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이 관우에게 말하다 1 - 의리를 무기로 천하를 제압하다 현대 심리학으로 읽는 《삼국지》 인물 열전
천위안 지음, 유연지 옮김 / 리드리드출판(한국능률협회)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 또한 《심리학이 제갈량에게 말하다.

와 같이 삼국시대 주요 인물 중 하나인 관우의 삶 속에서 그가 걸어왔던 길, 사례, 성품 등을 종합해 심리학적으로 분석했다. 기존 리뷰에서도 언급했지만 한국의 많은 독자들이 삼국지를 읽었다는 전제하에 이 책을 접하면 더더욱 흥미로운 읽을 거리가 될 것이다. 딱딱한 심리학 이론서를 뛰어넘어 역사를 통해 인간이 살아가면서 느낄 수 밖에 없는 감정을 분석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 책에서는 소설 속 관우가 걸어온 족적을 살피며 그 당시 관우가 느꼈을 심리적 상황, 고통, 어려움 등을 전문가 시선으로 서술한다. 삼국지를 되새겨보며 이를 학문적으로 연구해낸 《심리학이 관우에게 말하다》는 요즘 상황에 맞게 우리의 닫힌 마음을 뻥 뚫어주는 계기가 될 것이다.




총 4부로 구성된 이 작품은 소설 속 여정을 담고 있다 할 수 있다. 1부 관우, 한나라에 투항하다. 2부 관우, 조조에게 몸을 의탁하다. 3부 홀로 말을 타고 천 리를 달리다. 4부 다섯 관문에서 여섯 장수를 베다이다. 도원결의를 시작으로 촉의 흥망성쇠에 이르는 동안의 이야기들이 심리학적 분석과 함께 흥미롭게 담겨 있다. 우리는 익히 관우라 하면 1당 100의 장수, 온화한 성품으로 유비와 장비, 군사들을 배려하는 모습이 뚜렷하게 각인되어 있다. 반면 자존심이 엄청난 면은 그의 단점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인물의 성품이 현대적 심리학과 어떻게 맞물려 정의될지 자못 궁금하다. 삼국지뿐만 아니라 저자는 한나라 유방과 항우, 한신의 예화를 통해 상대에게 심리적 약속과 다짐이 결단에 있어 얼마나 큰 영향력을 발휘하는지도 설명한다. 이처럼 관우가 유비와 했던 도원결의, 유비가 위촉오의 영웅들과 간접적으로 맺은 약속이 어떠한 심리적 결과로 다가오는지도 주목하며 이 책을 마주할 필요가 있다.




'약속의 내용만큼이나 약속의 형식도 중요하다. 다채로운 약속의 형태가 있지만 중요한 정도에 따라 문서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원결의'는 삼국지를 통해 경험한 것처럼 그다지 거창하지 않았다고 한다. 그럼 과연 어떠한 믿음이 관우에게 유비와 장비의 형제 지간의 우애를 뛰어넘어 한 평생 촉과 유비를 위해 충성을 다하게 되었는지 궁금할 것이다. 이에 따르는 심리적 상황에서의 다양한 대처, 대응 과정이 삼국지의 관우와 관련된 에피소드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우선 무엇보다 충의에 최선을 다한 관우는 조조의 진영에 머물던 시절 장료와의 담판을 통해 자신이 조조의 품에 잠시 머물 수밖에 없음도 깨닫게 된다. 이런 이야기의 시작, 심리학적 분석과 삼국지 일화의 조합이 이 작품을 읽는 색다른 묘미가 될 것이라 확신한다. 짜릿한 심리 게임의 한판 승부는 삼국지 관우의 일생과도 절묘한 조화가 이뤄진다는 것을 《심리학이 관우에게 말하다》에서 확인할 수 있다.

*출판사 지원으로 개인적 생각을 정리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