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자론 - 리더는 일하는 사람이다
이한우 지음 / 쌤앤파커스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할 말은 반드시 쓰고 불필요한 말은 단 한 구절도 쓰지 않는다.‘

말에 대한 부끄러움과 그에 따른 올바름에 대해 저자는 강조한다. 말에 거짓이 넘치고 산만할 경우 부끄러움은 숨길 수 없을 정도로 나타난다. 반대로 말수는 적지만 믿을 수 있는 사람의 언행은 올곧고 단정하다고 평할 수도 있겠다. 책에서는 논어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사례를 중심으로 군주론에 대해 설명한다. 딱딱하고 어려운 고전일 수 있으나 핵심은 군자, 군주로서의 언행이 중요함을 깨달으며 어느 정도 책을 읽는 목적은 완성된다.

알기 쉽게 논어에서 언급하는 호학(好學)을 통해 조선시대 군주의 역할과 진실도 규명해준다. 호학 이란 ˝배워서 시간 나는 대로 그것을 익히 니˝라는 의미로 풀이된다. 세종과 정조의 차이는 무엇일까? 두 분 모두 조선을 빛낸 임금이긴 하다. 세종은 황희를 스승과 같은 신하로 대해 호학군주라 저자는 정의한다. 반대로 정조는 스스로를 임금이자 스승이라 여겨 호학군주라 평하지 않는다. 저자의 생각이지만 말과 행동을 어떻게 사용하느냐의 차이를 논한 것이므로 그 해답은 독자 개개인의 의견에 맡기겠다.

‘말이란 천천히 하려고 노력하고, 평소에는 시간 나는 대로 그것을 배워 익혀야 한다.‘​

라고 하는 기본에 충실하다면 좀 더 훌륭한 리더, 사랑과 배려, 앎의 깊이가 넘치는 한 조직의 대표자로서 손색이 없을 것이다.

‘말에 허물이 적으며 일을 행함에 후회할 일이 적으면 벼슬자리는 절로 따라오게 될 것이다.‘

제자 자로가 벼슬을 얻기 위해 필요함을 공자에게 던져 얻은 답변이다. 이는 사실 그대로 거짓 없이 상대에게 믿음을 전해 행동하는 것을 말한다. 겉과 속이 다른 사람의 결과, 더구나 군주가 그렇다면 정치와 국가는 어떻게 결말이 지어질지 불 보듯 뻔하다. 언행의 불일치와 일치 사이의 간극은 미세하지만 그 결과가 불러올 파장은 예상 이상일 것이다. 아래의 자리 건 그 자리를 박차고 올라 최고의 리더에 이르러서도 할 말은 하되 그것이 일치되는 행함을 실천하는 군주의 자세, 그 기본 뿌리의 중요함은 평생 숙제이나 매일 되새겨야 할 말임을 기억하자.

말과 더해서 그 말을 들어주는 자세도 무조건 상대의 의견에 반하는 것이 아니라 이야길 듣고 그에 정당한 해답과 논리를 펼치는 것도 군자이자, 선비, 리더의 도리라는 생각도 지니게 한다. 대한민국의 정치권을 보면 국민을 위한답시고 국민이란 이름을 선두에 세운다. 허나 사리사욕에 눈 먼 장사치 보다 못한 면모를 4년에 한 번씩 보고 있는 꼴이라니...... 답답함을 금할 수 없다. 이처럼 최고의 자리와 위치에 있을수록 솔선수범하며 책에 나와 있듯이 옛 성현들의 진리 어린 이야기를 듣고 변화해가는 위정자들의 모습이 그리울 뿐이다. 오히려 이 책을 그러한 위치에 있는 분들에게 먼저 추천하고 독자로서도 올바른 리더십의 연구에 도움과 발판이 될 양식을 쌓아가고 싶은 생각이다.

‘군자의 모는 [말끝]은 일로 향한다.‘​

이것이 말이 아닌 일의 결말, 국민과 나라의 영원과 행복을 위해 나아가는 발판이 되길 기대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