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 보러 가자
멕 태쳐 지음, 김아림 옮김 / 생각의집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별은 동심을 자극하고 현재 자신의 위치. 더 나아가 미래를 설계하는 구조물 같다. 이제 우주라는 존재가 현실 앞에 가까워졌기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이런 시기에 《별 보러 가자》어른은 물론 아이들의 지적 호기심을 자극한다. 옛말에 '하늘에 별을 따다' 란 말이 마치 현실로 점점 다가올 듯하다. 저자도 언급하지만 《별 보러 가자》는 어느 페이지에서 시작해도 읽기에 무난한 작품이다. 그럼에도 이 책을 마주할 독자들에게 간략한 소개는 필수라는 생각이 든다.




첫째 하늘을 바라보자. 가장 만나기 쉬운 하늘에 대해 더 잘 알아볼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된다. 하늘의 관찰 포인트와 빛과 어둠 전체를 지닌 하늘의 의미를 되새겨보는 것도 큰 공부가 될 것이다. 달나라 토끼는 정말 절구질을 할까? 고전 동화로부터 시작해도 흥미롭겠다. 달이 뜨고 짐과 실제보다 커 보이는 달의 비밀과 달의 역사 등도 확인할 수 있다. 태양이 없다면 지구는 어떠했을까? 태양의 이동 방향과 계절의 변화, 태양으로 알아보는 시간의 흐름 파악도 흥미롭다. 이 외에 수금지화목토천해라 불리는 각각의 행성에 대한 이해를 통해 그간 잊고 지냈던 과학적 지식을 복습해 보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태양계의 형성 과정은 얼마나 흥미로울지 책으로 확인하기 바란다. 책의 제목처럼 이 책을 바탕으로 별과 별자리를 탐색해 보는 것도 추천한다. 별자리에 담긴 역사와 사연들, 별의 일생에 대한 정리를 통해 천체를 관측하는 준전문가로써 한 발짝 다가서는 계기를 마련했으면 한다.

풍부한 사진과 알찬 정보가 망라된 《별 보러 가자》는 여러분의 과학적 지식의 목마름을 해갈해 줄 것이다.




천문학? 어렵게 시작할 필요 없다. 가장 쉽게 책에서 눈으로도 만끽할 수 있는 것이 하늘이다. 어떻게 보면 지금 아이들보다 과거의 아이들이 하늘을 더 잘 아는 것이 사실이다. 가로등이 적었던 과거엔 어디든지 하늘을 통해 별을 바라볼 수 있었기 때문이다. 지금도 물론 그렇지만 깊은 산골에 가야만 무수히 많은 별을 하늘을 통해 볼 수 있다는 것이 안타깝다. 책은 하늘을 기본으로 다양한 별자리, 유성, 은하수, 성운, 우저 정거장까지 볼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며 용어 해설까지 명쾌하게 해준다. 또한 하늘을 비롯해 달과 행성에 이르기까지 필요한 관찰 기록 도구와 일지 쓰기 등의 정보도 소개하며 학습적 목적도 강화하고 있다. 또한 각 장별로 그림과 삽화, 직접 찍은 사진 등이 적절히 배치되어 다양한 지식과 정보를 단 번에 습득할 수 있게 한다. 일상생활에서도 쉽게 기록하며 관찰해야 할 것, 관찰 시기까지 순서대로 명확하게 독자들을 안내하는 것이 이 책의 가장 큰 특징이다.




<날씨, 관찰 시간, 달, 행성, 특별한 천문현상>등의 소개가 그 예시다. 이 외에 저녁노을이 붉게 되는 원인과 태양 주위에 일어나는 기현상들,

지구에서 바라보는 달의 크기와 모양의 변화, 별과 행성에 대한 지식 정보를 통해 궁금해하기만 했던 과학적 상식을 내 머릿속 가득 쌓을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각 지역 혹은 나라에 숨겨진 별에 대한 유래와 전통으로 전해내려오는 이야기도 책을 읽으며 만날 수 있다. 캐나다 원주민인 막막 족의 일곱 사냥꾼과 곰 한 마리 이야기에 얽힌 예화와 중국의 오래된 설화인 견우와 직녀의 사랑 이야기가 대표적인 별 이야기이다.

이처럼 하늘에서 시작해 별에 이르기까지 지구상의 모든 천체를 탐색하는 법을 기록하고 관리하며 내 것으로 확실히 체화 시키는 순간을 만끽하는 것은 배우는 이들에겐 큰 기쁨이다.

이 책 《별 보러 가자》가 우주와 별의 모든 것을 알아가는 지식 창고로써 충분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출판사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담았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