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은 행복한 놀이다 - 질문하고 상상하고 표현하라 사람과 사람을 이어주는 다리 4
김무영 지음 / 사이다(씽크스마트) / 201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새롭고 재미난 해석들이 많아서 인문학을 읽기 시작했던 나와 달리 인문학을 학문으로 받아들여 어려워만 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또는 강의를 들으러 다니며 "인문학"을 배우러 다니네...자랑하는 이들도 있긴 했는데 어떤 방법이든, 어떤 목적이든 인문학을 즐길 수 있다면 그 또한 나쁘지 않다고 생각된다. 각자의 방식이므로 나와 다르다고해서 질타할 필요는 없는 것일테니.

 

[인문학은 행복한 놀이다]는 학창시절 봤던 빨간 기본영어의 표지처럼 빨간 고추장 빛깔이다. 그래서 읽기 전에 흠칫 하기도 했는데, 한 장 한 장 읽어나가면서는 생각보다 속도감을 붙여 읽을 수 있었고 내용 또한 쉽게 읽기에 좋아 "가독성" 면에서는 괜찮은 도서였다.

 

p8 이 고비를 넘기면 보다 나아질 것이라고, 만족스러워질 것이라고, 행복해질 것이라고 스스로를 위안한다

 

서문에서 부산대 한문학과 강명관 교수의 첫머리로 책읽기를 시작하면서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더 똑똑해지기' 보다는 '더 성숙할 수 있는' 나로 성장하기를 기대해보았다. 인문학이 학문이 아니라 생활이 될 수 있기를, 쉽게 읽고 재미나게 즐기며 인문학을 한층 더 사랑할 수 있기를 바라며 읽게 되었다. 책읅 읽다보니 잠시 미움의 마음도 들긴했다. "자리가 사람을 만든다"는 파트에서는 소위 인문학을 공부한다면서도 자리값을 못하고 그 자리에 어울리는 사람으로 살지 못하는 어느 대표가 떠올려졌고, "결혼, 할 수도 없고 안할 수도 없고"에서는 결혼해서 후회하고 있는 여인과 결혼하지 못해서 안달난 여인이 떠올려졌기 때문이다. 정말 내면이 자라지 않는 이유와 사람들이 자신의 인격을 돌보지 못하는 까닭은 우리 사회에서 철학이 사라졌기 때문일까.

 

인문학의 본질은 인간에 있다고들 말한다. 책에서도 강의에서도 그 점을 먼저 언급하고들 하지만 정작 그 중요한 기초 생각을 끝까지 지닌 채 생활에 접목해가며 사는 사람은 얼마나 될까. 인문학을 가르치고 배우는 사람들조차 그들의 말처럼 언행일치하며 살고 있는 것일까. 이제는 이 점을 고려해보아야 하지 않을까. 우리 사회는.

 

인문학이 예전에 비해 많이 대중화 되었다. 학교의 울타리를 벗어나 일반인들에게 보급되면서 인문학은 여기저기에서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비어있다고해서 채워야한다는 것은 편견일지도 모른다. 시끄러운 세상 속에서 "인문학"이 좀 더 나은 세상을 만들 수 있는 "세상의 추"가 되길 바라기 때문이다. 그래서 저자의 표현처럼 나는 책을 읽으면서 인문학이 희망의 도구가 되어주었으면 하고 바라게 되었다.

 

삶이 결코 아는 것만으로 바뀌지 않는 것처럼 함께 바꾸어나가는 초대장으로서의 역할을 [인문학은 행복한 놀이다]가 톡톡히 해주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