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유사 - 현실과 환상이 만나고 다투다가 하나 되는 무대 클래식 아고라 2
일연 지음, 서철원 옮김 / arte(아르테)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흔히들 김부식의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를 비교한다고들 한다. 이 책 시작 또한 이러한 설명으로 이야기를 시작한다. 하지만 분명히 다르지 않을까? 이런 의문으로 읽기를 시작한다. 삼국사기는 국가 편찬의 역사서라면 일연의 삼국유사는 보다 객관적이며 백성을 위한 독자 친화적 작품이 아니었을까?

이 책은 고대 국가의 건립이 중심이 된 역사를 비롯한 불교, 당시대 문화의 다방면을 소개한다. 또한 역사서의 연대기적 흐름의 이해를 위해 처음부터 읽어 나가야겠다는 강박을 제거해 준다. 책에서 어필하는 그대로 '아무 곳이나 펼쳐 읽고 이해가 되지 않으면 그런대로 다른 곳을 읽더라도 무방하다.'  책 읽는 독자의 이야기 흐름을 깨지 않을 수 있고, 흥미로운 분야를 먼저 거쳐가며 책 전체의 흐름과 구조를 맛볼 수 있다. 현대적 관점의 단편 소설집, 에세이 느낌이라 칭해도 되지 않을지 생각한다. 또한 삼국사기에 배제된 내용을 첨가해 두 책을 동시에 읽으며 역사적 객관성을 더 확보할 수 있는 연구적 목적도 가능해 보인다. 다양성과 다문화성, 다원성은 이미 과거에서부터 향후 전개될 미래 긍정적 이미지까지 제공한다. 최대한 객관적으로 상호 간의 문화와 역사를 비교하고, 편견 없이 세상을 바라보며 글을 집필했을 일연. 그런 의미에서 《삼국유사》는 한국인이 한 번쯤 읽어봐야 할 고전이  아닌가 싶다.




기존 《삼국유사》에 비해 좀 더 생동감 있고 현재의 독자들에게 읽기 쉽도록 정리된 이야기. 우리 선조들이 살아온 과거의 문화, 역사, 전통, 신화들이 이 시대에 어떻게 반영될 수 있을지 가늠해 보는 것도 독서의 깊이를 가중시키는 힘이 될 것이다. 고전에 충실하되 적절한 해설과 가독성 있는 생동감이 《삼국유사》라는 고전의 두려움을 해소해 준다.  고조선의 단군왕검으로 시작해 위만 조선,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 체계가 잡히지까지 세세하게 알지 못했던 역사. 이 역사 이면에 자리 잡은 탄생 신화 등을 읽기 쉽게 정리해놓은 서철원 교수의 해설과 편집된 문장이 어려운 고전 읽기에 숨을 불러일으킨다.


사실, 고전을 읽게 되면 원문 그대로의 해석이 일반인으로서는 쉽지 않다. 그래서 주석이나 해설을 찾아보게 되며 연대기적으로 앞뒤의 상황 근거가 맞는지에 대해서도 의문을 품으며 어려움을 겪는다. 하지만 이 작품 아르테의 《삼국유사》는 시간대적 상황에 맞게 왕의 출현, 사건, 사고의 흐름을 어느 정도 설명하듯 추정해 주며 대략의 역사적 순서를 가늠케 한다. 우리가 누구나 잘 알 것 같지만 아직도 역사의 고증이 진행되고 있는 고조선에서부터 삼국의 탄생 과정과 근거, 각 시대별 상황과 상하 구조 등을 장황하지 않게 알기 쉽게 단락별로 나눈 편집이 책을 읽는 가독성을 높여주며 해설과 적절히 책의 원전을 이해 가능한 형태로 독서에 몰입 가능하게 해준다. 민간인이라 할 수도 있고, 종교 편향성이 담겨 있을지 모를 일연의 해설과 설명에 적당한 해설과 명확한 번역을 가미한 서철원 역자의 노력. 이미 위에서 한차례 언급했듯 끊김 없는 독서를 가능하게 하는 고전 작품이다.


표제의 제목처럼 역사적 사실이라지만 개인적 입장에서 써 내려간 역사서의 한계일지 모르겠다. 현실과 환상이 만나고 다투다가 하나 되는 무대. 모든 역사는 승자 중심의 문화이고, 기득권의 관점에서 서술을 해나가기도 한다. 김부식의 삼국사기도 그러할 테고, 일연 대사가 기록한 삼국유사 또한 그러할지는 모를 일이다. 그럼에도 그리스의 신화가 바탕이 된 로마의 역사처럼 우리 또한 전통의 역사 아래 신화 창조적 발상이 적절히 가미된 이야기는 있을 수 있다. 우리, 후대의 몫이라 할 이를 고증하고 밝혀야 할 과제가 남아 있지만 이것도 우리의 역사이자 선조가 우리에게 주어진 선물이 아닐까도 싶다. 《삼국유사》를 읽으면서 우리 역사의 우수성에 감탄할 수도 있고, 흔히 즐겨보던 판타지물 영화에 빗대어 비교해 볼 만한 재미도 지닌 것이 《삼국유사》를 읽는  큰 장점이라 여겨진다. 동시대의 관점을 다양한 시각으로 기록하며 비교하는 재미, 그것이 우리가 역사를 느끼며 익히는 것이고, 일연의 《삼국유사》이러한 축에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현실과 환상의 적절한 만남이 많은 독자들에게 《삼국유사》의 읽는 재미를 배가 시킬 수 있길 기대하며, 아르테의 서철원 교수 번역, 해설 작품이 커다란 마중물이 되었으면 한다. 


*출판사 지원으로 개인적 생각을 담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