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쪽으로
모신 하미드 지음, 권상미 옮김 / 문학수첩 / 2019년 8월
평점 :
절판



2년 전에 따끈따끈한 신간으로 산 책을 구간으로 만들어서 읽었다. 모신 하미드의 <서쪽으로>. 파키스탄 출신으로 서구에서 공부하고 다시 자신의 뿌리를 찾아 고향으로 돌아간 남자. 이것은 판타지인가 아니면 우리네 일상을 적나라하게 후빈 그런 르포르타주인가.

 

10년 전 독재자 알아사드를 축축하겠다고 시작된 시리아 내전의 끝은 아직까지도 보이지 않고 있다. 그리고 정부군과 반군의 무력충돌로 수백만 난민이 발생했다. 그렇게 발생한 난민들의 비극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바다 건너 상대적으로 안전해 보이는 유럽 땅을 밟아 보겠다고 일엽편주 신세로 지중해 바다에 나섰다가 죽은 이들이 부지기수다. 하지만 그것도 한 때 뿐이다. 나와는 다른 피부색과 종교 그리고 관습을 가진 이들에 대한 생래적인 거부감을 어찌해야 할지 모르겠다. 나는 개인적으로 난민 수용에 찬성하지만, 그런 내 생각에 대해 너희 집에 난민을 받아 들여 준다면 너의 진정성을 이해해 주지란 말에 나는 할 말을 잃었다. 나의 난민들에 대한 관용은 아마 거기까지였나 보다.

 

소설 <서쪽으로>의 주인공들은 내전이 벌어진 어느 곳의 남녀 사이드와 나디아다. 둘은 대학 강의실에 만나 조금씩 사랑의 싹을 틔어 나가기 시작한다. 그리고 평온한 일상을 위협하는 가공할 만한 내전이 발발한다. 그냥 아주 평범한 청년들이 억압적인 사회 분위기 속에서 연애 좀 하겠다는데 극한의 폭력투쟁이 발생하다니... 조금 소심한 남자 사이드의 어머니가 총에 맞아 돌아가시면서 사이드와 나디아는 새출발을 꿈꾼다.

 

여기서부터는 판타지의 영역이다. 도서의 어딘가에 이 있어 다른 세계로 갈 수 있다는 것이다. 사이드의 아버지는 같이 떠나자는 아들과 어쩌면 미래의 며느리의 제안을 거부한다. 자신이 있어야 할 곳은 바로 죽은 아내의 곁이라는 이유를 대면서. 어찌 슬프지 않을소냐. 그리고 그는 잘 알고 있다. 자신이 낯선 땅에 가서 난민이자 이방인으로 살기에는 너무 나이가 들었다는 점을 말이다. 어쩌면 죽음이 난무하고, 죽은 이의 머리로 공을 차는 극악한 상황이 그는 더 이상 두렵지 않았을 지도 모르겠다.

 

그래서 사이드와 나디아는 그런 아버지를 두고 비교적 안전한 서방행을 택한다. 아 참, 그전에 세계 곳곳의 잔잔한 이야기들이 이어진다. 그야말로 일상적인 이야기들이 아닐 수 없다. 그런데 그네들의 삶과 당장 떠나지 않으면 죽을 지도 모를 사이드와 나디아의 이야기가 무슨 상관이란 말이지? 다른 곳의 안온한 일상은 급박하게 돌아가는 주인공들의 서사를 극적으로 만드는 그런 장치로 작동한다.

 

을 통해 사이드와 나디아가 도착한 곳은 난민들의 중간기착지라고 할 수 있는 그리스의 미코노스섬에 도착한다. 그런데 모신 하미드는 너무 쉽게 문을 통한 공간이동이라는 방식으로 난민들의 이주를 그린 게 아닐까라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일단 좋다. 그런데 그곳에서 사이드와 나디아는 여전히 환영받지 못하는 존재다. 하긴 난민들이 어디에서 환영받는 존재였던가. 미코노스인가, 가장 인상적이었던 장면은 용변을 해결하는 것으로 기억한다. 우리가 일상에서 아무 생각 없이 하는 행위들이지만, 정작 위기 상황에서는 정말 쉽지 않은 그런 일들이지 않은가 말이다.

 

주인공들이 이동하는 다음 무대는 런던이다. 런던의 빈 집들에 세계 곳곳에서 온 난민들이 모이기 시작한다. 나이지리아, 소말리아 같은 곳에서 더 이상 머무를 수 없게 된 이들이 시공간을 초월해서 모이기 시작한다. 나디아에게 가장 인간다움을 유지하기 위한 첫 번째 스텝은 샤워였다. 그리고 보니 예전에 물이 귀한 에티오피아에 간 서구의 선교사들이 무너지는 게 바로 샤워였다지. 하루에 물 한 양동이로 해결해야 하는 상황을 부족과 결핍을 모르고 자란 이들이 어떻게 감당한단 말인가.

