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백씨다. 이번에도 독자를 위한다며 구체적인 실례를 대지 못하고 독자를 위한 정가제타령을 한다. 도서정가제를 시행하면 뭐가 구체적으로 독자들에게 유익한 것인지 칼럼에서 아무런 말도 없다. 입으로만 독자를 위한다는 것이다. 정말 지긋지긋하구나.

 

그러면서 총선 전에 법 개정을 요구한다. 사실 지금 그따위 도서정가제보다 훨씬 더 중요한 선거법 개혁, 공수처 설치 그리고 검경조정안 같은 사안들도 해결이 안되는 마당에, 도서정가제에 대한 개정안 타령을 하는 것도 우습다.

 

현재 인터넷 서점에서 주는 10% 할인과 5% 포인트가 독자들에게 실질적인 이익이 아니라고 하는데 이건 또 무슨 말인가. 내 생각이지만 백씨는 항상 출판사와 중소서점 편이다. 독자는 안중에도 없다. 그러면서 독자를 위한다고 한다. 할인을 적용받는 독자에게 도서정가제를 시행하면 독자들에게 어떤 이익이 주어지는지 그는 칼럼에서 밝혀야 한다.

 

그리고 책이 공공재라는 신박한 주장은 또 어떤가. 아니 내가 내 돈 주고 산 책이 공공재라고? 거시적 차원에서는 일면 그럴 수도 있겠지만, 개인에게는 해당되지 않는 말이다. 어떻게 해서 내가 산 책이 공공재라는 것인가. 공공이 함께 쓰는 물건을 개인의 돈을 주고 사는 경우가 있나. 내가 산 책은 나에게는 소비재다.

 

도서정가제를 시행하면 1980년대처럼 전국에 서점이 많아질 거라는 주장에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 사람들이 , 이제 도서정가제가 시행되었으니 동네서점으로 달려가 책을 사서 읽자이럴 거라고? 넌센스도 이런 넌센스가 없다. 40년 전에 모바일폰이 없었고, 지금처럼 다양한 채널이 있었던가. 어떤 이들에게는 책보다 재밌는 것들이 널려 있는데 왜 책을 읽어야 한단 말인가. 그의 논리대로라면 책의 경쟁자는 도서정가제다. 왜 사람들이 책을 읽지 않는 지에 대한 분석이 먼저가 아닌가. 지금도 책값이 비싸다도 책을 읽지 않는 사람들이 부지기수인데, 도서정가제를 실시하면 전국의 책읽는 인구들이 불길처럼 늘어날 것이다? 이런 해괴한 논리는 도대체 어디서 온 걸까.

 

이런 허튼 소리보다 차라리 전국민 책읽기 캠페인을 벌이는 것이 나을 것 같다. 도서정가제가 시행되던 안되던 책읽는 훈련이 안된, 독서의 즐거움을 모르는 이들은 여전히 일 년에 단 한 권의 책도 읽지 않을 것이다. 앞으로도. 도서정가제는 그런 책과는 거리가 먼 사람들이 아니라, 오늘도 조금이라도 싼 책을 사기 위해 온라인 서점에서 발행하는 할인쿠폰, 출석체크, 카드포인트, 카드할인 등 강구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을 모색하는 기존 독서인들에게나 해당되는 말이다.

 

100% 완전한 도서정가제 시행이 아니라면, 도서정가제 타령은 이제 그만하면 좋겠다. 책사는 사람들이 오랫동안 할인에 익숙해진 우리 현실에서 100% 완전한 도서정가제 시행은 불가능하다. 그리고 제발 독자들을 위한다는 핑계는 대지 않았으면 좋겠다. 독서정가제는 업자들을 위한 시스템이 아닌가.

 


댓글(9) 먼댓글(0) 좋아요(3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찐새 2019-04-27 14:17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정말 독서율이나 확 끌어올리고 가격 따졌으면 좋겠습니다ㅜㅜ 1년에 책이 4~5만 권 찍혀도 제자리걸음인데. 책과사회연구소가 아니라 책‘값‘사회연구소인가봐요...

레삭매냐 2019-04-27 21:48   좋아요 2 | URL
제 말이 바로 그 말이랍니다...

독서율 향상을 위한 제언 같은 의견
대시 오로지 법률 제정으로 무언가
를 해보겠다는 발상 자체가 시대착오
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아무래도 업자 편이라서 씁쓰름하네요.

AgalmA 2019-04-28 01:40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나온지 몇 년 안 된 책이 절판되는 상황인데, 도서정가제도 굵직한 출판사에게나 도움되지 소규모 출판사에게 얼마나 도움이 되겠어요. 게다가 굿즈로 돌아가는 온라인 서점 판도를 생각하면 영세한 출판사는 더 사면초가죠. 저도 굿즈쟁이이긴 합니다만; 사람들이 잘 안 찾아보는 책들 골라 보는 노력이라도 하는데, 책 취향이 별로 없고 가끔 기분 내키면 책 사는 사람들은 눈에 띄는 책만 겨우 살피겠죠.
에효.

레삭매냐 2019-04-29 11:14   좋아요 2 | URL
예전에는 초판 5,000부가 기본이었는데
이제는 2,500부 정도 찍는 모양입니다...

언급해 주신 대로 메이저 출판사 외에는
도서정가제 시행이 그다지 의미 없어
보입니다.

굿즈 개발은 인터넷 서점의 불황 탈출
방법이 아닐까 싶습니다.

2019-04-28 12:4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9-04-29 11:1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9-04-28 12:4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9-04-29 11:13   URL
비밀 댓글입니다.

아스카니오 2019-05-01 22:30   좋아요 1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벌써 백씨 아녀도 장은수 같은 사람들도 벼르고 있는 중이던데요
여기저기 완전도서정가제로 동네 서점을 살려보자 이런 학생기자단 뉴스 나오는 것 보면 뭐..ㅎㅎ
한가지 더 재미난건
저 분들
누가 감히 도서정가제 반대하는 글을 쓰는지 아이디도 꼼꼼히 체크하시는것 같더군요
매번 똑 같은 아이디가 도서정가제 반대하는 글 쓴다면서 예의주시하시는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