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성의 부름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0
잭 런던 지음, 권택영 옮김 / 민음사 / 201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린이날 대림미술관 린다 메카트니전에 갔다가 우연히 발견한 꿈의 카페 Project on the road에 지금 또 와있다. 그간 계속 오고싶었는데 경복궁은 서울 중에서 가장 먼 기분이라(집에서 50분) 가고싶다 생각만하다가 오늘 드디어 왔어. 범상치 않은 사장님(지성미와 자유로움이 동시에 느껴지는)과 끝도 없이 좋은 음악들, 꽂힌 책들 경복궁과 나무와 하늘이 동시에 보이는 커다란 창. 그 풍경을 보면서 여기 있는 책 한 권을 그냥 집었다. 민음사 세계문학전집이라 중간이상 갈 것이고 페이지수가 132여서 카페에 있는 중 완독 가능하고 처음 보는 제목이라 여기가 아니면 평생 읽을 일 없을 것 같아서 다른 걸 찾을 이유가 없었어. 두 시간 정도 걸려서 다 읽은 것 같고 읽길 잘했다. 재밌었어.

판사가 키우는 개 벅의 이야기야. 문명의 혜택을 누리며 사랑받고 살던 벅이 돈에 눈이 먼 하녀에 의해 헐값에 썰매를 끄는 용도로 팔리고 처음으로 야생에 발을 들이게 돼. 이렇게하면 저렇게 된다는 교육도 없이 하루하루 기싸움에 목숨을 잃는 (개)동료들을 보며 질서와 규칙과 눈치를 배우게 돼. 하루 하루가 새롭고 치열해. 삶이 아니면 죽음인 야생. 적응력과 눈치가 빠른 벅은 스스로 터득한 지혜와 애초에 갖고 있던 힘으로 썰매개 무리의 두목이 돼. 썰매가 향하는 길은 끝이 없고 짐의 무게는 더해만가고 치열하던 개 사회의 서열히 무의미하게도 결국 힘이 빠지고 하나 둘씩 죽어가.

`왜 그리 재미없이 죽어라 일만하며 전투적으로 살아가느냐.`는 질문이 어떤 사람에겐 이해도 대답도 할 수 없을거란 걸 이제야 조금 알 것 같아. 아니 이래야 살 수 있으니까. 그리고 이렇게 밖에 안 살아봤으니까. 이것의 그가 아는 삶이고 세상이니까.

개들의 이야기 그 개들을 부리는 주인들의 성향(주인이 계속 바뀌고 총 10명 정도 등장한다.)으로 삶을 대하는 자세와 태도를 간접적으로 배우게 된다. 여기엔 투정도 없고 이상이나 뜬구름도 없고 오직 현실만 있다.

내가 좋아하는 내용은 아니야 사실. 너무 현실 있지. 난 이미 편하게 살도록 태어났고 현실적으로 생각해!라고 누군가 나를 다그칠만큼 이상을 갖고 있지도 않거든. 저 현실이 나의 현실보다 훨씬 처절해. 그래서 굳이 알 필요가 없어. 그래도 이야기 자체가 사회와 구성원의 성질의 이야기라 재밌게 읽었어. 딱 그 정도. 근데 저 현실과 읽는이의 현실이 맞는 순간 엄청난 의미의 책이 될지도 모르겠다. 전투적인 경쟁에서 살고 있는 저임금을 받는 사람들에게 특별할 책이라고 막연히 예상해보는데 그것 역시 내가 알 수 없지.

일본 발바리 투츠나 멕시칸헤어리스 이사벨처럼

프랑수아의 채찍이 그를 지지했기에 벅은 자신이 방식을 고치는 것이 복수하는 것보다 더 낫다는 것을 깨달았다.

이 첫 도둑질은 살아남기 힘든 북극에서 벅이 적응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준 증표였다. 그것은 할 걸음 나아가 그의 도덕성이 마모되고 붕괴되는 과정이기도 했다. 생존경쟁이라는 무자비한 투쟁에서 도덕성은 허영에 불과하고 장애물에 지나지 않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