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의식 생명의 지배자 - 누가 당신을 지배하여 왔는가?
윤정 지음 / 북보자기 / 201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보자기/윤정/심리학/무의식

 

 

한 작품에서 프로이트, 자크 라깡, 그리고 작가의 무의식을 활용한 정리까지. 무의식이 현대인의 정신세계까지 지배하는 상황에서 무의식을 통해 인류가 어떠한 변화를 통해 생명의 가치를 증명해낼지, 작가이자 심리 분석가인 윤정 님과 자크 라깡, 프로이트의 만남이 기대와 흥미를 배가시킨다.

 

 

무의식이란 정신세계를 두고, 의학적 관점의 무의식을 활용해 임상 치료법을 실시하는 프로이트. 언어학을 통한 기표, 기의의 의미를 분석하는 학자로 알고 있던 자크 라깡이 선보이는 무의식의 언어적 관점의 정의. 그리고 무의식을 인간에 몸에서 발현되며 이는 거대한 쾌락이 머문 카오스라고 설명한다.

 

 

하나의 주제 속에서 다양한 임상적 경험을 바탕으로 인간에게 작용하는 무의식 세계를 연구하려는 학자들. 각자의 연구 방식이나 주관은 분명 다를 수 있겠으나 이들 세 학자이자 저자들이 원하는 방향성은 한 가지. 인간의 생명 존중이 중심이 되리라 여겨진다. 다소 난해하고 까다로울 것 같은 정신분석학의 세계를 좀 더 쉽고 부드럽게 정의하며, 무의식의 탐구 영역을 확대시키려는 저자의 노고가 담긴 작품이다. 어려운 학문적 이야기들이겠지만 사례를 기본으로 삼아 그 내용을 먼저 읽고 이론적인 무의식의 세계를 경험하는 것도 이 작품을 보다 쉽게 받아들일 수 있는 팁이 될 수도 있겠다. 독자의 취향에 따라 세 정신분석 전문가의 무의식 세계로 빠져들기 바란다.

 

 

'자아의 고통은 무의식의 개입으로 드러나는 행동 표현이다.'

 

 

이를 극복하기 의해 프로이트는 인간 고통의 원인을 이해하면서 효과적

인 해결법을 찾으려 했다. 그 발판이 무의식의 탐구였으며, 삶의 도약을 의한 학문으로 발전시키고자 했다 한다.

프로이트가 무의식을 발견한 것이 히스테리의 치료 목적이었다고 하니, 그가 발견한 정신 분석적 사고는 수면 요법을 비롯해 꿈을 활용한 무의식 치료법 등으로 다양화되어 의학계의 자리 잡게 된다. 꿈과 무의식의 관계에 대해 늘 들던 의문들. 기존 프로이트의 관련 서적을 통해 읽었던 내용들이 가물가물했지만 작은 기억의 조각을 맞춰가며, 책을 접하다 보니 지난 기억이 무의식 속에 떠오르는 '복습 효과'까지 누릴 수 있었다.

 

 

라깡, 언어를 기호학적으로 완성한 학자 이 외의 무의식적 세계에 말을 원리를 적용시킨 정신분석학자. 프로이트의 학파를 따르지만 프로이트의 딸인 안나 프로이트와는 확실히 다른 노선, 자신만의 무의식 세계의 이론을 정립시키려 노력했다. 또한 그는 하이데거의 영향을 받았으며 이성적인 결과보다는 삶으로 바라보는 것이 더 근원적이고 본질적이라고 정의 내린 것을 보면, 실제 생활 속에서 느끼고 경험한 무의식적 진실에 접근한 학문을 추구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갖게 한다. 이처럼 위기 돌파에 필요한 새로운 인문학적 해결사로 라깡을 주목하고 있다. 또한 프로이트와 라깡의 귀결점은 다르다고 했는데 그 중심이 '주체'임을 제시한다. '말하는 주체'이자 '무의식의 주체'라는 것을 뜻한다. 프로이트는 처음에 설명했다시피 자아, 초자아, 이드로 나뉘지만 라깡은 상상계, 상징계, 실제 예로 구분하며 그 중심에 언어가 있다고도 하겠다. 이처럼 언어적 본성, 언어의 중요성을 누차 강조하는 것이 라깡이 바라보는 무의식의 중심이 되는 것을 이 작품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 작품의 작가인 윤정 박사는 무의식을 물리학, 화학, 분자생물학, 세포학, 미생물학 등과 결부시켜 생명적이고 현상적인 관점에서 성찰해 나간다. 그 안에 생명체란 것이 중심이 되는 무의식의 정의가 아닌지 생각해 볼 만한 이론의 정리이다. 또한 현상이 중심이 되는 무의식은 절박한 상황을 타개할 수 있는 새로운 질서 체계를 구성하면서 다양한 생명체를 창조하는 주체라고 말하는 작가. 그의 의견처럼 과거에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진화되거나 발전되어 온 과학적 사고가 바탕이 된 무의식의 완결이 현상을 유지하는 주춧돌과 같은 기능을 하지 않는가?라는 생각을 들게 한다. 어찌보며 과거의 이론과 현재의 끊임없는 과학적 연구의 가설이 현실화되는 과정이 현상학적 무의식의 일부가 아닌가도 추론해본다.

 

 

윤정 박사의 이론은 현상의 무의식이란 '명명'답게 가장 인간적이며, 현재의 인간적 정서와 가장 밀착되어 있는 학문적인 정의가 아닐지, 팔이 안으로 굽는다는 독자의 생각이 그대로 반영되듯 마무리로 이어진다. 인간의 세포 조직에 대한 이해와 분석, 최면의학을 활용해 인간의 감정에 고착된 불안정을 정상적으로 돌려 놓아주며, 몸과 마음에 드러나는 증상을 완화시켜 주려는 노력. 이것이 저자가 이야기하는 학문적 정의에 하나일 것이며, 생명의 존중한 지속성을 위한 무의식 세계의 연구는 계속될 것이다. 인간의 삶은 유한하나 최선을 다하는 노력과 연구가 지속된다면 생명의 지배자인 무의식의 의미와 가치를 더욱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밑거름이 되리라는 결론으로 이야기를 마무리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