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은 도끼다
박웅현 지음 / 북하우스 / 2011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선물 받았어. 출장 중에 읽어보라고. 재미가 없을 수도 있는데 처음엔 그냥 아 읽다가 읽다보면 빠져든다고. 소설만 읽다가 요즘 내가 무식하다는 생각을 많이 해서 비소설, 어느 분야든 어렵지만 않다면 조금이라도 지식에 도움이 되는 비소설을 읽고싶었거든. 광고쟁이가 쓴 글이라해서 그냥 허황대고 부앙부앙하겠구나 했는데 생각보다 깊은 사람이었어.

우선 책을 쓴 의도가 마음에 들어. 내가 좋아했던, 내 인생에 영향을 준, 내 뇌리에 박혔던 책의 내용을 공유하고 싶은 욕심. 무심코 지날 수 있는 부분을 본인이 짚어주고 설명해주고 공감을 끌어냄으로써 누군가가 책을 읽는, 세상을 보는 눈이 더 예민해지고 섬세해질 수 있다는 믿음.

발췌한 글, 문장들이 엄청나지만 글쓴이 박웅현의 문장력도 상당히 좋다. 다정하고 조심스럽지만 깊이있어. 글에서 겸손이 느껴져.
그리고 글을 쓰는 사람이 타인의 글에 감동하고. 그 글을 쓴 작가를 존경하고 때로는 질투까지 느끼는 모습을 가차없이 보여줘서 좋았어. 타인을 부러워함을 드러내는 건 옹졸한 사람은 못하는 행동이니까. 그리고 호들갑은 아니겠지만 매사에 감동을 크게 느끼는 사람처럼 느껴져서 그 부분도 좋았어. 대화해보고 듣고싶고 배우고싶은 사람이라는 게 글에서 모두 느껴졌어.

실제 눈으로 보이는 3차원의 넓은 스케일을 2차원의 좁은 지면에 모두 집약해놓은 힘이 대단하지 않나요?
→ 라는 식의 감각을 글로 옮기는 능력이나 화법​

좋았던 발췌 부분 몇개는

보고 만질 수 없는 <사랑>을 볼 수 있고 만질 수 있게 하고 싶은 외로움이, 사람의 몸을 만들어낸 것인지도 모른다.

기억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감동받는 것이다.

사과가 떨어졌다
만유인력 때문이란다
때가 되었기 때문이지
[이철수-가을사과]

논에서 잡초를 뽑는다
이렇게 아름다운 것을
벼와 한 논에 살게 된 것을 이유로
`잡`이라 부르기 미안하다
[이쁘기만 한데...]

미나리는 발랄하고 선명하다. 그러므로 미나리는 된장의 비논리성과 친화하기 어렵고 오히려 고추장의 선명성과 잘 어울린다. 봄 미나리를 고추장에 찍어서 날로 먹으면서, 우리는 지나간 시간들과 전혀 다른, 날마다 우리를 새롭게 해주는 전혀 새로운 날들이 우리 앞에 예미되어 있음을 안다.
→김훈의 클라스를 단번에 느끼게해준 구절. 미나리를 먹으며 저런 글을 쓰다니. 진정 미친 사람. 진짜 감정하나 섞이지 않고 호들갑없이 어떡하면 저런 글을 쓸 수 있지?

아름다운 하루가 시작되려는 참이었다. 나는 오랫동안 야외에 나와본 일이 없었다. 그래서 어머니 일만 없었다면 산책하기에 얼마나 즐거울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보통 사람의 관점에서 뫼르소는 패륜아겠지만 그는 햇살과 산책같은 현재가 좋을 뿐입니다. 솔직한 사람이에요. 어머니의 죽음에 대한 슬픔을 과장하고 싶지는 않은 것 입니다.
→이건 시선이 좋다기보단 평소 많이 생각던 것이 글로 쓰여있으니 반가워서. 고모부, 할머니 돌아가셨을 때 느꼈던 부분이기도하고. 슬픔을 과장하고 싶지 않아. 그럴 필요를 느껴야하는 시선이 참 싫다.

​책을 소개하고 구절을 함께 읽는 형식이지만, 글쓴이가 감동 받은 구절들은 모두 자연 중심의 동양적 사고에 모든 생명의 가치를 이야기하는 것들이어서. 자연스러움, 자연, 그대로의 가치를 다시금 생각하고 그 중요성을 다시 배우게 된다. 그리고 이 책의 단 몇장을 읽는 순간부터 세상의 모든 걸 애정어린 눈으로 관찰하고 싶다. 당장 길에 나가 나무를 보고싶고 마음 맞는 사람과 나무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다. 그런 마음이 들게끔 만들어준 책이 너무 고마워. 내 시선을 바꿔주고 내 마음가짐에 영향을 주다니. 평생 내가 고마워할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