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잎새'라는 소설을 알 것이다. 그 떨어지는 잎새 하나에 누군가의 생명이 오거나 떠날 수 있기 때문이다. 저자는 이 신호를 놓칠까 두렵다고 한다. 부모님을 보살핌에 있어서도 마찬가지 일 것이다. 시간이 들수록 나이 드는 부모님, 볼 수 있는 미래는 줄어든다. 요양 보호사이자 작가인 이은주에겐 이 자체가 미안함으로 다가온다. 반면 이 미안함을 함께 할 가족이 있다는 것은 어찌 보면 누군가의 등받이가 돼주는 느낌이다. 알코올 중독 등으로 제대로 된 아들 구신을 못했다는 저자의 남동생. 엄마의 돌봄을 통해 비로소 이들은 의기투합하게 되고 서로를 더욱 이해하게 된다. 이런 작은 변화들이 서로 간의 힘이 되는 것이며, 하나뿐인 엄마를 위한 돌봄의 시작이자 버팀목이 된다는 것을 기억하는 건 어떨까?
《돌봄의 온도》, 결국 저자는 자신의 부모가 원하는 몸과 마음의 반응에 제대로 대응하고, 그들의 신호를 아는 것임을 이야기한다. 처음엔 어렵지만 조금씩 이를 알아가는 배움 능력, 이것은 공감이고, 사랑이라는 것을 작품에서 얻고 느끼는 시간이 되었으면 한다.
*출판사 지원으로 개인적 생각을 담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