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주 만화 ㅣ 열린책들 세계문학 7
이탈로 칼비노 지음, 김운찬 옮김 / 열린책들 / 2009년 11월
평점 :
몇 달 전에 블로그로 알게된 이웃이 이 책에 대한 내 감상이 궁금하다며 선물해주셨어. 좀 묵히다가 이제야 꺼내 읽었는데 엄청 오래 질질 끌며 읽었네. 그 말인 즉슨 내 스타일은 아니었습니다. 괜히 미안...
수억년을 살며 우주의 탄생과 변화를 봐온 크프우프크라는 존재가 그간 우주에서 벌어진 일들을 기억해내어 들려주는 이야기야. 공룡도 나오고 물고기의 시작도 나오고 달의 탄생과 온갖 물질이 처음 세상에 나온 상황 등등을 이야기해주는데 동화같기도 하고 성경같기도 해. 내리 존댓말로 이야기를 해주는데 귀엽기도 하고 그 상상력도 엄청 뛰어나서 상당히 재밌을 소설인데...... 안타깝게도 나는 과학 지진아이고 자꾸 태양이어쨌고 행성이 어쨌고 분자고 원자고 염색체고 이야기하는데 죄송합니다 ㅜㅜ 무슨 말인지 못알아듣겠어요. 그래도 큰 이야기 흐름이 재밌어서 읽다가도 읽고나면 대체 이게 무슨 이야기지 싶은 이런 저능아.
세상들의 기억/ 은하계를 좇아/ 바이오코미케 이렇게 나뉘어져 있는데 세상들의 기억까진 오옷! 신박해! 하며 읽다가 은하계부터 차차 지쳐 바이오코미케에선 끝이나 내자 하며 억지로 읽었습니다.
제목 답게 우주가 주인공인 동화, 만화, 소설이고 아무것에도 편견이 없는 화자(사람일 수도 있고 먼지일 수도 있다)가 세상의 모든 것을 순수하게 바라보고 변화를 받아들이는 모습을 보며 이 곳(우주, 지구, 세상)의 주인은 누구인지에 대해 새삼 생각해보게 된다.
상상력과 재치가 넘치는 이공계 너드 냄새가 폴폴나는 특이한 소설이었다. 분명히 되게 매력있고 재밌을 소설인데 하아.... 나는 어렵습니다. 막 고급 과학용어나 원리가 나온 것도 아니었는데 자존심 상하게도 저는 못 알아 듣습니다. 털썩. 아냐. 다시 책을 슥 훑어봤는데 나한테만 어려운 거 아닐 것 같아. 오다가다 서점 가시는 분 한 번 스윽 페이지 넘겨보고 (이왕이면 후반부)저랑 공감해주세요.
발췌
괴물과 괴물이 아닌 자는 언제나 이웃이었어! 존재하지 않았던 것은 계속해서 존재하고......
우리가 지향하는 것은 바로 지구의 생명체, 말하지만 지구<의> 그리고 지구<안의> 생명체였던 것입니다. 단지 껍질 위로 솟아오른 생명체를 지향하지는 않았습니다. 여러분은 그것을 지구의 생명체라 부를 수 있다고 믿지만, 그것은 마치 사과의 주름 잡힌 껍질 위에 얼룩처럼 퍼져 가는 곰팡이에 지나지 않습니다.
간단히 말해서 나는 지금 놀이를 하고 있습니다. 먼지 속에 질서가 있는 척하고, 체계 안에 하나의 규칙성, 또는 비록 어울리지는 않지만, 어쨌든 측정 가능한 다양한 체계들의 상호 교류가 있는 척하는 놀이랍니다.
나는 홀로 자문합니다. 진정으로 이 세계가 나의 세계일까 하고 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