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가 저문 이후 (스티븐 킹)

 

 

스티븐 킹은 단편소설에 대한 그의 선호에 대해 뉴욕타임즈에서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캔사스 하늘로부터 비명을 지르며 나를 향해 최대속도로 내려오는 거대하고 뜨거운 유성과 같다. 나는 동굴로 돌아가고 싶은 태고의 즐거움을 원한다. F-111기에서 비상탈출 버튼을 누른 전투기 조종사 만큼 세차게 잠시동안 나자신을 깨끗하게 날려버릴 수 있는 것." (이 말은 The Best American Short Stories 2007에 수록되기도 했다.)

 

 

전투기 조종사 출신의 지인에게 F-111에 대해 물어보니, Raven이란 별명의 F-111 전투기는 보통 전투기들이 좌석만 사출되는 것에 비해, 조종석 전체가 비상 탈출시 사출된다고 한다. 스티븐 킹 선생이 콕 찝어서 F-111기를 이야기한 이유가 바로 이 때문인 듯.

정말 이 책을 읽으면,-내가 킹의 단편소설을 좋아해서 그런지-나도 잠시동안 나 자신을 깨끗하게 날려버리고 이야기에 몰입해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 수록 단편중에 '진저브래드 걸' 하나 만으로도 소장하고 싶은 책.(음반으로 치면, 마음을 사로 잡는 킬러트랙이랄까.)

 

 

 

 

이 책의 제목을 스티븐 킹은, [Pocket Rockets]나 [Unnatural Acts of Human Intercourse]로 부르고 싶어했지만, 출판사 측이 난감해 하며 만류해서 [Just Past Sunset]으로 정했다가,

최종적으로 [ Just After Sunset ]이 되었다고 한다.

해질녘에 천천히 읽으며 양질의 공포를 맛보고 싶은 분이라면, 강추!

 

무라카미 하루키는 '스티븐 킹은 '스티븐 킹=괴기소설'이라는 편견에서 벗어난 영역에서 좀 더 많이 논의되어야 마땅하며, 또한 그는 틀림없이 그런 대우를 받을 가치가 있는 작가"라고 추켜 세운바 있는데, 그말에 전적으로 동의한다.

( 하루키는 스티븐의 킹을 매우 좋아하여  [샤이닝]같은 작품은 자비로 몇권씩 사서 지인들에게 나눠 주었을 정도라고. (하루키의 초기작 [양을 둘러싼 모험]에 나오는 몇 몇 장면은 샤이닝의 몇몇 모티브와 흡사함을 보인다는 것이 중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