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미경의 마흔 수업 - 이미 늦었다고 생각하는 당신을 위한
김미경 지음 / 어웨이크북스 / 2023년 2월
평점 :
절판


경력단절 여성, 무엇을 해도 되지 않고 오르는 물가에 한숨만 쉬는 남성. 이들 다수가 지금 40대를 달려가고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저자인 김미경 작가도 40대 시절 많은 생각과 고민 속에 자신의 미래를 준비한 흔적이 이 작품에 서려 있다. 40대 이전의 에너지가 40이라면 그 이후 100을 위해 달려갔다는 작가. 자신의 목표를 관철 시키기 위해 새벽 기상, 공부를 하고 나를 다스려가며 변화를 이끌어 갔던 그녀의 모습처럼 이제 독자 여러분들도 바뀔 때이다. 한때는 40이면 모든 것이 안정되고 완숙할 단계라고도 했다. 하지만 하루가 모르게 변혁이라 해도 될 요즘 자신의 위치를 재고하며 끊임없이 변화를 추구해야 하는 것이 인간의 숙명일지도 모르겠다. 모든 걸 포기한 시대. 그 포기마저 붙잡고 일어서는 힘이 우리에게 필요하며, 자신이 맘속으로만 꿈꾸던 정상에 오르기 위한 준비가 바로 마흔이란 생각도 해본다. 절대 늦지 않았다. 김미경 작가 또한 10년 전 마흔은 그저 평범한 기업 강사이자 작은 회사의 대표였을 뿐이다. 하지만 그녀의 열정적 노력이 현재 모든 여성이 만나고 싶어 하는 인생의 멘토가 되었으며, 50을 훌쩍 넘은 그녀에게 모든 이가 경의를 표하는 때가 온 것이다. 지난 40대란 시절, 10년간 그녀가 걸어온 삶의 흔적 속에 지금 지친 40대가 다시 일어설 비책이 담겨 있다. 이 책 《김미경의 마흔 수업》이 그러한 마중물이 될 것이다. 어제의 나, 지금의 거울에 비친 내 모습. 몰라보게 변한 나의 열정에 박수 칠 날을 기대한다.





'우리는 40대를 마지막 힘을 쏟는 인생의 황금기나 정점이라고 생각한다.'

저자는 이 의견에 반문한다. 20~30년 전 가까이 느껴왔던 40대와 100세 시대를 앞둔 지금 40대는 현격히 다르다고...... 저자인 김미경 작가도 어떻게 보면 시대를 앞서가는 40대의 표본이었다. 자신이 겪은 40대 이후를 더 소중하고 인생의 황금기처럼 살아가고 있기 때문이다. 그녀가 말하듯 10년 이상이 수명이 연장되고, 초고령화 사회가 지속되는 지금의 40대는 10년 이른 30대 청춘이라 여길 수 있으며 충분한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20대에서 30대에 결혼한 남녀, 그들은 좀 더 빠르게 40대를 맞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뿐만 아니라 30대의 결혼 이후 삶은 조금 힘겨울 수 있으나 자녀들이 어느 정도 자랄 40살 전후를 기점으로 또 다른 제2의 인생을 밟을 기회를 제공받는다. 저자는 구슬을 예로 든다. 젊은 시절 경험처럼 모으던 구슬을 제대로 꿰는 방법. 이것은 어느 정도의 기간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 시기를 지금 이 책의 40대 독자 여러분들이 꼭 제공받길 바란다. 물론 기회 제공의 차이는 자신의 노력과 열정이 따른다는 것은 잊지 않았으면 한다. 이처럼 사회구조, 시대의 변화에 따른 40대의 역할론. 그리 늦지 않았다는 용기, 꿈을 꼭 이루었으면 한다. 이 작품은 매 챕터마다 이러한 자신감을 우리 뇌리 깊숙이 심어준다.





'40대 이후부터 자신의 버킷 리스트를 쓰면서 변화를 만드는 연습을 해야 한다.'

꿈이라는 단어가 어색하고 부담스럽다면 스스로의 버킷 리스트를 작성해 보라고 저자는 권유한다. 이는 10대가 10년 뒤 20대의 꿈을 계획하는 것처럼 유사한 방법일 것이다. 80세 이후가 되면 일상이 더 반복적으로 흐른다고 한다. 어찌 보면 10년 뒤의 버킷을 써 보는 것은 우리 40대 이상 미래를 바라보는 중년 독자들에겐 더 큰 기회가 되지 않을까 생각된다. 조금씩 목적이나 목표에 도달할수록 나에게 주어지는 선물이 우리 인생의 살아가는 힘이며 달콤한 결과물이 될 것이다. 너무 늦게 시작하는 것이 아닌 만큼 조금 더 서두르는 40대의 인생 리스트 작성. 이 책은 우리 40대 이상 중년 독자들에게 끊임없는 도전 의식, 용기를 전해준다. 우리의 가슴은 아직도 뛰는 만큼 그 안에 열정을 더해보는 건 어떨까? 지금 시작이면 충분하다. 《김미경의 마흔 수업》이 그 항해의 길잡이 역할을 할 것이다.





*출판사 지원으로 개인적 생각을 정리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