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서실의 바다
온다 리쿠 지음, 권영주 옮김 / 북폴리오 / 2007년 9월
평점 :
절판
내 주변 여자친구들은 평균보다 이성적인 편이다. 뭐 내가 되게 걸크러쉬! 하는 센캐를 주변에 둬보지 않아서 참 주관적이긴 하지만 흥칫핏하며 섭섭해하는 친구는 내가 판단하기론 주변에 한명도 없는 것 같다. 그렇지만 이성적과 감성적은 대치되는 개념은 아니기에 가끔 되게 감성적+낭만적이 되어버리는 친구가 있는데 그 친구가 ˝온다리쿠 책 두 권을 샀어. 우리 한권씩 바꿔서 읽자.˝ 했고 허허 뭐지 했는데 지난 주말에 진짜 무겁게 굳이 두 권을 들고왔고(내 말은 어차피 한권한권 읽을 수 있다면 먼저 첫번째 책을 선택하고 남은 한권만을 들고와도 될텐데 굳이 책 두권에서 내가 선택하게 했고) 난 참 멋없게도 ˝얇은 책으로 줘.˝했다. 펼쳐보니 단편집이었고 이 책을 읽게된 이야기를 쓰다보니 이제와서 멋없고 낭만없는 내가 부끄럽고 미안해지는구나.
그러나! 리뷰는 냉정하게!
졸리 유치하고 간지럽고 재미없고 다시 유치하다.
중이병 여고생이 노트에 썼다가 성인이 되어 다시 읽고선 이런 쉬발 옘병 내 닭살 대패로 좀 밀어줘 쉬발! 하는 느낌. 서정적인, 소녀다운, 이 아니고 쥰나 낯간지럽고 담긴 것 없고 읽기 불편하다.
집에 온다리쿠 책 두 권이 있는데 둘 다 읽다 말았고 그 때는 안읽혀서 말았지만 단편집을 읽고보니 유난히 오글거림을 못 견디는 나에게 너무 어려운 문체였던 것.
열 개의 단편 중에 ˝작은 갈색 병˝ 하나 그나마 건졌다. 소설이라기보단 초등학생 때 학교 도서관에서 찾던낭만 갖춘 공포만화같다. 집에 있는 남은 온다리쿠는 어떡해야할까. 더 읽기 싫어졌다. 되게 맘대로 이야기하자면 옛날에 구혜선 허언증으로 유명할 시절 그녀가 썼을 것 같은 글이다. 구혜선 글 읽어본 적 없고 딱히 감정도 없지만 그냥 이미지가 그렇다. 중이병 낭만병 환자가 몇 년 전 겪은 일 갖은 표정으로 감정으로 회장하며 썼을 것 같은 고런 느낌.
난 낭만이 중요하기에 친구와 책을 바꿔 또 다시 열심히 읽어볼거지만 어쨌든 첫 내 순서 책은 이러하였다.
발췌
올해 처음 봄을 일게 될 벚꽃
지는 것은 배우지 않기를
바깥 세계가 있는 사람은 드라이하다. 감정의 서식지를 분할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자애는 만들어진다. 남자애와 어른의 눈이 여자애를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