀 모리에 책은 후회가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크리스티네, 변신에 도취하다 크리스티네, 변신에 도취하다
슈테판 츠바이크 지음, 남기철 옮김 / 이숲에올빼미 / 2011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이렇게 마지막을 장식할 줄은 몰랐다.
나는 마지막이 마음에 들지만.

시골 구석에 우체국을 다니는 크리스티네.
전쟁에서 6년을 고생끝에 살아 돌아왔지만 아무것도 남아있는 것이 없는 페르디난트.

크리스티네는 이모의 초청으로 스위스 휴양지에서 아흐래를 보낸 후 비참한 현실에 치를 떨게 되고
페르디난트는 끝없는 생활고에 지쳐있다.

푸념하고 서로를 이해 해주는 상대방에게 이끌려 만남을 이어가지만 이마저도 지쳐간다.
마지막으로 이 둘이 선택할 수 있는 인생은 무엇이 있을까?

후반부 크리스티네와 페르디난트가 나누는 대화에서 느껴지는 고통들은 사실 지금도 직면한 문제들이 많아 공감가는 부분들이 많다.

츠바이크의 소설들은 역시 후회하지 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더 나이트
커트 보니것 지음, 김한영 옮김 / 문학동네 / 200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난 너의 운명도 아니고, 악마도 아니다!" 내가 말했다. "네모습을 봐라! 맨손으로 악을 물리치려고 왔지만, 지금은 버스옆구리에 치인 사람 꼴로 비참하게 돌아가고 있다! 이건 자업자득이다! 그리고 순수한 악을 물리치겠다고 전쟁을 일삼는 사람 은 누구나 그런 꼴이 된다. 싸움을 벌일 이유는 많다. 하지만 적 을 무조건 증오하고, 전지전능한 하느님도 자기와 함께 적을 증오한다고 상상할 이유는 어디에도 없다. 악이 어디 있는 줄 아는가? 그건 적을 증오하고, 신을 자기편으로 끌어들여 신과 함께 적을 증오하고 싶어하는 모든 사람의 마음 속에 있다. 그 때문에 비방하고, 즐겁게 웃으면서 전쟁을 벌이는 것도 백치 같은 그런 마음 때문이다. p31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984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77
조지 오웰 지음, 정회성 옮김 / 민음사 / 200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디스토피아 소설을 좋아하지 않는다.
읽는데 불편해서.
이 책도 역시 불편했다.
자꾸만 상상을 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