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의 문, 환문총
전호태 지음 / 김영사 / 201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독도를 둘러싼 일본의 망언은 계속 되고 있다. 한 방에 잠재울 수 있는 힘이 없는 것인지 아니면 그럴 생각이 없는 것인지 도무지 알 수 없는 가운데 우리 역사를 정부가 아닌 국민들이 정말 제대로 알고 있는 것인가? 라는 의문이 들기 시작했다. 물론 독도는 당연히 대한민국의 영토다. 하지만 그 외 우리가 알고 있는 역사, 우리가 관심 가져야할 역사를 제대로 배우고 제대로 기억하고 있는지가 궁금해졌다. 또한 나 스스로조차 부끄럽게도 더 알려고 하지 않았던 우리 선조들의 지난 삶에 대해 이젠 좀 관심갖고 살아야하겠기에 그 용맹했던 고구려의 역사부터 되살펴 보기로 했다.

 

"두 번 그려진 벽화의 진실은 무엇인가"라는 화두를 던지고 있는 [비밀의 문/환문총]은 울산대학교 박물관장 및 울산대학교 역사문화학과 교수로 재직 중인 전호태 교수의 글이다. 그는 한중일 통틀어도 이보다 더 뛰어난 사람을 찾을 수 없을만큼 '고구려 고분벽화'분야의 최고봉이다.

 

영화 '미이라', 소설'람세스'를 통해서 이집트의 무덤 속은 익숙하면서 또한 여러번의 전시를 통해 중국 진황제의 무덤 속 용병들의 모습은 익숙하면서도 우리는 우리네 선조의 무덤 속에 대해 얼마나 자세히 알고 있는지....가슴 뜨끔할 일이 아닐 수 없겠다. 무덤 속 그림인 고분 벽화는 그들의 내세관, 종교관, 우주관이 담긴 아주 중요한 사적 자료다. 그러면서 동시에 장의미술의 한 장르이기에 그들의 생각을 알 수 있는 아주 중요한 역사적 자료임에도 불구하고 우리 삶과 너무나 동떨어져 있었다.

 

앞으로 500년 뒤,1000년 뒤, 이젠 무덤조차 남기지 않는 우리들은 후세에 어떻게 기록하여 우리의 사상과 생활, 문화 전반을 남긴다는 것인지...물론 무덤 외의 기록창고들이 산업의 발달로 산재해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이토록 멋스럽게 그리고 칠하고 정성을 더한 기록물을 더이상 이 땅에서 볼 수 없게 될지도 모른다고 하니 아쉬울 따름이다. 반대로 하나의 무덤이 완성되기까지 그 장식을 담당하고 기록을 담당했을 벽화 속에 담긴 그림을 통해 조상들이 후세에 전하고자 한 그것을 찾아 나는 글을 열심히 읽고 또 읽어야 했다.

 

p161  사람마다 길 아닌 길을 찾다가 길을 놓친다고 했다

 

고구려 환문총은 두 번 그려졌다. 한 번 완성된 그 그림들을 회로 덮은 뒤 그 위에 다시 완전 다른 그림들을 새로 그려냈다. 잘못 그렸던 것일까? 처음에는 단순히 그렇게 생각했었는데 완전 다른 그림이 그려진 것을 보고 흥미가 당기기 시작했다. 벽화의 주제를 바꾼 결정을 한 이는 누구일까? 처음 그린 이와 두번째 그린 이는 동일인물일까? 권력층은 모두 다 그림을 그리는 것이 유행이었던 것일까? 그 그림을 통해 무덤 속 주인이 후세에 남기고자 한 메시지는 무엇일까? 수많은 의문들이 책장을 넘기는 사이사이 뇌를 스쳐지나갔고 그 즐거운 상상들이 머릿 속을 헤집고 다니며 읽는 내내 상상의 즐거움까지 더해주었다.

 

이 글은 소설의 형식으로 쓰여졌다. 환문총 관련 인물들의 이야기를 시점별로 분류하여 고구려 시대, 일제 강점기 환문총 발견 전후 시대, 해방 후 벽화 조사에 나선 남북한, 중국 연구자들에 이르기까지 그들의 시점에서 벽화를 바라볼 수 있도록 잘 쓰여졌다. 그래서 사실과 상상이 씨실과 날실처럼 교차되어 이야기의 풍미를 더했다.

 

압록강 중류와 혼하 유역을 중심으로 성장해 나간 고구려. 그 용맹함을 '광개토대왕','연개소문' 같은 드라마 속에서만 국지적으로 만나 볼 것이 아니라 더 적극성을 띄어 이런 소설 속에서도 찾아낼 수 있는 독자층이 좀 더 두텁게 형성되어지기를 기대해본다. 이 책을 시발점으로 하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