뜨거운 피
김언수 지음 / 문학동네 / 201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구암 건달의 삶이란 무엇일까?
구암의 건달 희수의 삶은 무엇일까?
내가 부산사람이라 더 이입되서 읽은까닭일까
나까지 가슴이 콩닥거린다.
디테일한 건달의 삶과 마지막까지 배신으로 이루어진 무덤덤한 희수를 한번 쯤 보고싶다

"니는 너무 멋있으려고 한다. 건달은 멋으로 사는 거 아니다. 영감님에 대한 의리? 동생들에 대한 걱정? 사람들이 너에 대해서 하는 평판? 좆까지 마라. 인간이란 게 그렇게 훌륭하지 않다. 별로 훌륭하지않은 게 훌륭하게 살려니까 인생이 이리 고달픈 거다. 니가 진짜 동생들이 걱정되면 손에 현찰을 쥐여줘라. 그게 어설픈 동정이나 걱정보다 백배 낫다. 니는 똥폼도 잡고 손에 떡도 쥐고 싶은 모양인데 세상에 그런 일은 없다. 우리처럼 가진 게 없는 놈들은 씨발 정신이 있어야 한다. 상대 앞에서 배 까고 뒤집어지고, 다리 붙잡고 울면서 매달리고, 똥꼬 핥아주고, 마지막에 추잡하게 배신을 때리고 우뚝 서는 씨발 정신이 없으면 니 손에 쥘 수 있는 건 아무것도 없다. 세상은 멋있는 놈이 이기는 게 아니고 씨발놈이 이기는 거다."  - P305

"절벽에 서 있는 것처럼 너무 악다구니 쓰지 마라고, 건달은 싸움에 져서 죽는 게 아니라 절벽에서 싸워서 죽는 거다. 그리고 누가 시비 걸어오더라도 웬만하면 대거리를 해주지 마라. 일단 빌미를 주고나면 발 빼기가 쉽지 않다. 싸움이란 건 이기건 지건 남는 게 하나도없는 장사다.
- P4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철학을 권하다 - 삶을 사랑하는 기술
줄스 에반스 지음, 서영조 옮김 / 더퀘스트 / 2012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에픽테토스는 ‘회복탄력성‘의 철학을 알리기 위해 자신의 상처투성이 삶을 이용했다. 노예 신분이라면 언제라도 매를 맞을 수 있고 고문을 당하거나 처형당할 수 있다. 또한 당시에 스토아 철학자는 투옥되거나 처형당할 위험에 끝없이 노출되어 있었다. 그렇다면, 자신의 운명을 통제할 능력이 상당히 제한되어 있는 상황에서 스토아 철학자들은 어떻게 불확실성과 억압을 극복하고 평정심과 강한 정신력을 유지할 수 있었을까? 어떻게계속해서 ‘자기 영혼의 주인으로 살 수 있었을까? 이런 질문에 대해 에픽테토스는 자신이 통제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이고 할 수 없는 것이 무엇인지를 끊임없이 상기하라고 대답한다. 그의 《편람 Initorote) 첫 페이지에는 이렇게 적혀 있다. "어떤 것들은 우리 마음대로 할 수 있고, 어떤 것들은 마음대로 할수 없다."  - P58

마루쿠스 아우렐리우스가 스스로에게 말했듯. "너의정신은네가습관적으로하는 생각을 닮게 될 것이다. 영혼은 그 사람이 지닌 생각의 색으로 물들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니 영혼을 [지혜로운] 생각들 속에 담그도록 하라. 바라건대, 아우렐리우스가 제안하는 자발적이고 의식적인 세뇌와무의식적이고 본의 아닌 세뇌 사이에는 윤리적으로 중대한 차이가 있을것이다. 피타고라스의 암기법은 자신의 오랜 사고습관과 싸울 때는 유용하다. 그러나 새롭게 만든 사고습관이 굳어지고 독단적이 되고 융통성이없어질 위험이 있다. 따라서 무의식적인 사고습관을 만들어내는 것과, 그습관에 의문을 품고 융통성과 유용성을 운용하는 능력 사이에 균형을갑을 필요가 있다.
- P19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판토하는 도대체 무엇때문에 누굴 위해서 열심히 특별봉사대를 만든것인가?
˝새엄마 찬양˝을 읽고 팬이 된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의 성실하고 부지런한 판토하의 황당한 이야기.


