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40대를 마지막 힘을 쏟는 인생의 황금기나 정점이라고 생각한다.'
저자는 이 의견에 반문한다. 20~30년 전 가까이 느껴왔던 40대와 100세 시대를 앞둔 지금 40대는 현격히 다르다고...... 저자인 김미경 작가도 어떻게 보면 시대를 앞서가는 40대의 표본이었다. 자신이 겪은 40대 이후를 더 소중하고 인생의 황금기처럼 살아가고 있기 때문이다. 그녀가 말하듯 10년 이상이 수명이 연장되고, 초고령화 사회가 지속되는 지금의 40대는 10년 이른 30대 청춘이라 여길 수 있으며 충분한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20대에서 30대에 결혼한 남녀, 그들은 좀 더 빠르게 40대를 맞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뿐만 아니라 30대의 결혼 이후 삶은 조금 힘겨울 수 있으나 자녀들이 어느 정도 자랄 40살 전후를 기점으로 또 다른 제2의 인생을 밟을 기회를 제공받는다. 저자는 구슬을 예로 든다. 젊은 시절 경험처럼 모으던 구슬을 제대로 꿰는 방법. 이것은 어느 정도의 기간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 시기를 지금 이 책의 40대 독자 여러분들이 꼭 제공받길 바란다. 물론 기회 제공의 차이는 자신의 노력과 열정이 따른다는 것은 잊지 않았으면 한다. 이처럼 사회구조, 시대의 변화에 따른 40대의 역할론. 그리 늦지 않았다는 용기, 꿈을 꼭 이루었으면 한다. 이 작품은 매 챕터마다 이러한 자신감을 우리 뇌리 깊숙이 심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