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적 시 읽기의 즐거움>을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
-
철학적 시 읽기의 즐거움 - 우리 시에 비친 현대 철학의 풍경
강신주 지음 / 동녘 / 2010년 2월
평점 :
좀 정확히 말하자면 이 책은 철학적으로 시를 읽는 게 아니라 철학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시를 끌어들였다고 보는 것이 옳다. 시는 그 자체로 의미를 가진다기 보다 저자가 설명하고자 하는 주제를 끌어내기 위한 에피타이저 정도의 역할을 한다고 해야할까. 본식은 당연히 철학 철학 철학이다. 그래서, 말랑말랑하게 시를 이야기할거라 생각하고 시작했던 나는 무척이나 힘겹게 책을 읽어야 했다. 사실 시가 아무리 말랑하다 한들 난 시도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거기다 철학이라니. 난 철학이라면 알랭 드 보통으로 충분한 그런 얕은 여자란 말이다. 나 말고 다른 서평단 분들은 무척이나 이 책을 좋아하고 후하게 평해주셔서 주눅이 들었지만 내가 바로 무식한 대학생 독자의 전형이 아닐까, 철학을 모르는 데 이 책 사도 되겠냐 저울질하는 분들을 위해 눈물을 삼키며 리뷰를 남긴다.
책은 총 스물 한 개의 장으로 이루어져 스물 한 개의 시와 스물 한 명의 시인과 스물 한 명의 철학자를 다루고 있다. 저자는 시를 읊어주고 가볍게 시에 대한 이야기로 시작해 사유를 이어가다 본격적으로 철학 이야기로 접어드는 방식의 글쓰기를 채택하였다.본문 내용에 대한 하나의 예를 들어 보자면. 4.19를 쓴 김수영의 시에 저자는 푸코를 끌어들인다. 4.19가 실패한 건 우리가 미시적 권력을 전복하지 못하고 순응하는 태도를 유지했기 때문이라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이렇게 시와 철학이 연결된다. 글 자체가 딱딱하지는 않다. 독자에 게 직접 말을 거는 듯한 문체로 서너 페이지의 짧은 글 속에 철학자의 책 한권에 담긴 핵심을 담아 내고 있으니 철학을 오래 공부한 내공이 느껴진다. 내가 힘들었던 건 글이 어려워서가 아니라 철학이라는 학문 자체의 사유하는 방식에 전혀 익숙하지 않았고. 그렇다고 초심자로서 그것에 그리 흥미를 느끼지도 못했기 때문이다. 이 책은 철학을 처음 시작하고 싶은 사람, 철학이 너무 궁금한 사람에게 적합하다. 저자는 매 장마다 자신이 끌어온 철학자에 대해 그리고 그 철학자의 저서에 대해 번역본 출판사와 출판연도까지 기재해 주는 다정한 사람이다. 스물 한 명의 철학자를 둘러보고 마음가는 철학자부터 파고 들어가면 좋지 않을까. 별점이 셋인건 나에게 맞지 않는 책이어서일 뿐이고 책으로만 보면 만듬새나 저자가 들인 노고의 면에선 딱히 흠 잡을 것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