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자의 글쓰기
최병관 지음 / 지식여행 / 2019년 3월
평점 :
품절


지식여행/최병관/자기계발/글쓰기

 

글쓰기가 더욱더 필요한 시대.

 

'지식과 정보를 창출하고 활용하는 데 있어 글쓰기의 효용성은 더욱 커져가고 있다.' - 저자의 말

 

그간 과학자들은 글쓰기를 멀리했다고 저자는 말한다. 하나의 결과를 얻기 위한 공식 같은 과학은 다양성의 글쓰기보다는 한 가지의 증명에 초점을 맞춰 결과를 내려는 학문이었기 때문에 글쓰기라는 일은 과학자들에게 있어 그저 인문사회 분야의 일들이었던 것이다.

 

그저 과학자들만의 리그, 그 안에서 증명과 검증을 통한 하나의 결론이자 논문을 발표해 자신의 분야에서 인정받았던 시절이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저자는 사회과학을 공부한 입장에서 이를 뛰어넘기 위한 방법으로 과학자의 글쓰기란 책을 내고, 그들에게 도움을 주려는 입장을 확실히 한다. 자신의 정리된 내용을 비롯한 과학자들이 참고할 만한 '글쓰기' 책등 친절하고 어렵지 않은 팁으로 글쓰기를 멀리하는 과학도들에게 희망을 던져준다.

 

저자는 임재춘 교수의 (한국의 이공계는 글쓰기가 두렵다)를 인용해 감정에 호소하여 느낌을 전하는 글이 아니므로 '주요 사실을 알기 쉽고 간결하게' 써 내려가는 것이 과학 글쓰기의 핵심이라고 전한다. 위의 내용은 과학자 뿐 아니라 일반 글쓰기를 시작하는 초임자들에게도 의미 있어 보인다. 너무 많은 수식어와 미사여구보다는 간결하고 알기 쉽게 문장을 만들어 가는 것. 그다음 일이 글에 색채를 덮어 나간다는 생각을 가지게끔 하는 저자의 올바른 지적이었다.

 

글쓰기는 말로 표현하기 힘든 언어의 집합체란 생각을 가져본다. 또한 학술지로만 평가받고 그들만의 리그였던 논문을 과학자 스스로 글쓰기를 통해 일반 독자들과도 스스럼없이 만나는 행위는 과학 지식화 사업에도 큰 성과가 있게 마련이다. 주제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통해 과학의 개념을 쉽게 이해하고 주어진 상황에서 문제점을 도출하는 데에도 큰 도움을 준다고 저자는 설명한다. 과학자들만의 리그를 극복하기 위한 과학자들의 글쓰기 대중화, 꼭 필요한 시기가 지금이란 걸 이 작품을 통해 느끼게 된다. '과학'이란 단어가 들어간 작품, 유명 학자들의 작품을 좀 더 쉽고 가볍게 만나보고 싶을 뿐이다. 과학자의 글쓰기라고 해서 유려하거나 화려한 문장을 목적으로 두고 쓰는 것보다 과학적 사실을 사실적이고 일목요연하게 정리해 핵심 내용을 쉽고 편히 전달하는데 중점을 두는 것이 필요하다고 한다. 객관화가 중요하며 사실이 올바르게 독자에게 전달되는 것이 주요한 목표가 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이야기 한다. 이처럼 과학적 글쓰기는 문학 혹은 인문서와는 다름을 이 책의 설명을 통해 확인 가능하며 과학자들 또한 저자의 조언과 팁을 잘 이용한다며 정재승, 스티븐 호킹, 칼 세이건 저리 가라 하는 작가로 거듭나지 않을까 조심스레 예상해본다.

 

노후를 위한 과학자의 글쓰기도 글을 써야 하는 이유 중의 하나가 될 수 있다고 저자는 주장한다. 100세 시대 이상의 인간이 노후 이후의 삶을 윤택하게 사는 것이 연금의 혜택뿐 아니라 글쓰기를 통해 자신의 경력을 사회에 환원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가 글쓰기라는 것이다. 예를 들어 연구 개발자가 국가에서 매년 받는 개발비가 1억이라면 2~30년 그러한 혜택이 주어진다면, 평생 국가나 국민으로부터 연구의 목적으로 몇 십억의 대가가 주어지는 결론이므로, 글이라는 좋은 매개체를 활용해 과학자 자신의 경력과 재능을 글쓰기로 승화시켜보라고 제안하기도 한다. 이러함이 조금은 올드 한 표현이지만 국가와 민족에 대한 봉사가 아닐지, 책의 내용에 공감할 만한 부분이었다.

 

정재승 박사. 과학 하면 빠질 수 없는 책의 저자 또한 과학자 글쓰기의 상징으로 정재승 박사를 소개한다. 국내에 읽을 만한 과학도서가 없어 직접 책을 썼다는 정재승 박사. 그의 탁월한 이야기 솜씨가 일상의 생활과 과학을 절묘하게 결합시켜 '정재승의 과학콘서트'를 스테디셀러로 만든 것이 아닐까? 예를 들어 최병관 저자는 미로와 같은 백화점의 동선을 심리학으로 풀어주며, 복잡한 도로에서 차선을 바꾸는 것은 손해라는 물리학적인 설명이 정재승 박사의 책에 담겨 있었으며, 이런 일상과 과학의 콜라보가 시너지 효과를 나 자신 또한 그의 마니아가 되었다는 고백을 한다. 알기 쉽고 재미있게, 그것이 독자가 바라는 과학자 글쓰기의 방법 중 일부라는 생각을 갖게 한다.

