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예 민음사 모던 클래식 41
다니엘 켈만 지음, 임정희 옮김 / 민음사 / 201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곡도서관 알리스와 함께 빌린 민음사 모던클래식 시리즈. 단편인지 몰랐어. 읽고 나서 이 책은 어떠하다 나름 정리해서 말할 수 없어서 단편을 안 좋아해. 시간쓰고 웃음쓰며 잘 읽어놓곤 마지막 장 덮자마자 읽은 기억이 모래처럼 흩어지는 느낌. 이것 역시 단편치고 굉장히 만족스럽고 재밌게 읽었음에도 불구하고 리뷰를 쓰려니 뭘 읽었나 싶다. 꾸역꾸역 기록합시다.

본인 번호로 자꾸 걸려오는 모르는 사람 `랄프`를 찾는 전화 / 몽상기질의 소설가와 함께하는 여행 / 안락사를 선택한 할머니 / 중국에서 미아(혹은 노예)가 된 외국인 / 대역배우가 실제 배우보다 더 닮아져서 배우의 인생을 꿰차 쫓겨난 실제 배우 / 손이 알아서 글을 써주는 어리둥절한 작가 / 가정생활과 외도를 병행하며 미쳐가는 남자

기억나는 대로 요약하면 그렇다. 보다시피 약간의 허상이 꼈지만 벌어지려면 벌어질 수 있는 현실 속 이야기야. 하늘을 날거나 다른 사람의 마음을 읽거다나가 아니라 본인의 감정안에서 의도하거나 예상하지 않은 곳으로 뻗어나가는 감정선과 상황.

기발하고 공감됐고 거침없는 이야기 속 섬세한 감정이 나에게 완벽히 좋은 단편소설이었다. 독일에서 주목 받는 작가라는데 꼭 장편소설을 찾아 읽어야겠다. 폴 오스터랑 비슷한 느낌을 받았어. 약간 어둡고 비밀스럽고 개인적인게.

발췌

아무것도 경험하지 못한 사람은 말하는 걸 즐기지만, 많은 걸 경험한 사람은 느닷없이 할 말이 없어지는 법이라고.

몇몇 스위스 기관에서 안락사를 제공하고 있지만 이 협회가 가장 유명하다. 이 협회에 관해 아직도 못 들어 보았다면 주목하시라. 소설에서도 뭔가 배울 게 있으니까.
-뜬금없이 작가가 튀어나오기 ㅋㅋㅋㅋ 천명관이세요?

다들 남의 손자에는 관심도 없으면서 오로지 자기 손자 이야기를 할 권리를 얻기 위해 잠자코 듣는다.
-이모충 뜨끔

사람은 그 영혼이 자신의 영혼과 일치하지 않는 사람의 현존만을 갈망한다고 썼다. 그러나 가까운 사이이면서 동시에 자아의 일부인 사람은 가까이 둘 필요가 없는데, 그 이유는 거리와 상관없이 똑같이 느끼고 똑같이 고통스러워하며 그와 나누는 모든 대화는 당연한 걸 쓸데없이 증명하는 셈이 되기 때문이다.
-정말 모르겠다. 비슷한 사람이 좋은 건지 다른 사람이 좋은 건지. 이건 정말 내가 살만큼 살아 더 새로운 사람을 만날 수가 없는 나이가 되었을 때 나름의 경험으로 답을 내릴 수 있을 것 같다. 지금같아서는 비슷한 게 좋다. 비슷한 것이 더할나위 없이 좋은 거 아닌가.

신정론*에 관해 몇 가지 질문을 했다. 고통은 왜 있는가? 고독은 왜 있는가? 특히나 신의 부재는 왜 있는가? 그런데도 왜 세상은 선을 지향하는가?(*악의 존재를 신의 섭리로 보는 이론)
-오 관심간다. 관련 책 읽어봐야지.

하느님은 정당하지 않습니다. 인생은 두렵고, 신의 아름다움은 부도덕하고, 평화 자체는 살인으로 가득하고, 내가 결코 결정하고 싶지 않은 일이지만 신이 있든 없든 아무 상관 없으며, 비참한 내 죽음이 하느님의 동정을 사지 못하듯이, 내 자식들의 죽음 또는 원컨대, 경외하는 어머니, 먼 훗날 당신의 죽음 역시 하느님의 동정을 사지 못하리라는 데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자꾸 신의 존재를 부정하는 논리에 관심이 간다. 냉수 마시는 기분.

그런 부류에 끼지 않겠다고 호언장담했지만 이미 오래전에 그 무리에 속해 버린 걸 깨닫지 못한다. 자신도 이젠 예외가 아니며 다르고 싶어 하는 그 기분이 바로 자신이 아주 평범함을 말해준다는 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