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행히도 죽지 않았습니다
김예지 지음 / 성안당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치 오랜 된 흑백사진 같았던 이야기들이 저자의 솔직한 고백과 마음을 담아 그려집니다. 생각해 보건대 인간이란 기쁘고 행복한 일보다 슬프고, 아픈 흑백사진 같은 이야기를 더 많이 머금고 삽니다. 그런 이야기들을 나누기 쉽지 않은데 저자는 이를 많은 독자들과 나누고자 합니다. 100퍼센트 치유 상태일지 모르는 현재 상황에서 저자의 용기 어린 마음이 궁금해집니다. 어느 순간 흑백사진과도 같이 가슴 시린 기억들이 밀려들지 모르지만 단단히 마음먹고 저자의 이야기에 빠지다 보면 독자 여러분의 마음 한구석 응어리로 남겨 있던 체증이 풀릴지도 모를 일입니다. 지금 당장 힘들어 이 책을 펼친 독자들에게 저자는 용기를 지원합니다. 누구나 힘든 일들이 있기 마련입니다. 저자가 불안장애를 겪고 극복한 치유의 시간처럼 독자인 우리도 김예지 작가의 글과 그림으로 보다 나은 행복해 다가섰으면 합니다. 다행히 저희는 살아 있지 않습니까.


집에서, 혹은 사회에서 누구를 만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밖에 없는 나의 이중성에 스스로 자책할 때가 있습니다. 저자 또한 그러한 삶을 고단하게 버텨오며 정신과 진료도 받은 것 같습니다. 뿐만 하겠습니까, 우리들 누구나 마음의 병, 척하는 생활을 할 수밖에 없는 각박한 현실에 상처 입기도 합니다. 그럼에도 살아갈 수 있는 건 무엇 때문일까요? 가족이라는 힘, 내가 살아갈 수밖에 없는 삶의 목적이 남아있기 때문일 수도 있죠. 김지예 작가는 이러한 사회적 불안 장애의 요인으로 타인의 간섭과 관심을 덜 받는 직업을 찾다가 결국 어머니와 청소일을 시작합니다. 첫 작품이 청소일이 중심이 된 그림에 관한 이야기였다면 불안하고 답답한 마음을 독자들과 나누며 스스로 문제 해결점을 풀어나간 과정을 통해 독자에게 희망과 용기를 전해줍니다.

이 책에선 불안장애가 Main 이야기로 진행됩니다. 자신의 단점, 걱정거리를 써 나가다 보면 해답이 보일 수 있다는 것도 이 작품을 통해 배우게 되는 한가지입니다. 이 작품이 독자들에게도 불안, 심리적 장애 등을 극복하는 치유의 작품이 되길 바랍니다.

심리적, 생물학적 약물 치료 등을 병행하며 사회불안증을 극복한 작가는 이와 유사한 마음의 병, 공황장애, 우울증 등을 앓고 있는 이들에게 희망과 용기, 긍정의 자세를 선사합니다. 부끄러움이나 어색함은 누구나 있기 마련이죠. 하지만 일상에서 필요한 부분의 당당함, 자신감을 얻을 수 있는 격려를 아끼지 않습니다. 김예지 작가와 흡사한 걱정, 근심, 아픔을 겪은 독자들에게 이 작품이 우리가 살아가는 이유, 어느 누구 앞에서도 자신을 뽐내며 할 말할 수 있는 동기 부여가 되었으면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