 

무엇을 써야할지 고민하는 과학자. 저자에게 돌아오는 질문의 답이 바로 "무엇을 써야하죠?" 하지만 저자의 답은 간단했다. 자신의 분야, 비슷하지만 연구의 과정과 결론은 다르므로 과학자 본인이 연구하는 부분의 내용을 책으로 엮어보라는 것이다. 저자가 책에서 예를 든 과학자들의 '꽃가루에 관한 연구', '자기부상열차', '인공지능 AI'등 재밌게 책을 엮고 써 간다면 일반 독자에게도 큰 호응을 받을만한 작품이 될 것이다. 그 시작이 두려울 뿐 쓰기와 정리가 이뤄진다면 어려운 일은 아니리라.

 

저자는 책 쓰기의 중요성 중 '시대의 흐름, 패러다임의 변화, 담론 변화 등도 유의 깊게 살펴보라고 조언한다. 그렇다면 자신이 어떠한 의도와 목적으로 책을 쓸지 길을 열어주고, 현재의 관심사와 내 주제가 하나로 묶여진다면 더 큰 글쓰기의 성과가 있을 수 있다고 한다. 내가 좋아하는 관심사를 현재의 트렌드와 융합시켜 책을 써 나간다면, 현재의 흐름에 구름을 타고 날아가듯, 글쓰기를 준비해 책을 출간할 독자들 혹은 과학자들의 작품도 날개 돋치듯 또 다른 많은 이들과 만나지 않을까 기대감을 가져본다.

 

이 작품의 장점은 글쓰기의 방법과 과정을 소개하는 것 외에도 잘 쓰인 과학자, 혹은 비과학자의 과학 책등을 소개해주는 데 있다. 과학자의 글쓰기에 지침서가 될 만한 다양한 작품들이 소개되는데 이 작품 이후 꼭 한 두 권쯤은 챙겨 읽어도 좋을만한 작품이 상당수 소개되어 있다. 글쓰기는 독서의 힘이며 그 원천이 밑바탕 되어야 독자와 공감이 가는 글, 감동을 줄 수 있다는 저자의 말이 힘이 된다.

그리고 하나 더, 작은 신문 칼럼도 잊지 않고 읽고 분석하는 능력을 키운다면 글쓰기가 더욱 쉽게 다가올 수 있다고 말한다. 저자 또한 그래서 하루에 몇 종의 신문, 특히 칼럼에 집중한다니 글쓰기의 기본이자 방향은 요소요소에 다양하게 분포돼 있음도 인지할 수 있는 독서였다.

 

책의 짜임새와 가독성, 적절히 활용되는 그림과 도표도 책 읽기의 흥미를 높이고 좋은 글을 쓰는데 필요한 요소이다. 기승전결은 기본일 수 있거나 이를 배제하는 글쓰기도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책의 짜임새가 떨어진다면 책 읽기 혹은 쓰기에 있어 큰 장애물이 될 것이다. 이때 저자가 추천하는 작품이 논리적으로 글쓰기, 논리적으로 생각하기, 이공계 X의 글쓰기등의 작품이다. 짜임새란 논리에 맞는 글쓰기이며 독자들에게 좀 더 쉽고 명쾌하게 다가가는 방법 중 하나임을 알 수 있다. 이것이 책의 집중도 및 가독성을 높이는 요인이 되기 때문이다. 여기에 적절한 도표나 사진, 삽화 등이 들어간다면 독자는 책을 읽으며 환희의 춤을 추지 않을까?

      

다양한 독서의 방법과 팁이 넘쳐 나듯 수많은 책 쓰기, 글쓰기 강의가 난무하고 있다. 무엇보다 나에게 맞는 글쓰기와 독서 습관이 중요한 시기이다. 이 작품은 과학인으로서 그들의 입장에서 어떻게 과학 책이 대중과 가까워질 수 있으며, 과학자들이 어떠한 책을 써야 하는지 지침서가 될 만한 쉽고도 흥미로운 작품이다. 물론 일반인들도 알지 못했던 과학의 세계, 과학 서적의 출판 현황 및 국내외에서 발간되는 다양한 과학 서적도 만나볼 수 있다. 과학이 대중과 좀 더 쉽게 만나고, 과학을 어려워하지 않는 대한민국 독서인과 일반인들. 이 작품을 계기로 아직 알려지지 않은 훌륭한 과학자분들의 열정과 땀이 서린 과학 이야기, 대중과 호흡할 수 있는 재미있고 알기 쉬운 과학 책들을 만나볼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길 기대한다.

 

그런 의미에서 과학에 대한 궁금증이 많은 일반 독자들, 글 쓸 준비가 돼 있는 과학자분들에게 이 책을 추천한다. 부담 없이 책을 즐기며 이해하고, 또 다른 과학 책의 추천까지 받을 수 있는 일석 다조의 작품. 편안한 마음으로 함께 읽어보길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