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화가 1 - 마네와 모네
강모림 지음 / 돌풍 / 2008년 9월
평점 :
절판
9.8
걱정 말게, 화가는 자기 자신이기만 하면 언제든 인정받을 수 있으니. 그저 자신의 것을 찾기만 하면 되잖은가. 굉장히 간단한 문제지. - 33p
하지만 대부분의 화가들은 그저 자신의 것을 추구하다가 지지리 궁상 맞은 삶을 살아가다 눈을 감는다. 마네처럼 명망 있는 가문 출생이 아니면 생전에 부를 거머쥔 화가는 극히 드물고 대부분이 모네처럼 생활고에 시달리며 처자식을 굶기지만 불타오르는 예술혼을 주체하지 못하는 짠내 가득한 모습으로 말년까지 살아갔다. 사후에 인정 받은 화가도 극소수다. 오늘날 이름난 그들의 위상을 생각하면 생전에 뭘 그려도 조롱거릴 면치 못하는 모습은 아무래도 어색하기만 하다.
<화가1>를 그린 만화가 강모림 씨가 프롤로그에서 밝힌 포부가 인상적이었다. 이 책을 통해 화가들이 위대한 예술가 이전에 그저 결점이 많은 한 사람의 인간임에도 불구하고 어떻게 자신의 예술혼을 불태울 수 있었는지 궤적을 쫓기로 했단다. 포부가 무색하게 1권의 매출이 그저 그랬는지 2편은 17년이 지난 지금도 깜깜무소식이다. 흐름상 '르누아르와 세잔', '고갱과 고흐'가 나와도 이상하지 않은 완성도와 집념이 느껴졌는데... 진실은 작가와 출판사만이 알겠지. 이유가 무엇이든지간에 작가가 그의 예술혼을 다 못 펼친 것이 못내 아쉬울 따름이다.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화가인 마네의 아이러니한 일대기는 다시 봐도 웃프다. 인정받으려고 그렸지만 보수적인 아카데미에선 괘씸한 그림으로 취급당하고 오히려 젊은 예술가들에겐 추앙받는다니... 그는 현실을 보이는 그대로 그렸다고 했지만 그러한 보이는 것을 미화하지 않는 작풍이 아카데미의 반감을 샀다는 것이 주목할 만한 부분이다. 보이는 것을 그대로 그렸을 뿐인데 불쾌감을 샀다면, 보이는 현실 그 자체가 불쾌하단 것을 인정하는 것은 아닌지?
마네가 위대한 화가로 평가받는 이유 중 하나로 이런 사회의 더러우면서 모순적인 태도를 알게 모르게 꿰뚫은 것을 들 수 있다. 정작 화가 자신은 그런 의도가 없었다는 게 여전히 웃음 포인트지만, 뒤집어 생각하면 세상엔 야망과 재능이 불일치하는 사람이 많구나 싶어 어딘지 찝찝하게 느껴지기도 했다. 의도치 않은 명성이라 하더라도 당사자에겐 행복일까? 어찌 보면 마네에겐 누명 내지는 저주였는지도 모른다.
때문에 그는 처음 모네라는 이름을 봤을 때 누군가 자신의 이름을 사칭하며 조롱하는 줄로 여겼다. 마네와 모네. 마네가 선배지만 어쨌든 둘은 동시대에 활동했고 처음엔 이름이 닮아서 평론가들 사이에서 자주 비교당했다고 한다. 마네는 아무리 그래도 자기가 선배인데 단지 이름이 닮았다는 이유로 동렬에 놓인다는 것 자체가 처음엔 불쾌했다고. 그 둘이 정식으로 만나고 모네가 어떤 인물인지 알고 나서는 친해졌다지만 말이다.
마네뿐 아니라 모네의 일대기도 만만치 않게 여운이 컸다. 모네가 젊었을 적엔 집세와 빵값을 위해 그림 스무 점을 거저에 가까운 값으로 내놔 풀칠이나 겨우 했다는 것도 기가 찰 노릇이고, 마네도 그랬지만 모네도 아카데미에 미운털이 박혀 뭘 그려도 조롱만 받는 것도 혀를 차게 되는 부분이었다.
아, 여담이지만 이 책에선 아직 마네의 <폴리 베르제르의 술집>에 얽힌 논란이 '옛날 버전'으로 다뤄지고 있어 아쉬웠다. 그 그림에서 마네가 거울에 비친 술집 여인의 뒷모습의 각도를 이상하게 그려서, 명색이 화가란 작자가 그림의 기본도 모른다며 웃음거리가 됐고 강모림 씨도 책에서 마네가 말년에 새로운 예술의 경지를 보인 것이란 해석을 했는데, 실상은 다르다. 충분히 현실적으로 가능한 각도라고 오늘날 한 사진가가 재현했는데... 당시엔 마네고 모네고 인상파 전체가 선입견이 제대로 박혀 있어서 이런 조금만 생각해도 해결될 논란도 해결되지 못하고 불씨만 커질 뿐이라는 게 딱하게 여겨졌다.
아내인 까미유가 죽었을 때도 아내가 막 숨을 거둔 얼굴을 그림으로 그린 모네처럼 역사에 이름을 남긴 화가들의 삶을 들여다보면 광기 어린 모습들이 포착되곤 한다. 이 책에선 마네와 모네의 흑역사...까진 아니더라도 사사롭더라도 가급적 많은 에피소드를 담아내 그들의 명과 암까지 모두 다뤄냈다. 그렇기에 다 읽고나면 이름난 화가들이 예술가로는 몰라도 인간으로선 딱히 본받고 싶지 않다는 생각이 드는 한편, 시대적 한계나 경직성을 자신들의 전생애에 걸쳐 예술로써 초월한 자들이기에 일정 부분 미화되더라도 어느 정도 납득이 가기도 한다. 뭐, 그들이 '미화'라는 단어까지 써야 할 만큼 됨됨이 글러먹은 짓을 일삼은 것은 아니지만, 책의 내용 중엔 평소 그들의 작품을 볼 때 느꼈던 이미지와는 거리가 먼, 한마디로 실망스런 구간들이 몇 있기에 읽으면서 내내 묘한 기분에 휩싸였다.
실망스럽다는 것은 그들이 인간적이라는 말의 다른 표현일 수 있다. 결국 위대한 예술가도, 기술적으로 통달한 화가도 삶을 들여다보면 우리와 비슷한 인간일 뿐이다. 그래도 차이가 있다면 재능이 있었거나, 시대를 타고났거나, 운이 좋았거나 등 여러 이유가 있을 텐데 이 모든 요인에도 불구하고 그들에게 노력과 집념이 없었다면 무수한 기회도 그들의 주변을 잠시 스쳐 지나가버렸을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마네와 모네를 비롯한 이름난 화가들은 예술가로서나 인간으로서나 위대한 작자들임엔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