 

런던에서 사이드와 나디아들을 적극적으로 돕는 이들도 있었지만 또 그렇지 않은 이들도 있었다. 반이주자들이 구사하는 폭력은 무시무시했다. 모두가 자신들의 일상에 조금이라도 피해를 준다면 그렇게 변할 수 있다는 말일까? 지킬 박사와 하이드 씨의 본고장에서 벌어지는 토끼사냥 같은 진압작전에 입안에 쓴맛이 도는 듯한 그런 느낌이 들었다. 사이드와 나디아 같은 난민들에게는 숙명 같은 일일 지도 모르겠다. 그리고 연인을 넘어 굳은 동지애로 뭉친 사이드와 나디아의 관계에도 미세한 균열이 일기 시작한다. 나중에 알게 되겠지만 그 균열을 무엇으로도 봉합할 수가 없는 그런 수준의 것이었다.

 

마지막 무대는 미국 샌프란시스코 부근의 머린이라는 곳이었다. 대서양 바다가 아닌 또다른 바다가 보이는 곳에 둥지를 튼 사이드와 나디아. 원래부터 독립적이었던 나디아의 주장 대로 런던에서의 삶을 포기하고 사이드는 군말 하지 않고 따라나섰다. 하지만, 고향을 그리고 돌아가신 부모님들을 그리워하던 사이드는 점점 종교와 영적 세계 그리고 자기나라 사람들과 어울리기 시작했다. 그렇게 사이드와 나디아의 파국은 어쩌면 예고된 것인지도 모르겠다. 삶이란 그렇게 가는 거지 뭐.

 

오래전 소설에서는 볼 수 없었던 휴대전화라는 물건으로 이제는 모든 게 가능해진 모양이다. 이국땅에서 휴대전화로 나디아와 사이드는 각지에 흩어진 지인들과 소통을 시도한다. 그리고 휴대전화로 뉴스를 접하고, 동시에 뉴스의 주인공이 되는 자신의 모습을 보고 놀라는 동시에 당혹스러워하기도 한다. 뉴스원인 동시에 뉴스의 소비자라. 아니 어쩌면 21세기 모바일 시대에 휴대전화는 생존에 반드시 필요한 수단일 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불쑥 들었다. 전기와 수도가 아니고 휴대전화가 그들에게는 가장 중요하다는 걸 새삼 깨닫게 되었다.

 

책의 어디에선가 만난 우리는 모두 시간을 통과하는 이주자들이라는 표현이 아주 마음에 들었다. 시간을 모든 것을 조용하게 파괴한다. 시간을 이기고자 노력했던 인간들의 노력을 모두 실패로 돌아갔다. 그러니 같은 시간을 통과하는 이들에게 조금은 따뜻한 시선을 보내는 것도 괜찮지 않을까.

 


댓글(6)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붕붕툐툐 2021-08-03 12:20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ㅋㅋㅋㅋ신간 사서 구간으로 읽는 신비한 독서나라네용~ㅎㅎㅎㅎ
마지막 따뜻한 시선 넘 좋습니당~

레삭매냐 2021-08-03 13:45   좋아요 2 | URL
감사합니다.

뭐 그래도 2년을 넘기지 않고
읽었다는 데 의의를 두려구요 ㅋㅋ

새파랑 2021-08-03 14:21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레삭매냐님 정도시면 2년 쯤이야 ㅋ 더 오래 묵힌 책들도 있으실거 같아요^^

레삭매냐 2021-08-03 15:28   좋아요 2 | URL
맞습니다. 10년이 넘어가는 책들도... 쿨럭.

바람돌이 2021-08-03 15:05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저에게 2년 넘게 묵힌 책 아주 많습니다. ㅎㅎ
내전을 피해 이주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판타지 형식을 빌려 이야기하는 책인가요? 난민 문제가 전 지구적인 문제가 되어가는데 우리나라라고 해서 관련없다고 내버려둘수는 없는거 같아요. 자기 땅에서 강제로 내쳐져야 하는 삶들이 더 없었으면 합니다.

레삭매냐 2021-08-03 15:29   좋아요 2 | URL
난민 문제와 판타지를 적절하게 섞은
수작입니다.

적어 주신 말에 자극을 받아 검색을
해 보니 다음과 같은 정보들을 만날
수가 있었습니다.

1. 2021년 세계 난민수 : 7,950만 명

2. 전 세계 인구의 1%가 난민이다.

3. 세계 난민의 50%가 어린이들이다.

4. 개발 도상국들이 85%의 난민들을 받아 들이고 있다.

5. 시리아 난민 가족의 80% 정도가 빈곤선 이하다.

6. 매 2초마다 한 명의 난민이 발생하고 있다.

그렇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