"이미 설명했잖아, 추추페, 난 특별봉사대를 상부의 지시에 따라 조직한 거야. 사업에는 관심 없어. 게다가 나는 윗사람이 필요해, 그들이 없으면 난 뭘 해야 할지 몰라. 그렇게 되면 난 순식간에 무너지고 말아."
- P35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랑의 기술 - 출간 50주년 기념판
에리히 프롬 지음, 황문수 옮김 / 문예출판사 / 2006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크게 머리를 때리는 이론이나 철학적인 문제를 논하기보다는 우리의 실제 인간관계에서의 문제를 다시 한번 생각해보게 하는 책이다.

곧 나 자신의 자아도 다른사람과 마찬가지로 나의 사랑의 대상이 되지 않으면 안 된다. 우리 자신의 생명, 행복, 성장, 자유에 대한 긍정‘은 ‘우리 자신의 사랑의 능력, 곧 보호, 존경, 책임, 지식에 근원이 있다. 만일 어떤개인이 생산적으로 사랑할 수 있다면, 그는 자기 자신도 사랑할수 있다. 만일 그가 오직 다른 사람만을 사랑할 수 있다면, 그는전혀 사랑할 줄 모르는 사람이다.
- P85

두 사람이 서로 그들 실존의 핵심으로부터 사귈 때, 그러므로 그들이 각기 자신의 실존의 핵심으로부터 자기 자신을 경험할 때 비로소 사랑은 가능하다. 오직 이러한 "핵심적 경험"에만 인간의진실이 있고 오직 여기에만 생기가 있고 오직 여기에만 사랑의 기반이 있다. 이와 같이 경험되는 사랑은 끊임없는 도전이다. 그것은 휴식처가 아니라 함께 움직이고 성장하고 일하는 곳이다. 거기에 조화, 갈등, 기쁨, 슬픔 중에 무엇이 있는가 하는 문제는 부차적이다. 근본적인 문제는, 두 사람이 서로의 존재를 에센스 차원에서 경험하는 것이요, 각자가 자신들에게서 도망치지 않고 자기자신과 하나가 됨으로써 서로 합일되는 것이다. 사랑의 현존에 대해서는 오직 하나의 증거가 있을 뿐이다. 곧 관계의 깊이, 관련된각자의 생기와 힘이 그것이다. 이것은 사랑을 인식하게 하는 열매이다.
- P139

내가 앞에서 말한 사랑의 본성에 따르면, 사랑을성취하는 중요한 조건은 ‘자아도취‘를 극복하는 것이다. 자아도취적 방향은 자신의 내면에 존재하는 것만을 현실로서 경험하는 방향이다. 반면 외부 세계의 현상은 그 자체로서는 현실성이 없고오직 이러한 현상이 자아도취적 인간에게 유익한가 위험한가에따라 경험된다. 자아도취의 반대 극은 객관성이다. 이것은 사람들과 사물을 있는 그대로 객관적으로 보는 능력이고, 이러한 객관적 대상을 자신의 욕망과 공포에 의해 형성된 상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능력이다. 온갖 형태의 정신병은 객관적일 수 없다는점에서 극단적인 무능을 보여준다.
- P16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사의 회전 세계문학의 숲 6
헨리 제임스 지음, 정상준 옮김 / 시공사 / 201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령에 대한 진실은 책을 다 읽어도 알 수 없다.
가정교사가 만든 허구인지 아니면 매혹적인 아이들을 조정하는 유령이 실제하는지.
읽을수록 알 수 없는 진실이 더 궁금하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