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책을 읽는 이유 - 기시미 이치로의 행복해지는 책 읽기
기시미 이치로 지음, 전경아 옮김 / 인플루엔셜(주)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을 통해 내가 책을 읽는 이유에 대해 생각해보는 것부터 시작하게 된다. 단순히 취미로 읽는 책 읽기와 나를 변화시키는 책 읽기가 있을 것이다. 전자에서 시작해 후자로 발전하려는 내 스스로를 발견한다. 아직도 부족한 책 읽기, 더딘 소화력이 책에 대한 느낌이며 좀 더 부딪혀야 할 과제라고 생각한다. 이 문제 및 과제는 독서 인생 평생의 숙제라고 생각한다.

책 제목에서부터 책을 읽고 싶은 욕망을 불러일으켰다. 게다가 '미움받을 용기'의 저자이자 아들러의 대가인 기시미 이치로가 이 책을 썼다는데 놀라울 따름이었다. '미움받을 용기'로 시작해 몇 권의 책을 읽기는 했지만 대부분 심리학을 중점으로 둔 기시미 이치로의 작품이었다. 과연 책을 소재로 어떤 주제를 펼쳐낼지 궁금한 작품이다. 책은 기시미 이치로에게 있어 분명 인생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을 것이다. 이 작품에서 독자들 또한 책을 읽는 분명한 이유를 얻었으면 한다.

저자는 말한다. 물론 책을 좋아하는 사람은 책을 읽는 가치에 대해 더 큰 동기부여를 얻을 것이며, 책을 좋아하지 않았던 사람들에게도 독서가 단순히 기분 전환 이상의 것임을 알려주고 싶다고 말한다. 책을 읽지 않았을 때와 그 이후의 삶은 분명히 다르다고 독자의 한 사람으로서도 확신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기시미 이치로 새 작품을 추천해본다. 저자의 어렵지 않은 문장과 쉬운 설명이 많은 독자들을 책이란 영역에 빠져들게 할 것이다.

책을 읽는 방법과 그 내용을 정리하는 것, 더 나아가 책을 읽는 사람들과 소통하는 법 등이 책을 읽는 이유가 된다. 책은 점점 인간의 영역을 확장해 주는 것 같다. 저자는 독서란 그저 즐겁게 읽으면 행복이 된다고 한다. 억지로 책을 읽는 것이 아니라 나에게 맞춤 맞는 책을 찾아 읽는 것도 책 읽기의 즐거움이다.

기시미 이치로는 모든 사람들과 좋은 인간관계를 맺을 수 없더라도 책을 읽는 사람들이라면 그 안에서 자신과 사고방식, 혹은 감정이 비슷한 사람을 만날 수 있다고 말한다. 그 안에서 책을 읽는 행복감이 발현되며 카타르시스를 느끼게 되지 않을까? 생각의 확장과 다양성의 변화도 책을 읽는 이유가 될 것이다. 이 모든 답을 '내가 책을 읽는 이유'에서 경험할 수 있다는 것이 또 하나의 책 읽는 묘미이다.


책은 총 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책을 읽게 된 이유와 이력이 정리돼 있다. 독자 각자도 왜 내가 책을 읽고, 지금은 어떠한 독서 방향성을 향해 가고 있는지 고민할 수 있다. 책과 인생. 인생 책이 한 권씩 있을까? 심리학을 공부한 저자답게 '서양 철학사', 소크라테스식 변명' 등이 책과 인생에 소개된다. 책 읽기의 내공을 쌓아가다 보면 책을 좀 더 어떻게 효율적으로 읽을 것인지도 고민한다. 어떻게 읽을 것인가! 책을 고르는 힘과 책을 읽다 보면 또 다른 책을 찾게 되는 독서는 독서를 낳게 되는 이유 등 독서의 다양성이 확보되는 시기가 있다. 그냥 읽기에서 비평을 하고 분석을 해서 나만의 리뷰도 써보고, 여러 가지 독서방법을 선택하여 최적화된 나만의 책 읽기를 습득할 수 있다. 저자 또한 속독의 폐해, 병행 독서법, 나만의 언어로 번역하는 법 등 여러 가지 사례를 제시한다.

그 외에 잘 읽고 있습니까의 챕터에서는 재미가 없어도 읽어야 할 때, 책 읽기의 최적 장소, 책의 핵심을 놓치지 않는 법 등 독서의 정수를 정리해 독자들의 집중을 유도해낸다. 더불어 독서를 통한 외국어 공부법의 설명과 경험도 소개한다. 어렵게만 느껴지던 원서 읽기는 이 책을 읽고 꼭 한 번 도전해볼 만하다. 독서는 결국 지적 재산의 산물이다. 독서가 나의 지식이 되고 나의 생각과 고민의 흔적이 더해지면 나를 위한 또 다른 글이 완성된다. 읽다 보면 쓰게 된다는 정리, 이것이 책을 읽는 이유의 끝판왕 글쓰기로 이어지지 않을까 생각한다. 너무 서두르지 않고 양에 집착하지 않는 독서, 한 권을 읽더라도 그 안에서 인생의 참된 가치, 의미, 결국 행복하게 남은 인생을 살아가는 법을 터득했으면 한다. 이 책이 그런 이들의 마중물, 지지대 같은 역할을 했으면 한다. 독서란 오히려 시간을 부담 없이 살 수 있는 미래 지적 자산의 산물이다. 그게 내가 책을 읽는 이유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