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떠오르는 아시아에서 더럽게 부자 되는 법
모신 하미드 지음, 안종설 옮김 / 문학수첩 / 2016년 2월
평점 :
절판
다소 난해한 제목의 이 책은 언뜻 보면 자기계발서 같은데, 조금 자세히 들여다보면 '자기계발서'의 형식을 차용한 '소설'이라고 한다. 21세기 소설의 진화는 이런 식으로 이루어지는가. 호기심을 안고 상하이 여행길에 가지고 갔다. 급속도로 성장한 상하이 같은 도시에 이처럼 잘 어울리는 책이 어디 있겠냐며...!
저자가 파키스탄인인데 그래서 그런지 이 자기계발서는 내가 흔히 알고 있는 자기 계발서와는 좀 다르다. 나에게 자기계발서란 시간을 아껴쓰라 채찍질하고 정글같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생존하기 위한 면종복배의 스킬을 전수하는 책인데...이 책에서는 이런 이야기들을 한다. '시골을 떠나 도시로 가라' '교육을 받아라' 한국에서라면 60-70년대에나 쓸모있었을 조언이랄까? 즉, 이 책이 모티브로 삼고 있는 자기계발서란 한국이나 미국 같이 경제성장률이 둔화된 선진국에서 말하는 자기계발서가 아니다. 지금도 연 6-7%씩 성장하는 개도국에서나 읽히는, 파키스탄에서나 읽히는 그런 종류의 자기계발서인 것이다. 나라의 이름은 한 번도 명시되지 않지만 인도나 파키스탄 쯤 되는 그런 나라를 배경으로, 자기계발서의 지침을 따르면 한 인간이 어떤 삶을 살게 되는지를 출생에서 부터 사망까지 그리고 있다.
사실 이 책은 작품성의 측면에서는 그리 큰 찬사를 받을 건덕지가 없다고 생각한다. 서술이 치밀한 것도 아니고 문체가 아름다운 것도 아니며 서사가 흡입력을 가진 것도 아니다. 개인적인 평이라면 이 책은 파키스탄 출신으로 미국에서 엘리트 교육을 받은 저자가 자신의 모든 장기를 이상적으로 조합하여 만들어낸 하나의 '성공적인 상품'이라는 것이다. 자신의 약한점은 최대한 숨기고(부족한 필력과 스토리 텔링) 자신의 강점은 최대한 부풀리고(개도국 사람들의 삶에 대한 지식) 자기계발서를 소설에 끌어들여 그걸 '실험적 형식'이라는 말로 버무린다.
만약 이 소설의 배경이 21세기 미국이었다면 이렇게 성공할 수 없었을 것이다. 요즘 자기계발서들은 단순히 열심히 살아라 메시지를 전파하는 수준을 넘어 '정신승리'를 내재화 하도록 속삭이는 철학서 수준이기에 그걸 소설과 조합시켜 재미있게 써낸다는 것은 보통 일이 아니다. 하지만 이 책의 배경은 개도국이기에 자기계발서가 하는 말은 단순하고 명쾌하며 소설의 주인공의 인생도 아주 쉽게 전형화된다. 시골에서 가난하게 태어났으나 부모를 따라 도시로 이주하고 시작은 남의 집 종업원이었으나 기술을 배워 자기 사업을 시작하고... 소설이라고 써 놨으면 말도 안될 구멍 숭숭 난 글들이 '자기계발서'와 더해졌다는 이유로 다 용납이 된다. 이 인물은 자기계발서의 정신을 상징하는 하나의 캐릭터이니 이렇게 거칠게 일반화 되어도 된다는 것이다. 한국은 60-70년대가 너무 가까운 과거라서 이 소설을 읽으면 우리 부모 세대의 이야기쯤인거 같고 그래서 크게 매력적으로 느껴지지는 않는데(흔한 이야기) 이런 이야기가 미국인들에겐 아주 '이국적'으로 받아들여졌을거 같다. 하버드 로스쿨 까지 다닌 저자이니 소 뒷걸음질에 쥐 잡은 건 아닐거고 이런 포인트를 아주 영리하게 캐치하고 작품으로서 기획했으리라 생각한다.
책이 아주 재미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마지막 장까지 페이지를 넘기게 만드는 힘은 충분히 있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하나의 작품(소설)으로 보자면 부족하고 소설이 던지는 메세지는 더 빈약하다. 저자가 파키스탄의 서민 출신이라면 영어로 글을 쓰지는 못했더라도 조금은 더 진정성 있는 이야기를 할 수 있었을 텐데, 교육도 미국에서 받고 커리어도 미국에서 쌓은 사람이 쓴 개도국의 이야기에 깊이가 있기는 힘든 것이다. 비유를 하자면, 강남에서 초등학교만 마치고 조기유학 떠나서 평생 미국생활 한 한국인이 한국의 새마을운동을 배경으로 소설을 쓴 것이니 말이다.
그래서 이 책은 기대와 달리 상하이 여행에 그리 큰 영감을 주지는 못했다. 무단횡단을 하고 새치기를 하고 영어는 한마디도 알아듣지 못하는 중국인들 삶 이면에 있을 많은 스토리를 이 책을 지렛대 삼아 상상하고 싶었지만 그것은 아주 잘못된 기대였던 것이다. 가볍게 읽을 소설을 원한다면 권할 수 있다. 하지만 영리함으로 쓴 소설의 한계는 명확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