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는 예언자다.
뭐 이 정도면 점집을 차려야 하나.
작년 노벨문학상 발표가 된 뒤, 내가 올린 포스팅이다.
https://blog.aladin.co.kr/723405103/13003832
다음주에 드디어 압둘라자크 구르나 아자씨의 책 세 권이 나온다고 한다.
나는 놀라웁게도 그 세 권의 출간되는 책들(올 클리어!)과 시기도 대충 맞혔다. 내가 하고서도 놀랍다.

<바닷가에서>
<낙원>
<그후의 삶>
그런데 역자가 모두 다르다. 왜 오래 전에 만났던 헤르타 뮐러의 생각이 나는 거지. 각각 다른 역자들이 번역을 맡다 보니, 같은 작가면서도 책마다 다른 느낌이 들지 않았던가. 그런 점에서 앨런 홀링허스트의 케이스 모범이라고 생각했지만, 출판사가 바뀌면서 그 룰로 깨지는 바람에. 일단 최근에 나온 두 책은 만나보지 못해서 일단 유보.
우선 <낙원>의 역자인 왕은철 교수의 번역이 가장 낫지 않나 추정해 본다. 이미 쿳시 전문가로 명성을 떨친 바 있다. 시인 출신으로 영문 텍스트 번역에서 두각을 보이는 황유원 작가도 굿. 나머지 한 분은 잘 모르겠다. 내가 그 분야의 전문가가 아니다 보니 아무래도. 압둘라자크 구르나 작가의 경우도 한 명의 역자가 줄기차게 번역해 주기를 바랬지만, 아무래도 세 권 모두는 무리지 싶다.
키보드 소리가 너무 크다는 컴플레인 때문에 일단은 여기까지.
======================================
일단 네24에서 <낙원>을 선주문했다.
주말이라고 상품권을 뿌려 대니 도저히 사지 않고
배길 재간이 없네요.
램프의 요정에서는 <그 후의 삶>을 살까 어찌까
고민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