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이국기 11 - 제7부 화서의 꿈
오노 후유미 지음, 김윤주 옮김 / 조은세상(북두) / 2004년 9월
평점 :
품절


첫 권을 읽기 시작할 땐 미처 알지 못했다. 동양풍의 판타지가 이토록 재미있으리라고는. 그 옛날 <아르미안의 네딸들>이 한 권, 한 권 더디게 출간되는 것을 목빠지게 기다렸던 것처럼 나는 "십이국기 시리즈"에 푹 빠져 한 주를 흘려보냈다.

 

11권 째에 이르렀으나 아직 12국을 다 둘러보지 못했고 겨우 "대","안',"경","교,"공"등을 둘러 본 듯 한데, 앞으로의 이야기가 남아 꽤 오랫동안 이야기에 빠져 지낼 수 있겠구나 싶어 도리어 행복감에 젖어들었다. 화서의 꿈이라...예쁜 타이틀을 달고 쓰여진 11번째 권 속에서 등장하는 재주국은 신왕이 등극한 나라다. 신왕 시쇼우는 황폐한 국토를 보며 "화서"의 원대한 꿈을 꾸었다. 재주국 보물인 화서화타는 보옥으로 만들어진 복숭아 가지로 베개맡에 꽂아두고 자면 화서지몽을 보여준다는 보물인데 이 화서지몽을 보여주겠다며 큰소리쳤던 시쇼우는 최선을 다했으나 재주국의 기린은 실도했다. 즉 왕이 나라를 제대로 다스리지 못했다는 의미다.

 

긴 병상을 떨치고 일어나지 못한 기린 슈카로 인해 왕조의 종말은 예언되었고 곧이어 시쇼우는 그토록 믿었던 에이슈크의 농간에 빠져 동생 쥰코우와 아버지를 죽이고 말았다. 그리고 그는 그 잘못을 죽음으로 바로 잡았다. 이상은 높았으나 실현할 능력이 부족했던 왕의 슬픈 죽음. 바람직한 모습의 이상향만을 원하면서 현실을 간과했던 왕의 최후였다. 슬프게도.

 

p268  백성들의 모습을 보고 있으면 나라가 어떤 상태인지 알 수 있다.

 

반면 류는 죠 로호우라는 류왕이 통치하고 있는 나라인데 봉산에 오른 이도 아닌 그가 어떻게 왕이 되었는지 알려진 바는 없다. 다만 나라가 기울어가고 있음을 백성들은 조용히 눈치채고 있었고 여행자들도 어렴풋이 그 분위기를 간파하고 있었다. 다만 한 번 왕이 되면 스스로 그만둔다는 것은 어지간해서는 어려운 일인듯 했다. 죽음 끝에서야 내려올 수 있는 자리이기에 그 책임은 더더욱 막중해지는 것이다. 300년을 지난 왕조는 12국 중 '주'와 '안'이 유일하다고 하니 통치자의 고뇌의 늪은 깊어질 수 밖에 없다.

 

류를 지나온 리코우는 주의 수도인 융흡으로 들어섰다. 어머니 이자 황후인 메이키의 걱정도, 형 리타츠의 한숨도, 동생인 문공주의 웃음도 그를 붙잡을 수 없었다. 바람처럼 떠돌다 돌아왔지만 그는 언제나 되돌아온다. 여러 나라를 돌아다녀도 결국엔 꼭 자신의 자리로 되돌아오고 만다. 연어처럼.

 

11권에 이르러서도 12국의 이야기는 끝나지 않았다. 어느 한 나라의 이야기도 끝맺음 없이 진행형이다. 우리의 삶이 그러하듯. 그래서 더 궁금해지고 결국 그 결말이 완벽하지 않더라도 꼭 끝까지 기다렸다 보고야 말리라는 즐거운 기다림을 목표로 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