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너시 윌리엄스는 와인을 마시지 않고는 글을 쓰지 못했다고 했다. 윌리엄 스타이런도 술을 마셨지만 글을 쓰기 위해서가 아니라 생각을 하기 위해서였다고 했다. 그의 말에 따르면, 술은 그의 정신이 "술 깬 상태에서는 다다를 수 없는 비전을 품게 해주는 수단" 이었다.
 내 경우도 그렇다고 생각했다. 나는 술을 좋아한 많은 작가와 나를 동일시했다. 카슨 매컬러스, 딜런 토머스, 도로시 파커, 토머스 울프, 유진 오닐, 윌리엄 포크너, F. 스콧 피츠제럴드, 어니스트 헤밍웨이, 시어도어 레드키, 그리고 잭 런던까지. - P32

진실은 고통을 동반한다. 그런 깨달음의 순간마다 완전히 잘못살고있다는 참담한 고통을 느꼈다. 하지만 그뿐, 그런 깨달음을 깊이 받아들이지도 않았고, 그에 따라서 생활 방식을 바꾸지도 않았다. 그러므로 이런 느낌은 내부에서 자존감을 부식시키며 종양처럼 곪아갈 뿐이었다. 이렇게 우리는 알면서도 모른다. 알고 있지만 알려고 하지 않는다. 인생의외피들이 견고하게 유지되는 한 그 내부가 통일성과 자부심을 잃고 허물어져간다는 사실을 인정하기란 쉽지 않다. - P4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밤에 침대에서 내 여주인공들을 상상해보면, 그녀들은 모두 같은 운명을 겪지만 절대 타락하지 않는다. 타락하는 것은 나뿐이다. 아름다운 이야기 속으로 달아나기... - P9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 책은 타자에 관한 책이다. 한 편의 시같은, 철학자 래비나스의 말로 시작해보자.

참으로 사람다운 삶은
그냥 존재함의 차원에 만족하는 조용한 삶이 아니다.
사람답게 사는 삶은
타자에 눈뜨고 거듭 깨어나는 삶이다. - P7

한쪽으로 대강 흘려듣던 귀에 갑자기 진행자의 질문이 꽂혔다.
"그렇다면 우리 인류가 50년 후에 지금을 되돌아봤을 때, 인류 역사상 가장 끔찍한 일이라고 여길 일은 뭐라고 생각하십니까? 한마디로 21세기의 ‘홀로코스트‘라고 부를 수 있는 게 있다면요" 초대 손님은 대답했다. "제 생각에는 공장식 축산입니다. 즉, 인류가 공장식 축산에서 동물들을 다루는 방식 말입니다. 미래 인류가 돌아본다면 미친 짓이라고 생각할 겁니다." - P55

절망은 길고 꾸준하고, 희망은 파편적이고 멀리서 명멸한다. 파졸리니가 묘사한 반딧불처럼 잔존한다. - P10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을 뒤적여보고, 전시를 보며 한 작가를 깊이 사귀는 경험을 했다. 떠올랐던, 그러나 바쁜 일상에 일별해버리고 마는 어떤 질문들을 놓지않는 사람을 보았다. 자신의 질문을 조각, 사진, 그림...그러니까 예술로 세워두는 사람을 알게 되었다. (작품들이 그러한 질문을 품고 있다는 사실은 전문가들의 혜안을 엿보아 알게되었을 뿐이지만.) 특히나 예술의 질문하는 힘을 적은 문장이 인상깊었다.

˝‘절하는 여자‘의 깊이 숙인 몸은 화살표처럼 보였다. 그것은 다른 생각의 방향을 암시하는 듯했다. 나는 예술작품이 주는 이런 충격의 순간들을 사랑한다. 여러 생각과 감각이 보글보글 끓어오르고, 마침내 새살이 돋는 듯한 순간 말이다.˝ 31p

- ˝나의 많은 작품이 공적 공간에서 여성으로 살아가는 치욕에 관한 것이다. 우리 젠더에는 엄청난 치욕이 첨부돼 있다. 문화의 아무것도 우리의 경험을 논하지 않기 때문이다.˝ 245p

- 그에게 동물은 동료이자 짝이다. 여성이 남성/여성 이항대립의 희생자이듯 동물이 문화/자연 이항대립의 희생자라는 의미에서의 동료일 뿐만 아니라, 이 세상에 있기 위해, 살아 있기 위해 분투하는 물질성을 가진 동등한 존재라는 의미에서의 동료이다. 249p

예술 속 여성, 세계의 구성원 동물, 삶의 연장으로서의 죽음 등의 주제를 다루고 있었다. 글로 풀어내도 인상깊게 읽었을 주제였다. 그런 내용을 한 순간으로 편집해 작품으로 만들었다는 점이 크게 다가왔다. 전시회가 내내 책을 읽는 느낌이었다. 다른 나라에서 다른 방식으로 전시를 진행하고 만들었던 도록도 접할 수 있었다. 전시장에서 보지 못한 많은 작품들을 새로운 순서와 시각으로 접할 수 있었다. 전시와 연계해서 보니 이렇게나 풍부해질 수 있구나 싶었다.

- How can one define Kiki Smith‘s contribution to contemporary art? The desire to classify, to come up with terminology for phenomena of artistic production is inherent to any criticism, and ˝feminist aesthetic˝ seems to meet such a need for categorization and description. ˝Kiki Smith is an American artist classified as a feminist artist˝ ˝˝[she] is recognized as a feminist, politically oriented artist˝; ˝her work falls in the lineage of artists such as Lee Bontecou, Louise Bourgeois, Eva Hesse, Carolee Schnee-mann, and Nancy Spero, all of whom advanced feminist ideas in their work.˝ 23p<kiki smith, petra gilroy-hirtz)


- 처음에 도록을 열심히 읽고, 전시는 가지 않아도 되지 않을까 싶었다. 작품의 사진과 전문가들의 해설이 훌륭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시장에서 아차 싶었다. 전시장의 공간, 작품의 배치, 학예사들의 스토리텔링이 작가의 작품에 더해져서 관람자에게 주는 새로운 시각이 있었던 것이다.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에게는 당연한 이런 사실일텐데, 이제야 새삼 깨달았다는 게 창피하기도 했다.) 여러모로 많이 배운 전시경험이었다.
(이미지, 1푸른소녀 2.키키스미스의 작품 daphne <kiki smith>119p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