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종과 해방 사이
이다희 지음 / 꿈공장 플러스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 뜻대로 살아간다는 것, 오래 기다렸을 진정한 나를 찾아간다'라는 작가의 문장이 독자인 내게 용기를 부추긴다. 한결같았다면 조금은 다른 길을 선택할 수 있는 여유. 그것이 《순종과 해방 사이》에서 진실 된 나를 찾는 방법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작가의 엄마가 든든한 동역자가 된 것처럼 저자가 마주한 다양한 작품들이 진정한 스스로의 자아를 찾는 밑거름으로 그려진다. 이를 읽는 독자들 또한 일상의 든든한 에너지가 될 수 있다는 확신도 선다. 저자가 직접 책을 읽으며, 나의 엄마에게 편지 혹은 대화를 청하듯 전하는 문장들이 새롭다. 그 안에서 독자 스스로가 느끼는 현재의 나, 내가 서 있는 위치, 또 다른 삶의 지향점을 설계할 수 있는 팁 또한 선물 받을 수 있는 작품이다.





'~해야 한다'를 내려놓고 '좋은 자기'를 믿자.'


나를 옥죄는 말을 내려놓으라고 한다. 그간 타이트하게 살아왔고, 지나치게 계획적인 일에 지쳐 살아갔다면 조금 내려놓는다는 것이 현명한 판단임을 확인할 수 있다. 차분히, 차근차근 조금 서두르지 않아도 되는 삶 '좋은 자기'를 만들어가는 과정이다.


결혼은 사랑만으로 가능한가에 대한 대다수의 답은 정(情) 때문이란 경우가 많을 것이다. 작가 또한 이른 나이에 결혼해 아이를 낳고, 교사라는 직업을 병행하며 살아가고 있다. 살아가며 부부간의 문제 혹은 갈등에 대해선 피해 가는 것이 상책이란 생각을 하며 살아가기도 했다. 이를 극복하게 해준 것은 책이었고, 글쓰기도 그 한몫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남에게 손을 내밀 줄 알아야 한다.'라는 조언을 전하는 브레네 브라운의 《수치심 권하는 사회》라는 작품을 읽고, 저자인 이다희 작가가 많은 부분을 공감한다. 손을 내밀고 글을 쓰며 좀 더 남편을 이해하는 것. 갈등이란 회피가 아니라 그 안에서 또 다른 유대감을 찾아내는 것이란 해법도 그것이다. 그러다 보면 상대인 남편도 부인을 이해하고 결혼으로 맺어진 가정의 평화가 다시 세워진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다. 더 나은 결혼의 시작, 저자는 끊임없이 엄마에게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전하며 서로의 마음을 토닥이며, 독자인 내게도 커다란 평안의 큰 울림을 전한다. 결국 같은 상황에 놓인 독자들에게 '기회'라는 단어를 제공받는 느낌이다.




물론 글쓰기를 좋아했던 작가도 데뷔 전, 글쓰기 초고로 인해 간혹 상처를 받기도 한다. 그러나 일련의 과정인 퇴고를 거치면 황금 조각상과 같은 명작이 완성될 기회를 얻을 수 있다. 저자의 글쓰기 모임 피드백을 통해 혹평을 들었던 경험은 오히려 이 글의 반전이다. '하나도 정돈되지 않은 모난 마음을 써 내려갈 글에 대한 반응' 이 남달랐다는 것이다. 생각해 보면 솔직함이자 진정성이 아닐까 싶다. 게다가 편지글 형식의 어머니께 띄우는 이야기 전체를 에세이로 구성하는 것은 무리일 수 있다는 의견도 있었다고 한다. 그럼에도 한 권의 작품은 무난히 완성되었다. 나탈리 골드버그의 《글 쓰며 사는 삶》이 전하는 메시지인 '당신에게 소리치든 말든 신경 쓰지 말고 내면의 세계를 단단하게 구축하라' 가 이다희 작가에게 전하는 메시지가 아니었을까? 부담을 버린 채 우리 스스로 내면을 강화하는 것, 그것이 글과 인생의 성장으로 승화되었으면 좋을 것 같다.





'나는 일찍 퇴근한 후 노는 게 아닌데, 그렇다고 학교 업무를 덜 하는 것도 아닌데-중략-'선생이나'라고 불러도 될 만큼 쉽게 일하고 있는 게 아닌데......'

예전엔 덜 알았다면 작가의 이 글과 최근의 아픈 소식을 중첩해 떠올리다 보니 좀 더 우리가 상대에 대한 이해의 폭을 높이고 직업 하나, 하나에 따른 소중함과 경건함을 마음에 심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과중한 업무에 정신적 스트레스, 게다가 가정 육아까지 도맡아야 하는 교사의 하루는 24시간을 쪼개 사용해도 모자랄 듯싶다.

'다들 그렇게 살아' 대신

엄마 또한 그런 삶을 살아왔고 저 문장이 생을 버티는 힘이 되었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예전과 같은 상황이 현재와 동일하다고 단정 지을 수 없기에 '다들 그렇게 산다'라는 말에 위로 혹은 고통을 인내하며 살 수 없다는 작가의 말에 동의하게 된다. 또 다른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당연한 방법이라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순종과 해방 사이》는 이처럼 많은 이야기들의 저울추 앞에서 우리가 어떻게 살아가야 옳은지 한 번쯤 깊숙이 생각해 보게끔 한다. 작가가 자신의 어머니에게 대화의 물꼬를 트며 해답 혹은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는 것처럼 작품을 읽는 독자들도 내면 가득한 순종적 마음과 표현하고 싶은 자유의지, 해방이란 단어를 속 시원이 발설해 보는 기회를 접했으면 한다. 더불어 저자가 읽고 사유했던 작품 또한 참고해 읽는다면 우리 개개인의 내면 지식과 지혜로움의 깊이가 더해지리라 생각해 본다.




*출판사 지원으로 개인적 생각을 담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