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4년 열린책들 세계문학 17
조지 오웰 지음, 박경서 옮김 / 열린책들 / 200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모두가 yes라고 할 때, 혼자 no라고 할 수 있을까?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따라서 사회를 벗어나 존재하기 어렵다이런 점을 고려하면개인이 속한 조직 구성원 모두가 ‘yes’를 외칠 때 홀로 ‘no’라고 말하기 어렵다더구나 ‘yes’를 말하도록 강요 받을 때는 더욱 어려울 것이다.

 

조지 오웰(George Orwell, 1903~1950)의 소설 <1984>에 등장하는 오세아니아라는 국가는 국가 구성원 모두에게 ‘yes’를 강요하는 조직이다국가의 구성원인 국민은 송수신이 동시에 가능한 텔레스크린에 의해 통제되는 당원과 하층 노동자인 프롤(Prole)로 나눠지고당원은 권력을 누리는 내부 당원과 실무를 담당하는 외부 당원으로 다시 분리된다.

나아가 개인은 하나의 개체가 아니라 오세아니아라는 국가 혹은 당()의 부품으로만 존재한다개인의 개성과 욕구는 말살되고여기에 조금이라도 저항하려는 사람은 그가 존재했다는 모든 흔적이 사라지는 증발이라는 이름으로 제거된다그리고 고문을 통해 인간성을 말살하고 마음까지 빅 브라더라는 오세아니아의 통치자에게 복종하도록 세뇌시킨다.

따라서 노트를 사서 일기라는 개인적인 기록을 작성하는 외부당원인 윈스턴 스미스(Winston Smith) 같은 존재는 돌연변이그러니까 일종의 으로 취급될 수 밖에 없다따라서 빅 브라더라는 상징적 존재를 중심으로 하는 오세아니라라는 국가는 이러한 돌연변이가 전이(轉移)되거나 확산되기 전에 제거하려고 드는 것도 어쩌면 당연한 일일지도 모른다.

물론 국가의 조치는 효과 만점이다정상세포가 암세포로 변질되었던 것처럼 평범한 당원이었으나 체제에 의문을 품게 된 원스턴 스미스와 같은 존재가 개성을 상실하고 조직의 부속품으로 다시 되돌아갔으니까.

 “그는 거대한 얼굴을 올려다보았다그는 저 시커먼 콧수염 아래에 숨겨져 있는 미소의 의미를 배우는 데 무려 40년이라는 세월을 흘려보냈다잔인하고 부질없는 오해여저 자애로운 품 안을 벗어나 고집스럽고 제멋대로 살아온 유랑이여술 냄새가 배어 있는 두 줄기 눈물이 그의 코 양 옆으로 흘러내렸다하지만 잘되었다모든 게 잘되었다투쟁은 끝이 났다그는 자신과의 투쟁에서 승리를 거둔 것이다그는 빅 브라더를 사랑했다." [p. 347]

 

 

디스토피아는 현재 진행형이다.

 

<1984>처럼 정부가 개인의 삶을 완벽하게 통제하는 전체주의 사회는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현대인은 SNS 등을 통해 개인이 자신의 삶과 기억을 디지털화하여 자발적으로 외부에 노출하고 있다만약 어느 날 디지털화된 자료가 모두 날아간다고 하면 <1984>에서 빅 브라더가 통치하기 전의 세계를 기억하는 사람들을 모두 당()이 숙청한 것과 비슷한 효과가 발생하지 않을까? <1984>에서는 핵전쟁도 과거를 삭제하는 데 한 몫 한 것 같지만…….

그런 상황에서 CCTV 등을 이용해 개인의 삶을 통제한다면 <1984>의 세계가 현실화되는 것도 어렵지 않으리라 생각한다.

 

아니 어쩌면 지금 현재 그런 사회가 만들어지고 있는 지도 모른다그래서 진실을 찾고 기억하려는 이들이 소중하다왜냐하면그런 전체주의 사회가 출현한다면 그런 이들이 <1984>에 나오는 원스턴 스미스나 줄리아(Julia)처럼 체제에 저항할 것이기 때문이다물론 그들 대부분은 파멸하고그들의 이야기는 어둠 속에 묻힐 것이다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런 이들은 계속 나타날 것이다우리가 희망을 버리지 않고영화 <암살>에서 안옥윤(전지현 扮)이 그렇지만 사람들에게 알려줘야지우린 계속 싸우고 있다고”라고 말했던 것처럼 당장 희망이 보이지 않더라도 누군가는 행동해야 하고다른 누군가는 그 이야기를 전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