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토하는 도대체 무엇때문에 누굴 위해서 열심히 특별봉사대를 만든것인가?
˝새엄마 찬양˝을 읽고 팬이 된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의 성실하고 부지런한 판토하의 황당한 이야기.


"이미 설명했잖아, 추추페, 난 특별봉사대를 상부의 지시에 따라 조직한 거야. 사업에는 관심 없어. 게다가 나는 윗사람이 필요해, 그들이 없으면 난 뭘 해야 할지 몰라. 그렇게 되면 난 순식간에 무너지고 말아."
- P35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랑의 기술 - 출간 50주년 기념판
에리히 프롬 지음, 황문수 옮김 / 문예출판사 / 2006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크게 머리를 때리는 이론이나 철학적인 문제를 논하기보다는 우리의 실제 인간관계에서의 문제를 다시 한번 생각해보게 하는 책이다.

곧 나 자신의 자아도 다른사람과 마찬가지로 나의 사랑의 대상이 되지 않으면 안 된다. 우리 자신의 생명, 행복, 성장, 자유에 대한 긍정‘은 ‘우리 자신의 사랑의 능력, 곧 보호, 존경, 책임, 지식에 근원이 있다. 만일 어떤개인이 생산적으로 사랑할 수 있다면, 그는 자기 자신도 사랑할수 있다. 만일 그가 오직 다른 사람만을 사랑할 수 있다면, 그는전혀 사랑할 줄 모르는 사람이다.
- P85

두 사람이 서로 그들 실존의 핵심으로부터 사귈 때, 그러므로 그들이 각기 자신의 실존의 핵심으로부터 자기 자신을 경험할 때 비로소 사랑은 가능하다. 오직 이러한 "핵심적 경험"에만 인간의진실이 있고 오직 여기에만 생기가 있고 오직 여기에만 사랑의 기반이 있다. 이와 같이 경험되는 사랑은 끊임없는 도전이다. 그것은 휴식처가 아니라 함께 움직이고 성장하고 일하는 곳이다. 거기에 조화, 갈등, 기쁨, 슬픔 중에 무엇이 있는가 하는 문제는 부차적이다. 근본적인 문제는, 두 사람이 서로의 존재를 에센스 차원에서 경험하는 것이요, 각자가 자신들에게서 도망치지 않고 자기자신과 하나가 됨으로써 서로 합일되는 것이다. 사랑의 현존에 대해서는 오직 하나의 증거가 있을 뿐이다. 곧 관계의 깊이, 관련된각자의 생기와 힘이 그것이다. 이것은 사랑을 인식하게 하는 열매이다.
- P139

내가 앞에서 말한 사랑의 본성에 따르면, 사랑을성취하는 중요한 조건은 ‘자아도취‘를 극복하는 것이다. 자아도취적 방향은 자신의 내면에 존재하는 것만을 현실로서 경험하는 방향이다. 반면 외부 세계의 현상은 그 자체로서는 현실성이 없고오직 이러한 현상이 자아도취적 인간에게 유익한가 위험한가에따라 경험된다. 자아도취의 반대 극은 객관성이다. 이것은 사람들과 사물을 있는 그대로 객관적으로 보는 능력이고, 이러한 객관적 대상을 자신의 욕망과 공포에 의해 형성된 상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능력이다. 온갖 형태의 정신병은 객관적일 수 없다는점에서 극단적인 무능을 보여준다.
- P16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사의 회전 세계문학의 숲 6
헨리 제임스 지음, 정상준 옮김 / 시공사 / 201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령에 대한 진실은 책을 다 읽어도 알 수 없다.
가정교사가 만든 허구인지 아니면 매혹적인 아이들을 조정하는 유령이 실제하는지.
읽을수록 알 수 없는 진실이 더 궁금하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2 - 스완네 집 쪽으로 2
마르셀 프루스트 지음, 김희영 옮김 / 민음사 / 201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길고 긴 스완의 사랑을 읽고 탈진할 뻔.
스완에게 창조의 뮤즈가 되어 주길 원했던, 지루한 부르조아의 삶에 빛이 되어 주길 원했던 오데트는 결국 스완과 별반 다르지 않은 속물들의 만남이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새엄마 찬양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 지음, 송병선 옮김 / 문학동네 / 201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림과 문학의 자연스러운 어울림.
그리고 발칙하고 자연스러운 에로티즘.
나에게 새로운 작가의 발견을 하게 해준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