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읽다 보면 이런 생각도 하게 된다. 이 영화를 만든 감독이나 제작자가 정말 저자 라이너가 생각하고 분석한 철학적 견해와 부합되게 영화의 스토리 라인을 풀어나간 것일까? 여기서 생각해 볼 것이 감독의 의도인 것 같다. 영화는 곧 철학이라고 말하는 연출가도 있다. 영화뿐이겠냐마는 영화에서 보이는 인물의 유형과 내용의 전개 등을 철학자의 학문적 이론과 적용해 풀어가는 저자의 해석에 고개를 끄덕임과 동시에 연출가의 의도와 주제는 무엇일까 추측해본다. 이처럼 여러 가지 생각을 통해 책을 읽어가며 고민해 보는 것도 철학적 사유의 방법이자 철학이란 난해한 학문을 영화라는 매체와 결합시켜 알기 쉽게 이해하는 길이 될 수 있다.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은 세계가 인정해 준 작품이다. 가장 개인적인 생각의 가치를 세계적으로 승화시킨 작품이라 감독 특유의 개성이 묻어나며 그간 많은 작품의 연출을 지켜봐왔던 감독의 진면목을 확인할 수 있는 영화이기도 했다. 이 책에서는 봉준호, 헤겔의 정반합 이론과 영화를 접목시킨다. 대부분 영화를 보셨겠지만 이 작품은 기택네 가족이 박 사장 댁 가정에 과외교사, 운전기사 등의 일을 하며 기생하듯 살아가는 와중에 또 다른 기생자들을 만나며 벌어지는 에피소드를 담고 있다. 흥미로운 영화의 전개에 헤겔의 정반합 논리를 적용시킨 것도 이채롭게 느껴진다. 박 사장의 지위는 헤겔식 표현으로 '승인된 주인'이라 일컬어진다. 이미 많은 것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기택은 반대로 궁핍함 속에 박 사장 댁의 모든 일과 교육을 도맡아 기생하는 '노예'라고 불릴 수 있다. 즉, 고용인과 피고용자의 관계를 맺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정작 박 사장 댁이 이사 오기 전부터 이곳에 기생하고 있던 문광과 근세 부부는 기생의 원흉이라 할 수도 있으며 오히려 박 사장 댁의 부를 대신 누리듯 주인과 같은 모습으로 살아간다고 저자는 이야기한다. 오히려 가장 더 큰 기생이면서도 주종 관계에서 더 큰 혜택을 받고 있었을지도 모를 일이다. 이러한 봉준호 감독의 작법이 헤겔의 변증법적 논리인 정반합을 중심으로 묘사되는 것에 관심을 가져보는 것도 의미 넘치는 시간이 될 것이다.
한 작품을 더 짚어가며 영화와 철학의 동질성 혹은 공통점을 찾아보고자 한다. 그 영화가 바로 조커이다. 가장 역사적인 배트맨 시리즈의 한 작품이 《다크 나이트》였다면 《조커》는 가장 어둡고 침울한 작품이다. 저자는 이 영화를 니체가 말한 '초인'의 이미지와 결부시킨다. 평범함을 뛰어넘는 능력자로서의 '초인'이라 할 수 있으나 조커의 경우는 이와 반대되는 개념의 '초인'이 아닌가도 생각된다. 최고의 스탠딩 코미디언을 꿈꿨지만 그는 반대의 결과로 인한 네거티브한 의미의 '초인'으로 전락하고 만다. 여기서 조커인 아서 플렉스는 인간에서 초인으로 변화하는 3단계 과정인 낙타, 사자, 아이에 비유된다. 낙타는 성실함을 바탕으로 주인을 위해 원하는 일의 목적 달성에 노력한다. 반면 2단계인 사자의 단계는 첫 단추인 낙타의 단계에서 '짐을 견디는 힘'을 길러내지 못할 경우 발생하는 규칙 파괴와 종속관계를 부정하는 사자의 이미지를 연상시키게 한다. 끝으로 3단계 아이는 천진난만함을 묘사한다. 순진무구하고 아무것도 모를 때 발생할 수 있는 최악의 상황을 아이에 비유한 것이다. 가장 창조적인 단계를 어린아이 단계의 인간이라고 저자 라이너는 말한다. 조커는 그야말로 윤리, 도덕의 범주를 넘어선 초인, 악의 존재로 거듭나게 됨을 의미한다. 조커의 탄생은 배트맨 시리즈 최고의 라이벌이자 관객들이 상처 입은 초인과 선인-어떻게 보면 상처를 극복해가는 과정의 배트맨-이 맞붙는 전기를 마련하는 결정적 원인과 이유를 대변하는 작품 속 캐릭터이기도 하다. 초인은 과연 올바른 이미지의 세상을 구하는 존재로 불릴 수 없는 것일까? 니체가 말하는 초인, 혹은 위버멘시는 《조커》라는 영화에서만은 최고의 코미디언을 꿈꾸던 아서플렉이 웃음 대신 미치광이 발광과도 같은 살인을 저지르는 조커의 이미지로밖에 존재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결국 초인의 시대는 존재하지 않음을 증명하는 작품이 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