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노멀 시대의 은퇴, 퇴사 후 자존감여행
조대현.정덕진.김경진 지음 / 나우출판사 / 2020년 9월
평점 :
절판


언택트 한 시대에도 은퇴, 퇴사 여행은 가능하다는 희망을 심어주는 작품이다. 당장이 아니더라도 다양한 여행 방법을 책을 통해 체험해보며 은퇴 후 독자들의 세계 여행을 계획해봐도 좋을 것이다. 바야흐로 언택트 시대, 단기간의 여행보다 장기간의 여행이 더욱 효율적인 방법이자 선택이다. 책에서는 장기 여행, 렌터카를 활용한 여행, 한적한 소도시 여행, 호캉스 등 비대면 거리에서 가능한 방법으로 독자 여러분을 안내할 것이다. 책을 통해 은퇴 이후의 삶, 천천히 인생 여행 일부의 세계 여행에 도전해보는 건 어떨까? 이 작품이 올바른 길의 이정표가 될 것이다.

어렵지 않게 쓰였다. 여행안내서라기보다 뉴노멀 시다, 은퇴자 혹은 퇴사자로서 어떻게 하면 값진 인생을 살아갈 수 있느냐의 방향 지시등과 같은 여행기이다. 여행을 일상처럼 이어가야 한다는 저자의 말이 떠남에 대한 새로운 이상향을 제공한다. 저자의 삶이 도전을 통한 변화와 깨달음, 확장성에 도달하였듯이 가까운부터 시작해 조금씩 넓혀가는 것도 이 책을 읽고 자신의 삶에 대입시키는 방법 중 하나이다. 시작은 골치 아플 수 있고 걱정이 된다지만 떠나보면 상황에 맞는 임기응변 능력을 보이는 것이 여행이다. 책에서 용기를 얻고 지금의 상황이 풀리게 된다면 가깝고도 긴 여행의 과감한 도전이 펼쳐지길 희망한다.

책은 총 여덟 챕터로 구성되어 있다. 퇴사 뒤의 여행 준비법이라 할 수 있으며 퇴사 직전까지의 고뇌가 담긴 첫 번째 챕터이다. 이어지는 여행의 시작, 여행이란 나와의 싸움이다. 기존 것들을 잊고 새로움에 도전한다. 챕터 2는 영원한 고통, 편견의 제목으로 아이슬란드의 장관이 펼쳐지며 저자의 당시 심정을 생생하게 묘사하고 설명한다.


 

여행은 용기도 돋보이지만 자신감을 바탕으로 나의 자존감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챕터 3부터는 그런 마음가짐을 중심으로 아프리카 및 유럽, 아시아 등 다양한 여행의 볼거리와 생각거리 등을 보여주며 저자의 생각을 정리한다. 챕터의 마지막 부분 저자가 다룬 여행에 대한 관련 내용을 바탕으로 독자들이 생각하는 퇴직 여행을 정리할 수 있는 노트도 마련돼 있다. 직접 써보는 것도 좋고 생각해보는 시간을 갖는 것도 의미 있어 보인다.

결국 여행이란 나를 알아가고 배우는 자존감 습득의 발판이 됨을 깨달을 수 있다. 여행에 익숙해지다 보면 그것이 일상이다. 퇴사 후의 여정은 여행을 통해 굳건히 다져지고 여행 뒤의 새로운 삶이 펼쳐질 기대를 가지고 뉴노멀 시대의 여행을 누리자.


 

용기를 주고 희망을 북돋아주는 책의 여정을 통해 대리만족하며 나만의 세계 지도를 써 갈 수 있는 참고서가 될 만한 작품이다. 아마 이 책을 읽고 나면 여행의 두려움과 미래에 대한 불투명한 장벽도 무너지리라 확신한다. 원하는 결과를 위한 과정을 향해 달려가는 시작과 상황을 극복하는 힘은 독자들이 지닌 용기와 자존감의 몫이다.

*출판사 지원을 통해 개인적인 견해를 담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