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고 여자들은 침묵하지 않았다
크리스티나 달처 지음, 고유경 옮김 / 다산책방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설가 임현의 추천사처럼 [현실의 불합리를 지적하고 고발하는 일을 놓치지 않는 소설] 우리는 늘 부정과 부패, 힘의 논리에 의해 때론 피해를 당하고, 정의란 이름마저 부정 당하는 사회에 억눌린 채 살아가고 있다. 많은 것들이 발설되는 21세기임에도 침묵할 수밖에 없을 때 더 큰 목소리로 진실됨을 세상에 고백하는 용기가 필요한 시대이다. 허구와 가공이 단순히 소설 속 세계가 아님을 인식하고 깨닫게 해주는 작품이 ‘그리고 여자들은 침묵하지 않았다.‘이다. 책을 읽기 전 저자의 다른 작품들이 출간된 흔적이 있는지 살펴보았으나 아직 제대로 된 발견을 하지 못했다. 소설가이자 언어학자로서 활약하는 일인 다역의 저자답게 작가의 많은 작품들이 국내에 소개돼 길 희망한다.

하루에 100단어 이상을 사용하지 못하면 어떨까?라는 물음에서 시작해 이 미션이 왜 선을 반으로 나누는 남녀의 차별적 행위로 여성에게만 주어진 사회적 테두리로 제한되는지에 대한 의문도 들게 한다. 당연한 것이 아님에 대한 정당성시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이다. 마치 과거 국내로 따진다면 조선시대, 유럽의 절대왕정 시대에 권력자들 간의 힘의 논리가 세상을 지배했던 시대를 다시금 떠오르게 한다. 물론 현대의 사회가 발전적 의미로 봐서 더욱 편리하고, 윤택한 생활을 가능하게 하지만 남녀 차별이란 사라진다고들 하지만 보이지 않는 잔재들로 인해 그때보다 더 하면 더 했지 못하지 않았으리란 끔찍한 결론도 상상 가능하다.

[1984]를 능가하는 [빅 브라더] 이상의 권력과 불합리적 상황이 소설 속의 세상이 아닌지 걱정부터 앞서게 된다. 여기서 침묵할 수밖에 없었던 답답스러운 현실과 이를 무릎 쓰고 침묵하지 말아야 하는 것이 당연스러운 정당함임을 표출하려는 세력들 간의 보이지 않는 암투가 그려지게 되는 것이다. 침묵과 발화(發話)란 인간이 살아가면서 강제적으로 선택, 강요받을 수 없는 당연함이다. 침묵으로 일관하는 생이 우리에게 어떤 현상으로 다가올지에 대한 불안요소를 고민해보며 침묵에 대한 갈증을 해갈하는 방법론적 관점의 다양한 추론도 나눠보는 독서의 시간이 되었으면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