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명의 날>을 리뷰해주세요.
운명의 날 - 유럽의 근대화를 꽃피운 1755년 리스본 대지진
니콜라스 시라디 지음, 강경이 옮김 / 에코의서재 / 2009년 7월
평점 :
품절


1755년 11월 1일의 포르투갈의 수도 리스본에는 도대체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이런 간단한 질문으로 <운명의 책>은 시작된다. 가톨릭 국가 포르투갈의 축일이었던 만성절 오전 9시 30분 경에 시작된 대지진의 여파로 인해, 해일과 화재가 덮친 세계제국 포르투갈의 수도 리스본은 그야말로 쑥대밭이 되고 만다. 이 사건은 그냥 인류사에 흔히 등장하는 하나의 대재앙으로 기록될 수도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이 책의 저자 니콜라스 시라디는 중세에서 근대로, 신의 세계에서 합리적 사고가 지배하는 이성의 세계로의 극적 전환이 이루어진 사건으로 리스본 대지진을 바라보고 있다.

한 때 이웃 에스파냐와 더불어 전 세계를 주름잡던 해상왕국 포르투갈 왕국은 세계 각처의 식민지로부터 무한대로 유입되는 금과 다이아몬드 그리고 노예들로 번영을 구가하고 있었다. 하지만 빛이 있으면 어둠이 있듯이, 식민지로부터의 수탈경제에만 의존하느라 라이벌 국가들인 영국과 네덜란드처럼 안정적인 자국 산업 건설에는 미처 신경을 쓸 겨를이 없었다. 게다가 예수회와 보수적인 귀족들의 교권주의로 인해 계몽철학 사조가 전 유럽을 휩쓰는 동안에도 여전히 포르투갈은 중세적 시대정신을 고집하고 있었다.

설상가상으로 가톨릭교회의 입장에서 보면 이교도들인 유대인들을 박해하고, 학살하면서 국가경제를 이끌어나갈 상인과 지식인 계층의 다수를 차지하는 유대인들이 경쟁국가인 영국과 네덜란드로 망명하면서 포르투갈은 개혁추진을 위한 인적 자원들을 내쫓고 있었다. 이 과정에서 네덜란드에 정착하게 된 유명한 포르투갈 출신 유대인 중의 한 명이 바로 스피노자라고 했던가.

이런 시대적 상황을 바탕으로 해서 18세기 중반 리스본을 강타한 대지진의 여파는 그야말로 어마어마했다. 물론 인적 물적 피해는 둘째 치고, 근대 유럽 역사에서 이런 자연재해는 전무후무했다. 정치적인 고려도 한몫을 했지만 인본주의적인 차원에서 유럽의 여러 나라들이 포르투갈의 재난 대책에 각종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한편 이런 국가적 위기를 새로운 시대로 도약을 위한 결정적 기회로 본 인물이 있었으니, 그가 바로 포르투갈의 총리로 위기극복에 앞장 선 카르발류였다.

리스본 대지진이 타락한 포르투갈 사람들에 대한 하나님의 재앙이라는 예수회 출신 사제들의 공세에 분연히 맞서, 자연재해라는 사실을 강조하면서 카르발류는 대대적인 리스본 재건공사에 나서게 된다. 물론 그 바탕에는 신권주의에 사로잡혀 종교재판소의 무소불위한 권력이 작동하고 있던 중세적 포르투갈을 근대국가로 탈바꿈시키겠다는 총리 카르발류의 의지와 국왕 주제 1세의 적극적 후원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물론 젖과 꿀이 흐르는 땅 브라질로 대변되는 식민지들로부터의 유입되는 물적 토대가 기반이 되었음은 물론이다. 고금을 망라하고, 돈 없이 되는 일이 있었던가.

물론 카르발류의 이런 개혁에 반동세력이 없었던 것은 아니었다. 예수회 소속의 사제들과 자신의 기득권을 빼앗기지 않으려는 구귀족들의 반대는 리스본 재건과 국가개조에 걸림돌이었다. 그 결과, 카르발류는 국왕 주제 1세로부터 부여 받은 막강한 권력을 바탕으로 해서 반대파들을 제압해 나가면서, 식민지에서 산출된 부를 바탕으로 근대국가 포르투갈 건설에 나서게 된다.

작가 니콜라스 시라디는 참 다양한 각도에서 리스본 대지진에 대한 평가를 내리고 있다. 인간의 구원과 사랑을 강조하는 기존의 가톨릭 신학 시스템이 1만 명에서 6만 명에 달하는 무고한 사람들이 희생된 대재앙에 이성적인 대답을 해주지 못했다는 사실에 주목한다. 아울러 당시 많은 철학자들이 가지고 있던 인간의 존재가치와 낙관주의가 더 이상 유효하지 않게 되었다는 언급을 하고 있다. 이런 대재앙을 근대국가 건설의 호기로 삼아, 근대적인 상하수도 설비와 도로망을 갖춘 새로운 리스본을 만드는 과정을 작가는 정확하게 짚어내고 있었다. 근대로의 이행에 있어 결정적인 공헌을 했던 교육 분야의 개혁과 인재양성도 빠뜨리지 않고 기술하고 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연초에 읽었던 주제 사라마구의 <수도원의 비망록>이 바로 떠올랐다. 포르투갈의 전제군주 주앙 5세가 야심차게 건립한 마프타 수도원을 배경으로 한 발타자르와 블리문다의 러브 스토리의 배경이 바로 예의 18세기 포르투갈이지 않았던가. 이 책은 <운명의 날>에서 언급이 되지 않는다. 대신 당시 프랑스 출신의 계몽주의자 볼테르는 리스본 대지진의 모티브를 따서 자신의 소설 <캉디드>에 에피소드로 사용했다고 한다. 아마 이 두 책을 읽으면, <운명의 날>을 이해하는데 더 도움이 될 것 같다.

중세에서 근대로의 전환기에 일어난 중대한 사건에 대한 작가의 뛰어난 혜안과 다양한 분야에서의 해석이 무척이나 인상적이었다. 역사를 통해 배우지 못하는 것이야말로 가장 어리석은 일이라고 했는데, 아직도 쓰나미와 허리케인 카트리나 같은 자연재해들에 대한 미숙한 대처와 사후처리가 그저 안타까울 따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