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들 김부식의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를 비교한다고들 한다. 이 책 시작 또한 이러한 설명으로 이야기를 시작한다. 하지만 분명히 다르지 않을까? 이런 의문으로 읽기를 시작한다. 삼국사기는 국가 편찬의 역사서라면 일연의 삼국유사는 보다 객관적이며 백성을 위한 독자 친화적 작품이 아니었을까?
이 책은 고대 국가의 건립이 중심이 된 역사를 비롯한 불교, 당시대 문화의 다방면을 소개한다. 또한 역사서의 연대기적 흐름의 이해를 위해 처음부터 읽어 나가야겠다는 강박을 제거해 준다. 책에서 어필하는 그대로 '아무 곳이나 펼쳐 읽고 이해가 되지 않으면 그런대로 다른 곳을 읽더라도 무방하다.' 책 읽는 독자의 이야기 흐름을 깨지 않을 수 있고, 흥미로운 분야를 먼저 거쳐가며 책 전체의 흐름과 구조를 맛볼 수 있다. 현대적 관점의 단편 소설집, 에세이 느낌이라 칭해도 되지 않을지 생각한다. 또한 삼국사기에 배제된 내용을 첨가해 두 책을 동시에 읽으며 역사적 객관성을 더 확보할 수 있는 연구적 목적도 가능해 보인다. 다양성과 다문화성, 다원성은 이미 과거에서부터 향후 전개될 미래 긍정적 이미지까지 제공한다. 최대한 객관적으로 상호 간의 문화와 역사를 비교하고, 편견 없이 세상을 바라보며 글을 집필했을 일연. 그런 의미에서 《삼국유사》는 한국인이 한 번쯤 읽어봐야 할 고전이 아닌가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