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의 여자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55
아베 코보 지음, 김난주 옮김 / 민음사 / 200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랜만에 읽은 일본소설 거기다가 김난주 번역. 제일 책을 많이 읽던 대학생 시절 땐 읽는 책의 80%가 일본 소설이었는데 그 중에 최소 10%는 김난주님 번역이 아니었나 싶다. 믿고 읽는 김난주였는데 오랜만에 읽어도 역시 .... 맛이 산달까. 정말 반가웠다.

무색무취의 한 평범한 교사가 취미생활인 곤충채집을 하러 인적이 드문 모래마을에 갔다가 납치되는 이야기. 탈출을 꿈꾸며 지독한 모래의 공격 속에서 고군분투하는...

얼토당토않은 설정 같지만 하나도 안 웃기다. 정말이지 너무 심각하다. 모래지옥에 대한 표현이나 더위와 습기로 인해 망가진 피부와 그 감각을 묘사하는 부분이 나올 땐 정말 오만상을 찌푸리며 끙끙대며(속으로) 읽었다. 처음 남자가 덫에 걸리는 부분에 오! 설정 신선해! 했는데 어흐 상황이 진행될수록 이거 정말 끔찍하고 괴로운 이야기야. 어머 나 리뷰 쓰면서 나도 모르게 미간 완전 찌푸리고 있었네. 읽는 내내 사막에서 몇 박 며칠 야영한 기분. 간접체험의 끝을 보여주는 묘사다.

그렇게 디테일하고 신선한 비유를 함에도 불구하고 모호한 부분이 없고 문장은 짤막한 것이 ... 읽는 내내 그 재능에 감탄이 계속 나왔다. 아베 코보. 실제 곤충 채집이 취미라는 아베 코보의 덕후스러운 지식과 상상력이 만들어 낸 걸작. 처음 곤란에 빠지게되는 설정은 비현실적이었지만 거기까지 픽션같았고 그 이후 주인공의 대처, 감정변화, 여인과의 관계에 대한 진행이 그 상황의 누구라도 그럴게 될 것이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극한에 처한 동물의 관찰기 같은 인상을 받았다.

영화화 됐다고 하던데 영화화 되지 않았다고 하면 황당할 정도의 흥미진진한 스토리와 감각적 디테일이 살아있는 정말 정말 잘 쓰인, 소설의 몫을 다한 작품이었다.

앗! 리뷰를 다 쓰고 부제목을 달려고 생각하다가 문득 소설 속에 나오는 곤충 이야기가 떠올랐다. 바껴진 환경에 적응하려 변화한 곤충. 변종을 찾으려 떠난 주인공이 결국 급작하게 바뀐 그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자의는 아니지만) 어느덧 변종되었구나. 와.....

발췌

버린 성냥을 거스르면서 시계의 초바늘 같은 속도로 모래의 물결이 이동하고 있다.
-비유의 왕, 표현력의 왕으로 임명합니다.

작지 싶어서 별 생각 없이 밟은 뱀의 꼬리가 뜻밖에 커서, 정신을 차리고 보니 뱀의 머리가 자기 목덜미에 있더라는 식의 당혹감이다.
-필요이상으로 멀리간 비유인데 뭔지 되게 잘 알 것 같다. 창의적인 비유의 왕으로 임명합니다.

없다고 곤란해질 일은 전혀 없다. 환상의 벽돌을 듬성듬성 쌓아올린 환상의 탑이다. 하기야 없어서는 안 될 것들 뿐이라면, 현실은 슬쩍 손도 댈 수 없는 위험한 유리 세공품이 되어버린다. 요컨대 일상이란 그런 것이다. 그러니까 모두들 무의미하다는 것을 알면서도 자기 집에 컴퍼스의 중심을 두는 것이다.

과연 시간이 말처럼 뛰어가는 일은 없는 모양이다. 그렇다고 손수레만큼 늦지도 않은 듯하다.
-더 옛날에 계셨다면 이 분 입에서 나온 속담도 수두룩했을 듯하다.

반복은 현재를 채색하고, 그 감촉을 확실한 것으로 만들어준다.

아무런 기약 없이 그저 기다림에 길들어, 드디어 겨울잠의 계절이 끝났는데도 눈이 부셔 밖으로 나갈 수 없게 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 구걸도 사흘을 계속하면 그만두기 어렵다고 한다. 그런 내부로부터의 부식은 의외로 빨리 진행되는 것인 모양이다.
-나도 모르는 새 나 역시 부식되고 있다. 얼른 5월이 되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